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의 성장발달(신생아의 신체적 특성과 행동능력, 신생아 돌보기, 미숙아의 성장발달, 신생아기의 질병과 간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생아의 성장발달(신생아의 신체적 특성과 행동능력, 신생아 돌보기, 미숙아의 성장발달, 신생아기의 질병과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신생아
1. 신체적 특성
2. 행동 능력

II. 신생아 돌보기
1. 수유
2. 수면
3. 목욕
4. 신생아 스크리닝 검사
5. 부모역할

III. 미숙아의 성장발달
1. 신체적 특징
2. 미숙아 돌보기

IV. 신생아기에 흔한 질병과 간호
1. 출생 시 손상
2. 활달
3. 피부 문제
4. 감염

* 참고문헌

본문내용

출생과정에서 발생하는 출생손상은 대부분 신생아가 크거나 둔위(엉덩이)분만하였을 경우에 발생한다. 그 손상은 두개내 출혈이나 두개골 골절과 같은 심한 손상을 가져올 수도 있다. 산류(caput succedaneum)는 두정위(머리)분만에서 두피에 생긴 경계가 불명확한 부종으로 혈액이 축적되어 나타나는데 치료할 필요는 없으며 수일 내에 자연소실된다. 두혈종(cephalohematoma)은 난산으로 인해 두개골과 골막 사이의 혈관이 파열되어 골막하 출혈을 일으킨 것으로, 그 경계가 명확하고 봉합선을 넘지 않는다. 보통 혈액손실이 심하지 않기 때문에 합병증이 없으면 특별한 치료가 필요 없고 2주에서 3개월 내에 혈액이 저절로 흡수된다.
신생아의 쇄골 골절은 가장 흔한 출생 시 손상이다. 체중이 많이 나가는 신생아에서 흔하며 처음에는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팔을 움직이지 못하거나 팔을 만질 때 신생아가 심하게 울면 의심해야 한다. 특별한 조치 없이 골절된 팔의 소매를 핀으로 옷에다 고정하거나 삼각대를 적용하여 몸에다 팔을 붙여 고정시켜 치료한다.
2) 황달
신생아기에 가장 흔한 질환은 황달이다. 황달은 몸 속에서 생성된 노패물이 체내에 축적됨으로써 피부의 색깔이 점점 노랗게 보이는 것으로 황달을 조심해야 하는 이유는 그 노폐물이 뇌까지 전달되어 신체장애의 후유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황달 여부는 밝은 햇빛 아래 아기를 놓고 피부색을 관찰하는 것이 중요한데 보통 생후 7일에서 14일 사이에 가장 많이 나타난다.
얼굴에서 노란 피부색이 주로 시작하고 발바닥으로 옮겨가는데 발바닥까지 노란색을 보인다면 황달이 심한 상태일 수 있다. 병원에서의 황달 치료는 강력한 형광 빛을 피부에 쪼이는 광선치료로 하게 되는데, 간혹 혈액 교환까지 해야 할 경우가 있으나 그렇게 흔하지는 않다.
3) 피부 문제
중독성 홍반(erythema toxicum neonatorum)혹은 신생아 발진이라고도 불리는 전신성 발진은 생후 2일 이내의 30%신생아에게서 나타나서 자연 소실되는 원인 불명의 피부 문제이다. 주로 가슴, 등, 얼굴, 둔부, 사지에 나타나나 신체의 다른 부위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색소 침착 없이 5-7일 후에 자연 소실되기 때문에 특별히 치료할 필요는 없다.
4) 감염
신생아의 감염은 다양한 병원균과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가능하다. 특히 모체의 감염이 분만과정을 통하여 신생아의 감염을 유발할 수 있는데 모체의 임균성 성병은(gonorrhea)은 신생아의 안염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출생 시 신생아의 눈에 예방적 화학요법을 실시하기도 한다.
그 외에 다양한 균에 의한 감염 상태가 발열, 구토,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데, 그 원인균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도 중요하지만 원인균이 밝혀지기 전에 감염 중상을 알고 대처해야 한다. 발열은 액와로 측정하였을 때 섭씨 37-38'C 이상인 경우를 말하는데 신생아는 면역 기능이 아직 미숙하기 때문에 열이 나기 쉽다. 설사가 신생아에게 위험한 이유는 탈수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인데 신생아의 몸은 70%가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사로 많은 수분이 소실되면 신생아의 신체 기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7.06.05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7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