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론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ㅐ], [ㅗ], [ㅚ], [ㅜ], [ㅟ], [ㅡ], [l]가 있다. 또한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바뀌거나 혀가 움직이는 이중모음에 해당되는 모음으로는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가 있다.
결론
-훈민정음과 한글맞춤법에서의 자모체계 비교
위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자음 중에서 [ㅿ]-반치음, [ㆁ]-옛이응, [ㆆ]-여린히읗 3글자와, 모음 중에서 [.]-아래아가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훈민정음에서는 존재하였던 [ㄲ], [ㄸ], [ㅃ], [ㅉ], [ㅆ], [ㆆ], [ㆅ]음인 전탁음 중에서 현재는 현대 국어의 맞춤법 제정 후 경음을 위해 사용되는 [ㄲ], [ㄸ], [ㅃ], [ㅉ], [ㅆ]를 제외하고 [ㆅ], [ㅥ], [ㆀ]음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훈민정음에서는 자음의 순서가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의 순서로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이었지만, 현대로 오며 그 당시 가장 널리 쓰이던 자모의 순서대로 정리하여 현재의 자음 순서가 되었다.
‘표준 발음법’은 몇몇 이중 모음이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것을 허용하는데, ‘ㅕ’, ‘ㅖ’, ‘ㅢ’의 경우에 한정한다. ‘ㅕ’ 앞에 자음 ‘ㅈ, ㅉ, ㅊ’이 올 때 ‘ㅕ’가 [ㅓ]로 발음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실제 구개음 ‘ㅈ, ㅉ, ㅊ’ 다음에 오는 단모음과 이중 모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백봉자. (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 4, 191-207.
결론
-훈민정음과 한글맞춤법에서의 자모체계 비교
위의 내용들을 살펴보면 자음 중에서 [ㅿ]-반치음, [ㆁ]-옛이응, [ㆆ]-여린히읗 3글자와, 모음 중에서 [.]-아래아가 사라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훈민정음에서는 존재하였던 [ㄲ], [ㄸ], [ㅃ], [ㅉ], [ㅆ], [ㆆ], [ㆅ]음인 전탁음 중에서 현재는 현대 국어의 맞춤법 제정 후 경음을 위해 사용되는 [ㄲ], [ㄸ], [ㅃ], [ㅉ], [ㅆ]를 제외하고 [ㆅ], [ㅥ], [ㆀ]음은 현재 사용되지 않는다.
훈민정음에서는 자음의 순서가 아음, 설음, 순음, 치음, 후음, 반설음, 반치음의 순서로 ‘ㄱ, ㅋ, ㆁ’, ‘ㄷ, ㅌ, ㄴ’, ‘ㅂ, ㅍ, ㅁ’, ‘ㅈ, ㅊ, ㅅ’, ‘ㆆ, ㅎ, ㅇ’, ‘ㄹ’, ‘ㅿ’이었지만, 현대로 오며 그 당시 가장 널리 쓰이던 자모의 순서대로 정리하여 현재의 자음 순서가 되었다.
‘표준 발음법’은 몇몇 이중 모음이 단모음으로 발음되는 것을 허용하는데, ‘ㅕ’, ‘ㅖ’, ‘ㅢ’의 경우에 한정한다. ‘ㅕ’ 앞에 자음 ‘ㅈ, ㅉ, ㅊ’이 올 때 ‘ㅕ’가 [ㅓ]로 발음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실제 구개음 ‘ㅈ, ㅉ, ㅊ’ 다음에 오는 단모음과 이중 모음이 구별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백봉자. (1991).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 교육한글, 4, 191-207.
추천자료
한글의 우수성
사동법에 관한 연구
국어의 변화와 한글표기 규정의 변화에 관한 고찰
[한글 맞춤법][맞춤법 사례]한글 맞춤법과 맞춤법 사례(한글 맞춤법 역사와 다른 언어와의 비...
[자음동화] 자음동화에 대해서
한글의 경제성
차자표기법 연구-향찰,이두,구결을 중심으로
[맞춤법과표준어]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하여
[국어 운율의 요소][국어 운율의 도출][국어 운율과 어조][국어 운율과 표준발음법][운율과 ...
구개음화
변별자질(변별적 자질)의 개념, 변별자질(변별적 자질)의 이론, 변별자질(변별적 자질)의 대...
[우리말의 역사 4 공통] 국어사(國語史)의 시대 구분 방법과 각 시기의 언어적 특징에 대하여...
[방통대 전학과 1학년 언어의 이해 C형] 언어학이 어떤 학문인지를 설명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