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기제의 개념과 유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적응기제의 개념과 유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적응기제의 개념

II. 적응기제의 유형
1. 합리화
2. 저항
3. 퇴행
4. 동일시
5. 억압
6. 반동형성
7. 분리
8. 금욕주의
9. 투사
10. 투사적 동일시
11. 내면화
12. 합일화
13. 승화
14. 해리
15. 대치
16. 부정
17. 원상복귀
18. 전환
19. 역전
20. 분단
21. 전치
22. 반복강박
23. 공상
24. 유머
25. 차단
26. 상환
27. 보상
28. 성화
29. 지성화
30. 주지화
31. 이타주의
32. 상징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돌려 놓은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원상복귀의 기제는 굿과 같은 의식(ritual)에서 주로 활용된다.
18. 전환(conversion), 신체화(somatization)
전환이란 심리적 갈등이 신체감각기관과 수의근계통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것을 말한다. 그 예로는, 글을 쓰는 데 갈등을 느끼는 소설가가 원고를 쓰는 오른팔에 마비를 가져 오는 것, 군에 입대하기 싫어하는 사람이 입영영장을 받아보고 시각장애를 가져 오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신체화란 심리적 갈등이 감각기관, 수의근계를 제외한 기타 신체부위의 증상으로 표출되는 경우를 말한다. 예를 들면,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픈' 경우이다.
19. 역전(reversion)
역전은 감정, 태도, 관계를 반대로 변경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역전은 반동형성과 구별되는데, 엄밀한 의미로 말하면 반동형성은 감정의 역전에 해당되는 개념이다. 역전의 예로는, 극도로 수동적이며 무기력한 어머니에게 무의식적으로 반항하면서 유능한 여성으로 성장한 사람이 자신의 성공에 대해 죄책감과 불안을 경험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20. 분단(splitting)
분단이란 자기와 남들의 심상과 자기와 남들에 대한 태도로서 "전적으로 좋은 것"과 "전적으로 나쁜 것"이라는 두 개의 상반된 정서를 자아가 가지는 것을 말한다. 이는 경계선 장애에 많다.
21. 전치(displacement)
전치는 실제로 있는 어떤 대상에 향했던 감정 그대로를 다른 대상에 표현하는 것이다. 전치와 대치는 유사한 개념이지만 대치는 대체물이 되는 대상 자체를 강조하며, 전치는 대상에 대한 감정에 강조점을 두는 차이가 있다. 그 예로서 자기의 도덕적 타락에 대해 강한 무의식적 죄책감을 느끼는 사람의 경우 하루에도 몇 번씩 옷을 갈아입고, 수십 번씩 손을 씻고, 시내버스 손잡이도 장갑을 끼어야 잡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22. 반복강박
반복강박은 정신질환에서 흔히 보는 양상으로 경험으로부터 배우지 못하고, 계속 일정한 병적 행동양상을 반복하는 것이다. 이는 무의식이 주로 행동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미숙한 자아는 실패를 거듭함에도 불구하고 같은 행동양상을 되풀이하기 쉽다. 예를 들어, 결혼에 계속 실패함에도 불구하고 전과 같이 알코올중독자와 결혼을 또 하는 것이다.
23. 공상(fantasy)
공상은 현실에서는 이를 수 없는 소원, 욕구를 상상 속에서 만족시키는 것이다. 백일몽(day dream)이라고도 한다. 이것은 가장 쉬운 돌출구이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다소는 이와 같이 자기의 욕망을 충족하고 있다. 그러나 과도한 경우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되어버린다.
24. 유머(humor)
유머는 자타에게 거북하고 불쾌한 감정을 느끼지 않게 하면서 자기 느낌을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25. 차단(blocking)
차단이란 몇 가지 서로 연결된 생각들 가운데서 앞선 것은 알지만 뒤를 잇는 생각이 억압을 당해 도저히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26. 상환(restitution)
상환이란 무의식에 있는 죄책감을 씻기 위해 사서 고생하는 것 같은 행동을 할 때를 말하는데, 즉 상환 행위로 죄책감으로부터 벗어나려는 기제이다. 예를 들면, 끊임없이 지칠 줄 모르게 마음씨 좋은 성품이라든지, 자기는 반평생을 단칸 셋 방살이 하면서 돈만 좀 벌면 몽땅 자선사업에 바치는 사람의 경우, 또 어떤 창조적인 행위로 나타날 수 있는데, 30년을 두고 산더미 같은 돌을 깎아 부처넘 조각을 완성했다는 옛날이야기에 나오는 사람 같은 경우이다.
27. 보상(compensation)
보상은 심리적으로 어떤 약점이나 제한점이 있는 사람이 이를 보상받기 위하여 다른 어떤 것에 몰두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보상이라는 방어기제를 흔히 사용하는 사람들은 사회적 칭찬을 받는 경우가 많으나 때로는 신경증적 욕구에 대한 보상일 수 있다는 점도 알아두어야 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자신의 친부모에게 효도를 하지 못한 사람이 이웃의 홀로된 노인을 극진히 부양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28. 성화(sexualization)
성화란 성적으로 대단한 의미를 가진 것도 아닌 것에 성적인 의미를 크게 부여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금지된 충동과 관계된 불안을 막으려는 목적이 있어서이다.
29. 지성화(intellectualization)
지성화란 고통스러운 감정과 충동을 누르기 위해 그것들을 직접 경험하는 대신 그것들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여러모로 체계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그 생각에 붙어 있는 정서를 제거하여 용남 못할 충동에서 유발되는 불안을 막는다는 심리적 책략이다.
30. 주지화(intellectualization)
주지화란 정서와 충동을 누르기 위해 그것들을 경험하는 대신 그것들에 관해 생각을 많이 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여러 모로 체계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그 생각에 붙은 정서는 살짝 빼버림으로써 용납 못할 충동에 기인해서 오는 불안을 막는다는 술법이다.
31. 이타주의(altruism)
이타주의란 문자 그대로 남들의 본능적 욕구충족을 집요하게 건설적인 면으로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32. 상징화(symbolization)
상징화는 어떤 사람이나 사물에 부착된 감정적 가치를 어떤 상징적 표현으로 전치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상징화에 사용되는 대상이나 주제는 사회적으로 금기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상징화를 통하여 원래 대상은 중립적인 대상으로 전치되는 경우가 많다. 꿈, 공상, 신화 등은 상징화의 가장 흔한 예가 되는데, 남근(Penis)은 길게 팽창하는 것이나 뱀 등으로 상징화되며, 아이를 낳고 싶은 강력한 소망을 지닌 여인은 꿈에서 달걀이나 새알을 보기도 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7.06.05
  • 저작시기201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77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