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들이 하는 행위는 본받지 말라”(마23:3)고 말씀하셨다. 행함이 없이 말로만 하는 것은 예수님께서도 가장 싫어하시는 일이다.
why
사도 바울은 “천사의 말”과 “모든 믿음”이 있어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했고 야고보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고 말했다. 참으로 사랑은 행함으로 나타내 보여야 한다. 예수님은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고 말씀하셨다.
Ⅱ. 각 구절 정리
11절 - 이것이 소식이다.
12절 - 가인이 형제를 죽였다. 악한자에게 속하여 그 행위가 악했기 때문이다.
13절 - 세상이 너희를 미워하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지 말라
14절 - 우리는 사랑하기 때문에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겨졌다.
14절 - 사랑하지 않는 자는 죽음에 머문다.
15절 -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살인자이다.
15절 - 살인자는 영생의 거함이 없다.
16절 - 그가 우리를 위해 목숨을 버리셨기 때문에 우리도 형제를 위해 목숨을 버려야 한다.
17절 - 재물을 가지고 있으나 형제의 필요를 보고 마음을 닫는 자는 사랑이 없다.
18절 - 말과 혀로만 사랑하지 말라.
Ⅲ. 단락 내 구조 파악
1. 크게 A(11)-B(12)-C(13)-D(14a)-E(14b)-E'(15a)-D'(15b)-C'(16)-B'(17)-A'(18)의 역교차이다.
2. A-A', B-B', C-C', D-D', E-E'가 각각 짝이 된다.
3. 11절의 “이것이 소식이다”가 전체 구절을 이끌고 있다.
Ⅳ. 전체적인 해석
- 서로 사랑하라는 것은 너희가 처음부터 들은 소식이다. 사랑은 말과 혀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행함과 진실함으로 해야 한다. 그런데 가인은 악한자에게 속하여 그의 형제를 죽이고 말았다. 그의 행위는 악하고 그의 형제의 행위는 의롭기 때문이었다. 가인은 하나님의 사랑이 거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누구든지 이 세상의 재물을 가지고 있어도 형제의 필요에 대해 마음을 닫으면 하나님의 사랑이 거하지 않는 사람이다. 가인과 달리 하나님의 사랑 안에 거하는 사람은 세상의 미움을 받게될 것이다. 하나님의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목숨을 버린것처럼 형제를 위해 목숨을 버리는 자들이다. 우리는 형제를 사랑하기 때문에 우리가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겨진 것을 안다. 또한 우리는 살인하는 자, 즉 사랑하지 않는 자는 영생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사랑하지 않는자, 즉 그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죽음에 거하는 살인자이다.
Ⅴ. 메시지
제목 : 서로 사랑하라
서론(11절)
- 서로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명령
- 어떻게 서로 사랑할 수 있을까?
본론
1. 악한 자에게 속하여 악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의 사랑이 없는 자이다.(12, 17절)
- 가인은 악에 속하여 아벨을 죽였다.
- 형제의 필요를 돕지 않는 자는 하나님의 사랑이 거하지 않는 자이다.
2. 하나님의 사랑이 있는 사람은 세상으로부터 미움을 받는다.
- 하나님의 사랑은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어주신 사랑
- 우리도 형제를 위해 목숨을 버려야 한다.
3. 우리는 안다.(14절 전반부, 15절 후반부)
- 형제를 사랑하면 생명을 가진다.
- 살인하는 자는 영생을 가지지 않는다.
4. 사랑하지 않는 자는 살인자이다.(14절 후반부, 15절 전반부, 본론 1번)
- 사랑하지 않는 자는 죽음에 거하는 자 즉 가인과 같이 악한 자에게 속한 사람이다.
- 형제를 미워하는 자가 바로 살인자이다.
- 형제의 필요를 돕지 않는 사람, 곧 하나님의 사랑이 거하지 않는 사람이 살인자이다.
결론(18절)
- 행함과 진실함으로 사랑해야 한다.
why
사도 바울은 “천사의 말”과 “모든 믿음”이 있어도 “사랑”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했고 야고보는 “행함이 없는 믿음”은 “죽은 믿음”이라고 말했다. 참으로 사랑은 행함으로 나타내 보여야 한다. 예수님은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고 말씀하셨다.
Ⅱ. 각 구절 정리
11절 - 이것이 소식이다.
12절 - 가인이 형제를 죽였다. 악한자에게 속하여 그 행위가 악했기 때문이다.
13절 - 세상이 너희를 미워하는 것을 이상하게 생각하지 말라
14절 - 우리는 사랑하기 때문에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겨졌다.
14절 - 사랑하지 않는 자는 죽음에 머문다.
15절 -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살인자이다.
15절 - 살인자는 영생의 거함이 없다.
16절 - 그가 우리를 위해 목숨을 버리셨기 때문에 우리도 형제를 위해 목숨을 버려야 한다.
17절 - 재물을 가지고 있으나 형제의 필요를 보고 마음을 닫는 자는 사랑이 없다.
18절 - 말과 혀로만 사랑하지 말라.
Ⅲ. 단락 내 구조 파악
1. 크게 A(11)-B(12)-C(13)-D(14a)-E(14b)-E'(15a)-D'(15b)-C'(16)-B'(17)-A'(18)의 역교차이다.
2. A-A', B-B', C-C', D-D', E-E'가 각각 짝이 된다.
3. 11절의 “이것이 소식이다”가 전체 구절을 이끌고 있다.
Ⅳ. 전체적인 해석
- 서로 사랑하라는 것은 너희가 처음부터 들은 소식이다. 사랑은 말과 혀로만 하는 것이 아니라 행함과 진실함으로 해야 한다. 그런데 가인은 악한자에게 속하여 그의 형제를 죽이고 말았다. 그의 행위는 악하고 그의 형제의 행위는 의롭기 때문이었다. 가인은 하나님의 사랑이 거하지 않는 사람이었다. 누구든지 이 세상의 재물을 가지고 있어도 형제의 필요에 대해 마음을 닫으면 하나님의 사랑이 거하지 않는 사람이다. 가인과 달리 하나님의 사랑 안에 거하는 사람은 세상의 미움을 받게될 것이다. 하나님의 사랑 안에 거하는 자는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해 목숨을 버린것처럼 형제를 위해 목숨을 버리는 자들이다. 우리는 형제를 사랑하기 때문에 우리가 죽음에서 생명으로 옮겨진 것을 안다. 또한 우리는 살인하는 자, 즉 사랑하지 않는 자는 영생을 가지지 않는다는 것을 안다. 사랑하지 않는자, 즉 그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죽음에 거하는 살인자이다.
Ⅴ. 메시지
제목 : 서로 사랑하라
서론(11절)
- 서로 사랑하라는 예수님의 명령
- 어떻게 서로 사랑할 수 있을까?
본론
1. 악한 자에게 속하여 악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의 사랑이 없는 자이다.(12, 17절)
- 가인은 악에 속하여 아벨을 죽였다.
- 형제의 필요를 돕지 않는 자는 하나님의 사랑이 거하지 않는 자이다.
2. 하나님의 사랑이 있는 사람은 세상으로부터 미움을 받는다.
- 하나님의 사랑은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어주신 사랑
- 우리도 형제를 위해 목숨을 버려야 한다.
3. 우리는 안다.(14절 전반부, 15절 후반부)
- 형제를 사랑하면 생명을 가진다.
- 살인하는 자는 영생을 가지지 않는다.
4. 사랑하지 않는 자는 살인자이다.(14절 후반부, 15절 전반부, 본론 1번)
- 사랑하지 않는 자는 죽음에 거하는 자 즉 가인과 같이 악한 자에게 속한 사람이다.
- 형제를 미워하는 자가 바로 살인자이다.
- 형제의 필요를 돕지 않는 사람, 곧 하나님의 사랑이 거하지 않는 사람이 살인자이다.
결론(18절)
- 행함과 진실함으로 사랑해야 한다.
추천자료
[구약신학] 민수기 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레위인들의 업무 분담과 봉사자 수
[구약신학] 레위기 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번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구약신학] 레위기 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소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구약신학] 레위기 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화목제에 관한 규례 및 그 제물
[구약신학] 레위기 6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 제사에 대한 제사장의 직무
[구약신학] 레위기 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 제사에 있어서 제사장의 몫
[구약신학] 레위기 8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제사장 위임식
[구약신학] 레위기 27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각종 서원에 관한 규례
[구약신학] 민수기 19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부정을 깨끗케 하는 잿물
[구약신학] 민수기 20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므리바 물 사건
[구약신학] 민수기 21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불뱀과 놋뱀 사건
[구약신학] 민수기 22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발락이 발람을 초청하다
[구약신학] 민수기 23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발람의 신탁(神託)
[구약신학] 민수기 24장의 성경적 이해(주해)와 현대적 적용 - 야곱의 별에 대한 발람의 예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