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기 신체-운동발달(유아의 신체발달 및 운동능력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기 신체-운동발달(유아의 신체발달 및 운동능력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유아기 신체 및 운동발달

I. 신체발달
1. 신장과 체중의 성장
2. 골격과 근육의 성장
3. 뇌의 성장

II. 운동기능의 발달
1. 대근육 운동발달
2. 소근육 운동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2세 유아들은 공을 잡을 때 팔과 손을 햇빛하게 펼쳐서 잡는다. 3세 정도가 되면 공을 가슴으로 잡기 위해 팔꿈치를 구부린다. 3세가 지나면서 어깨와 몸통, 다리를 사용하여 공을 받을 수 있게 되고, 5세 때는 공이 떨어지는 지점을 예측하여 몸을 이리저리 움직이며 손과 손가락만으로 공을 잡을 수 있게 된다.
(2) 소근육 운동발달
유아기는 눈과 손의 협응과 소근육의 통제도 발달하기 때문에 손의 사용이 점차 정교해진다. 일반적으로 소근육 운동기술은 여아가 앞서는 반면, 대근육 운동기술은 남아가 우세하다.
3세 유아는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작은 물체를 잡을 수 있지만 블록쌓기나 퍼즐 맞추기 등이 서투르다. 4세가 되면 소근육 운동기술이 상당히 발달하여 블록쌓기 등이 향상된다. 5세 유아는 종이를 반으로 접거나 글자나 숫자를 베낄 수 있고, 크레용으로 색칠을 할 수 있다. 3세경에 유아는 원, 사각형, 삼각형 등의 그림을 그릴 수 있고, 5세 이후가 되면 사람, 동물, 자동차, 나무, 집 등 실제 사물을 그릴 수 있게 된다.
소근육이 발달함에 따라 자조기술(self-help skill)이 획득되기 시작한다. 자조기술은 먹기, 옷 입기, 씻기, 배설하기 등과 같은 기본적인 생활습관을 습득하는 것으로, 이러한 습관은 경험이나 훈련을 통해 일정한 규칙이나 방법을 획득함으로써 향상되는 것이다.
2세 유아는 물을 엎지르지 않고 컵을 들고 마시는 것이 쉽지 않으며, 3세가 되면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혼자 마시고 먹을 수 있다. 2세가 되면 혼자서 숟가락으로 밥을 먹기도 하지만 음식을 많이 흘리며 3세경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모두 사용한다. 그러나 적절한 사용은 7-8세가 되어야 하며 개인차도 크다.
3세가 되면 옷을 벗을 수 있고, 4세 이후가 되면 옷을 입을 수 있다. 5-6세 이후가 되면 혼자서 옷을 벗고 입고, 단추를 채우고, 지퍼를 열고 닫을 수 있다.
대소변 가리기는 신경 및 근육의 성숙과 관련된다. 대소변에 관계하는 괄약근의 성숙이 대소변 가리기를 훈련시킬 때 전제조건이다. 2세 이후가 되면 괄약근이 발달되어 대소변 가리기 훈련의 적절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대체로 여아가 남아보다 배변통제 훈련을 더 달리 완수하지만 개인차가 있다. 이러한 개인차는 괄약근의 성숙도, 부모의 배변훈련 태도 그리고 영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5세가 지나도록 대소변 가리기가 안 되는 유아는 근육발달의 지연이나 정서적 문제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8.19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5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