본문내용
본으로는 전호태의 『고구려 고분벽화의 세계』, 『고구려 고분벽화 읽기 』,『고구려 고분 벽화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1995년 쓴 이부실의 「고구려 고분벽화에 대한 연구 : 시기별 주요고분을 중심으로」와 최근의 연구방향에 대한 주제인 전호태의「4~5세기 고구려 고분벽화와 동아시아 문화」와 정호섭의「高句麗 古墳의 造營(조영)과 祭儀(제의)」가 있다.
추천자료
중국 사서에 보이는 고구려의 위상
중국은 왜 고구려사를 노리는가?
잘 모르는 위대한 고구려 장수들 (부분노, 괴유, 을두지, 명림답부, 을파소, 밀우, 유유, 유...
도박에 대한 사례연구와 도박의 중독성에 대한 대책방안 연구
주몽 - 주몽신화로 보는 고구려 초기 건국사
라후족에게서 찾은 우리민족의 흔적 - 그들은 고구려의 후예다?
동북공정에 대한 검토와 고구려사를 바라보는 관점의 고찰
동북공정의 진실 고구려사는 과연 중국사 일까
요동사로 본 고구려
동서양의 역사서에 등장하는 여러 민족(몽골로이드, 투르크, 고구려, 만주, 부여, 발해 등)에...
한국민족의형성과문화 시대구분부터 고구려대외항쟁까지
[역사학과 고고학] 고구려 개관 및 유물 유적
[한국삼국사] 고구려,백제,신라의 통합과 역사적 의의 - 백제부흥운동과 백제왜 관계를 중심...
광개토대왕릉비에서 찾아본 고구려의 천하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