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 누가문서 개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04 누가문서 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누가문서의 저자, 저작 시기 및 장소
1. 저 자
2. 누가문서 저작 시기
3. 누가문서의 저작 장소

Ⅱ. 누가 복음은 어떻게 기록되었는가?
1. 누가 문서의 형성에 관한 이론
2. 누가 문서의 구조

Ⅲ. 누가 문서가 말하고자 한 것
1. 누가복음의 주요 특징
2. 사도행전의 주요 특징 : 제자들의 모델 예수(Imitatio Christi)
3. 누가 문서의 주요 신학적 관심

Ⅳ. 누가 문서는 왜 기록되었는가?
1. 누가교회 공동체의 상황
2. 누가문서의 기록 목적

본문내용

55년 경에 바울이 예루살렘에서 체포되었을 때, 바울의 교회들은 지도자 없이 버림받을 처지에 있었다. 유대 기독교가 계속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었고 궁극적으로 승리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주후 70년 예루살렘 성전의 멸망은 예루살렘 교회를 황폐하게 만들어 놓았다.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적 위치는 이제 영원히 사라져 버리게 되었다. 비록 알렉산드리아에 유대 기독교의 일부가 잔존해 있기는 했지만, 주후70년 이후에는 바울의 영향력이 다시 확립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었다. 바울의 영향력의 부활은 먼저 마가복음이 기록되어 바울의 이념에 따라 “복음이 땅 끝까지 전파되어야 한다”(막 13:10, 14:9)는 소리가 다시 커짐으로써, 그리고 바울의 서신들이 수집됨으로써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누가문서가 기록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었다. 누가문서 특히 사도행전은 주후 70년에 예루살렘이 멸망한 결과로 생겨난 바울의 영향력의 부활을 위한 금자탑이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누가문서는 주로 유대 기독교의 도전에 대한 응답이요 특히 사도행전은 “바울을 위한 변증”이다.
⒝ 트로크메의 견해
트로크메에 의하면 누가문서의 저자는 바울이야말로 사도의 활동을 계승하고 있는 유일한 인물이라고 제시함으로써 야고보를 중심으로 한 유대 기독교인들의 공격으로부터 바울을 변호하려고 시도하였다. 따라서 주후 80-85년 경에 기록된 누가문서는 마게도니아, 아가야 및 아시아에 있는 교회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문서이다. 그리고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유대기독교를 겨냥하여 기록되었다. 결국 트로크메는 브랜든과 마찬가지로 누가문서가 유대기독교의 도전에 대한 응답으로 기록되었다고 보는 셈이다.
⑤ 종말의 지연 김경희 외 12인,『신약성서개론』, pp.260-262.
[위 Ⅴ. 3. 5) ‘사도행전에 나타난 종말론’과 연관된다]
종말에 지연에 관한 문제는 1세기 후반에 기록된 모든 문서의 공동체들이 직면한 문제였다.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자기들이 죽기 전에 예수께서 다시 인자와 심판자로 재림하시고 하나님 나라가 임하여, 이 세상은 끝날 것으로 믿었다. 그런데 예수의 제자들과 목격자들이 하나씩 다 죽어 가는데도 아직 기대했던 종말이 임하지 않고, 또 곧 임할 것 같이 생각되지도 않았다. 이렇게 되자, 종말 기대의 신앙이 흔들리게 되었고 이것은 복음 메시지에 대한 신앙 자체를 위협하게 되면서 신앙적인 동요와 위기가 생겨나게 된 것이다.
누가는 이러한 공동체의 상황에 직면해서 신앙의 위기에 처한 그리스도인들에게 무엇인가 적절한 신앙적 해답을 제시하고, 그들을 신앙적으로 바로 지도해야 할 필요를 느꼈을 것이다. 누가가 택한 방법은 임박한 종말 기대 가운데서 미래와 하늘에만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는 초대 교인들의 관심을 현재와 이 땅으로 돌려놓는 것이었다. 그래서 누가는 종말이 오기 전에 해야 할 일로서, 예수를 따라 먼저 땅 끝까지 복음이 전파되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누가는 종말을 좀 더 멀리 있는 것으로 보고 그때까지의 중간시대를 온 세계에 말씀을 전파해야 할 “교회의 시대”, “선교의 시대”로 해석하고 있다. 이 점은 부활하신 예수께서 그의 제자들을 향해 “너희가 권능을 받고 예루살렘과 온 유대와 사마리아와 땅 끝까지 이르러 내 증인이 되리라”(행1:8)고 하신 말씀 가운데서 분명히 드러나고 있다. 그래서 실제로 사도행전은 말씀이 예루살렘에서 땅 끝(로마)까지, 유대인에게서 이방인에게까지 전파되는 과정을 그려주고 있다.
몇몇 학자들은 종말을 다룬 구절들을 마가복음과 비교하였을 때, 마가복음보다 완화된 표현들이 많이 등장한다고 보면서 누가는 임박한 종말에 대하여 기대하는 것을 포기했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데 “하나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막1:15)”고 하는 구절이 누가복음에서는 예수의 처음 설교(눅 4:21)로 대치되었다. 또한 누가는 금화의 비유의 도입부분(눅 19:11)에서 말하기를 “그들이 하나님의 나라가 당장에 나타날 줄로 생각했기 때문이다”라고 말한다.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다”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누가는 정말 임박한 종말 기대에 집착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저런 표현들을 사용한 것일까? 이에 대하여 큄멜은 위의 주장이 다음에 나오는 몇몇 본문에 의해서 모순된다고 지적한다. 심판의 임박함(3:9, 17), 하나님 나라의 임박(10:9, 11), 하나님의 지체 없는 판결(18:7), 종말 지연을 염두에 두는 것에 대한 위험(12:45) “주인이 더디 오리라”
등의 본문을 보면 앞서 말한 추론은 설득력을 잃게 된다. 결론적으로, 큄멜은 종말의 지연의 상황에 대해, 누가가 완전히 종말을 임박한 것으로 기대하기를 포기했다고 말하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고 주장한다. 누가는 ‘종말의 임박’을 포기하려는 것이 아니라 단지 현재가 구원의 때로써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려고 하였을 뿐이라는 것이다. W.G.큄멜, 박익수 역, 『신약정경개론』, pp. 146-147.
<참고문헌>
김경희 외 12인,『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김득중, 「누가의 신학」, 컨콜디아사
박수암, 『누가복음』, 대한기독교서회
박수암, 『신약주석사도행전』, 대한기독교서회
서중석, 『복음서 해석』, 대한기독교서회
성종현, 『신약성경 연구』,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이현갑, 『사도행전 연구』, 도서출판청파
정훈택, 『신약개론』, 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
그레이엄 스텐턴, 김동건 역, 『복음서와 예수』, 대한기독교서회
도널드 거스리, 김병국, 정광욱 역, 『신약서론 상』, 크리스챤다이제스트
마크포웰, 배용덕 역,『누가복음신학』, 기독교문서선교회
에티엔느 트로크메, 유상현 역,『초기 기독교의 형성』, 대한기독교서회
키트 F. 니클, 이형의 역, 『공관복음서 이해』, 대한기독교출판사
하워드 마샬, 이한수 역, 『누가행전』, 엠마오
M. A. Powell, 배용덕 역, 『누가복음신학』, 기독교문서선교회
P. J. 악트마이어 외, 윤철원, 이달, 소기천 역,『새로운 신약성서개론』, 대한기독교서회
W.G.큄멜, 박익수 역, 『신약정경개론』, 대한기독교서회
W. Ward. 가스끄, 권성수 역,『사도행전 비평사』, 엠마오
  • 가격5,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17.06.12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279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