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사회성 발달] 유아기 자아발달 및 또래관계 및 사회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의 사회성 발달] 유아기 자아발달 및 또래관계 및 사회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자아의 발달
1. 자율성의 발달
2. 자아인식의 발달
3. 유아의 자기통제

II. 타인간의 관계
1. 또래관계
2. 사회적 행동

*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인과 보내는 시간은 점차 줄어든다. 그로 인해 미시체계의 하나인 또래집단이 차지하는 상대적인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또래관계의 양과 질도 변화한다.2-3세의 유아와 4-5세의 유아를 비교해 보면 더 어린 유아들은 성인 가까이에 머물면서 신체적 접촉을 추구하지만, 더 나이든 유아들은 성인보다 또래를 지향한 행동을 좀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다(Harper & Huie, 1985; Hartup, 1983).
유아기에는 다른 사람에 대한 이해가 발달하기 시작하지만 아직 성숙한 우정을 형성하지는 못한다. 유아들은 아직 다른 사람의 관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친구로부터 자신이 원하는 것만을 생각한다. 이 시기의 유아는 에너지와 활동 정도가 비슷하고 같은 활동에 참여하는 동성의 친구와 친한 경향이 있다. 즉, 자신을 좋아하고 유사한 유형의 놀이를 함께 즐기는 친구를 좋아한다. 또한 친구의 외모가 멋있거나 무엇을 잘 주기 때문에 친하다고 하기도 한다.
유아가 점차 또래지향적이 되면서 이들의 상호작용특성도 변화한다. 이는 놀이에서도 나타나 유아는 다른 유아를 관찰하는 것에서부터 점차 사회적인 놀이를 하게 된다.
2) 사회적 행동
사회적 행동이란 다른 사람과 원만한 관계를 가지며 주변 환경에 잘 대처하는 것이다. 이중 친사회적 행동이란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 즉 도움 주기, 나누어 갖기 등 사람들 사이의 우호적인 관계를 촉진하나 유지하는 행동이다(이숙재 이봉선, 1999, P. 255). 이러한 친사회적 행동은 유아기에도 가능하여 2~3세경의 유아도 다른 유아를 도와주거나 장난감을 나눠주기도 하고 위안을 주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그러나 자기가 먹기에도 부족한 과자를 나누어 먹는 것과 같은 자발적이고 자기희생적인 친사회적 행동은 드물게 나타난다(Shaffer, 1999, PP. 523-524). 친사회적 행동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발달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8.19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