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의 의미와 배우자 선택기준의 변화(결혼의 의미와 목적, 배우자 선택조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혼의 의미와 배우자 선택기준의 변화(결혼의 의미와 목적, 배우자 선택조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결혼의 의미와 배우자 선택기준의 변화

I. 결혼의 의미와 목적

II. 배우자 선택조건
1. 배우자 선택 조건
2. 배우자와 그 가족에 관한 정보

III. 참고문헌

본문내용

, 남자, 여자, 연령층에 따라 가치를 두는 것에 차이가 있다. 이것은 각자의 입장에서 가치를 두는 것이 다른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공통된 것은 학벌, 외모, 가문이 결혼의 결정적인 요인이 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결혼의 결정적인 요인은 성격이고, 직업과 건강 그리고 성장배경이 중요한 조건인 것을 볼 수 있다.
표. 기혼여성과 미혼자의 배우자 선택조건(단위: %)
기혼이든 미혼이든 또는 어느 연령층이든 간에 성격을 배우자의 조건으로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결혼생활을 지속하는 데 있어 절대적인 조건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혼의 사유로서 성격차이를 가장 많이 지적하고 있는 것과도 일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학벌보다도 직업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과 경제력보다는 장래성을 더욱 중요시하는 것은 합리적이고 현실적인 배우자 선택 조건이라고 본다.
(2) 배우자와 그 가족에 관한 정보
결혼결정과정에서 배우자와 배우자 가족에 관하여 어느 정도 알고 결혼하였는지에 관한 아래의 표에 의하면 1996년도에는 59% 정도, 그리고 2001년도에는 응답자의 67% 정도가 배우자만이 아니라 가족에 관하여도 어느 정도 또는 많이 알고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도에는 오히려 더 많은 사람들이 배우자와 그 가족에 관하여 좀 더 알고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배우자 선택의 기준이 본인 중심적으로 변화하고 핵가족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으나 배우자의 가족에 관한 관심은 더 많아진 것을 의미한다.
표. 배우자의 선택조거(단위: %)
통계적으로 제시할 수는 없지만 저자의 결혼상담 경험을 근거로 할 때 배우자 선택과정과 결혼하기 전까지 배우자의 가족에 관하여 아는 것이 없었고, 배우자 가족과 좋은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결혼한 것이 부부갈등의 발생과 상관관계가 적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에 배우자와 배우자의 가족에 관하여 많은 것을 알고 더 나아가 배우자의 가족과 좋은 관계를 형성한 이후 결혼하는 것이 결혼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은 결혼조건이 부부 중심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실제의 생활에서는 배우자 가족과의 관계가 결혼생활을 지속하는 데 있어 중요한 요인임을 말해준다. 또한 배우자 가족과의 관계에 관심을 두는 것은 결혼 이후에도 배우자 가족과의 밀접한 관계가 지속되고 상호간에 의존성이 지속되는 한국가족제도에서 배우자 가족과의 관계는 결혼생활을 계속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III.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0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0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8.19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4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