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음서 읽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복음서 읽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1장 복음이란 무엇인가?
2. 2장 복음서란 무엇인가?
3. 3장 우리는 왜 복음서가 필요한가?
4. 4장 사 복음서를 가지게 된 기쁨과 고뇌
5. 5장 텍스트와 역사
6. 6장 성경 바르게 읽기
7. 7장 성경을 바르게 읽기
8. 8장 바른 복음서 읽기의 토대들
9. 9장-10장 복음서를 이야기로 읽기
10. 11장 복음서를 적용하고 가르치기
11. 12장 복음서는 정경의 아치형 입구이다.

본문내용

계획이 있다고 바르게 상정할 수 있다. 의심의 여지없이 모든 복음서 페리코피에 대한 가장 좋은 읽기는 역사적인 배경과 문법적-역사적 연구를 통해 정보적인 유익을 얻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복음서를 이야기를 읽을 때, “어떤 식으로든 내 마음에 와 닿으면 된다”는 접근 방식으로 표면적 훑어보기가 아니라, 본문이라는 땅의 표면을 갈퀴질 하는 것처럼 깊이 파 들어갈 때에야 비로소 금맥으로 이어질 수 있고, 더 깊은 이해를 강조하고 있다.
11장 복음서를 적용하고 가르치기
이제 복음서를 통해 적용하고 가르치는 것을 통해 실제적으로 복음서를 지혜롭게 잘 읽고 사용하는 실제적 도구가 되도록 제시해 주는 단계를 말하고 있다. 복음서들은 단순히 정보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이 누구인지에 대한 “증언”과 부활 이후 관점의 근본적인 변화를 통해 지금 우리에게 무슨 말씀을 하시는지 듣는 것이다. “주된 책임은 하나님이 어떤 식으로 구원을 이루시며 자신을 드러내고 있는가를 발견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주된 것, 즉 하나님의 사랑, 은혜, 거룩하심을 반복적으로 선포하는데 계시된 개념을 적용하는 단계로 나아 갈 때, 하나님-중심적 사고들을 가질 수 있고, 그것들을 기꺼이 반복 할 때 상당히 실제적인 적용을 발견하게 된다고 설명한다. 구체적인 설교를 준비하는 방식을 저자는 제시하고 있다. 복음서를 가지고 설교를 준비 할 때는 이와 같은 방법을 추천한다. 상황을 소개하라 그리고 이야기를 다시 말 하며, 복음서에서 말하고 있는 주요 요점들을 이끌어 내라. 그리고 예증들을 사용해 이야기를 적용하라. 이런 방식을 통해 전체를 만들어 설교하고 가르치며, 그에 맞게 능동적이며 지혜롭게 읽는 것을 통해 독자들을 격려하며 하나님 나라의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공동체를 성장 시키는데 믿음의 건물을 지을 수 있도록 하라고 말한다.
12장 복음서는 정경의 아치형 입구이다.
때로는 “정경 속의 정경”이 하나님이 본문을 통해 말씀하시고 계신 것을 왜곡 할 수 있다. 이럴 때 정경의 아치형 입구로서의 복음서들을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말 하고 있다. 복음서가 성경의 일환, 즉 양면- 한쪽에는 구약성경 그리고 다른 한쪽에는 신약성경의 나머지 부분들을 아치를 함께 굳게 붙잡고 있는 성경의 핵심적 부분을 역할을 담당 하고 있다. 특별히 교회의 정체성, 예전, 예배 그리고 가르침 등의 형성 속에서 복음서 자료들이 폭넓은 역할에 기초한다는 역사적 주장이다. 이것은 초대 교회에서 예수 전승들과 복음서들이 차지했던 중심성에 대한 증거들로 보아 알 수 있다. 신약성경 전체를 복음 이라고 지칭 할 수 있지만, 복음서들을 초대교회에서 모든 성경책을 이해하는 데에 의식적으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이해되었음을 분명히 말 하고 있음도 볼 수 있다. 또한 복음서들은 성경 전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신학적 초점을 강조하고 있다. 성경 신학이라 불리는 모든 신학적 이해는 다른 개념이나 초점보다 더 핵심적이고 보다 지배적인 개념들을 가지고 있다. 신약신학 또는 구약신학에 하나의 단일한 “중심”이 존재한다고 믿는데 이것을 복음서에서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복음서에서 일관되게 “주의 성만찬” 즉 “ 하늘로부터 오는 떡”은 수난 주간에 있는 핵심적인 사건이며 십자가 처형과 죽음, 부활이 복음서에서 가장 중요하게 명백한 사건으로 신학적 해석이 주어지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인 것이다. 그것은 새 언약-성취사역으로 기독교 경험과 신학에서 반드시 차지하는 기독교의 핵심적 일환임을 복음서를 통해 우리는 접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중요한 복음서를 신학생인 우리는 바로 읽고 배워서 제대로 적용하며 가르쳐야 하겠다.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3.03
  • 저작시기2015.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60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