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아기의 발달적 변화] 영아기 수면변화, 두뇌발달, 뇌의 발달과 분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아기의 발달적 변화] 영아기 수면변화, 두뇌발달, 뇌의 발달과 분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수면의 변화

II. 영아기 두뇌발달

III. 뇌의 발달과 분화

IV. 뇌는 움직임과 자극에 의해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감싸고 있는 '대뇌피질(cerebral cortex)'이다. 인간을 만물의 영장이라 할 수 있는 것은 대뇌피질의 사고력 때문이다.
원숭이나 돌고래 등도 대뇌피질이 발달하여 사고 작용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인간만큼 발달되지 않아 3-4세 유아의 지능수준에 머문다. 코끼리 같이 큰 동물은 뇌도 커서 지능이 높을 것 같은데도 저등한 상태에 머무는 것은 대뇌피질이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간의 대뇌피질은 거대한 조직으로 왼쪽 오른쪽으로 나뉘어져 있다. 나뉘어진 인간의 두뇌는 좌뇌와 우뇌에 따라 각기 다른 사고를 한다. 즉 좌뇌는 말, 계산, 논리 등의 기능을 맡고, 우뇌는 감정과 직감, 공간지각 등의 사고기능을 맡아 분업화하고 있다. 그러나 좌뇌와 우뇌는 뇌량이라는 신경다발의 연결고리로 연결되어져 각각의 뇌의 기능을 통합해 기억이나 논리적인 사고, 창조적 문제해결력 등을 가능하게 해준다.
IV. 뇌는 움직임과 자극에 의해 발달
뇌는 왜 식물에게는 없고 동물에게만 있는 것일까. 지구상의 많은 생물들을 살펴보면 뇌는 움직이는 동물에게만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식물에게는 뇌가 필요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점은 태어난 아기에게 움직임을 많이 제공해 주는 것이 두뇌 발달에 유익하다는 것을 말해 준다. 성장기 아동이 신체적으로 활발히 움직이고 운동하는 것은 운동기능을 익힌다는 점 외에도 두뇌에 영양을 공급하고 뇌신경 전달물질을 촉진시켜 아동의 두뇌기능을 향상시킨다.
또 두뇌는 아기가 경험하는 다양한 감각적 자극에 의해 발달한다. 엄마가 들려주는 이야기와 피부 접촉에 의한 청각 촉각자극은 두뇌의 감각피질의 뉴런과 연결되어 하나의 회로를 만들기 시작한다. 감각적 자극과 운동에 의해 잘 발달된 뇌는 성인이 될 무렵 1천억 개 이상의 뉴런으로 복잡하게 읽히게 된다. 이러한 얽힘으로 인해 두뇌는 무한한 잠재능력을 갖게 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8.19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4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