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기의 친구관계(청소년기 이성친구관계, 또래집단에서의 수용과 인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기의 친구관계(청소년기 이성친구관계, 또래집단에서의 수용과 인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이성 친구
2. 또래집단에서의 수용과 인기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료들에게 주로 수용되는 개인적 특성들은 친절하다, 성실하다, 원만하다, 재치 있다, 자신감 있다, 지적 능력이 뛰어나다, 신체적으로 관심을 끌 수 있는 용모나 음성을 소유하고 있다 등이다. 반면 무시당하거나 거절되기 쉬운 개인적 특성은 신경질적이다, 자기중심적이다, 학업성적이 낮다, 도피적으로 대응하거나 변명을 잘한다, 자심감이 부족하다 등이다(Dodse, Coie & Brake, 1982; HartuP, Gharlesworth, 1967).
비록 어떤 하나의 특성이 사회적 수용이나 거부를 결정짓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람들 사이의 이해이다. 다시 말하면, 다른 사람의 견해나 감정을 이해하는 기술이 높은 청소년일수록 사회적으로 수용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자신의 역할을 충실히 하는 것도 수용에 공헌하는 행동일 수 있다(한상철, 조아마, 박성희, 1997).
한편 또래집단에서의 인기가 청소년들에게 가치 있고 중요하며 누구나 인기 있는 사람이 되고자 하지만, 또래집단에서 한 개인이 인기가 너무 높으면 오히려 그를 싫어할 수도 있다. 즉 인기가 높은 개인은 많은 사람들에게서 여러 가지 제의를 받기 때문에 이러한 제의나 요청을 모두 들어 줄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들은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자기와 비슷한 사람과 어울리게 된다. 따라서 일반또래들은 인기가 높은 개인들의 이러한 행동에 대해 실망하고 비난하게 되고 그 개인의 인기는 떨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사회적 기술이나 대인관계 기술이 부족한 청소년들의 또래와 어울리려는 시도는 많은 경우에 실패한다. 이들의 대인관계 문제는 적절하지 못한 가족관계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다. 즉 이들은 가정에서 타인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익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친구들로부터 거부당하고 가족의 애정적 지지가 없는 아이들은 점점 더 소외감을 느끼고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특히 적절하고 충분한 사회적 지지를 받지 못하고 또래들에게 인기 없는 청소년들은 스트레스에 상처받기 쉽다.
또래집단에서 거부당한 청소년들은 여러 가지 적응 문제를 보일 수 있는데, 거부의 빈도와 강도에 따라 부적응의 심각성은 달라진다. 이들이 보이는 부적응 문제에는 무단결석, 낮은 학업성취, 공격성 또는 철회된 행동 등이 있다. 비록 또래집단의 거부 빈도와 강도가 강할수록 그 부정적 영향은 크지만, 단 한 번의 거부를 당한 경험만으로도 무단결석과 학업성취를 저하시킬 수 있으며, 심하게는 학교생활의 낙오도 유발할 수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08.19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7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