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통적 가족제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의 전통적 가족제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다. 한국 가족 또는 집의 속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조상으로부터 후손까지 포함하는 집에 대한 의식과 조상승배사상은 가족성원들에게 소속감, 결속감과 일체감을 준다.
(2) 부재가족존속을 위한 계산의 유지와 확대는 의무이며 삶의 목표가 될 수 있고, 가족전체에 대한 책임의식을 기초로 하는 명분과 가치를 준다. 가부장제 가족에서는 가족성원들 간의 결속감을 갖도록 한다.
(3) 가계계승에 대한 의식은 남아선호사상이 지속되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남아선호 사상만이 변화하기를 기대하기는 힘들다고 본다.
(4) 가족구조 내의 서열의식은 가족 내의 질서를 유지하며, 경계를 분명히 한다.
(5) 집의 가문과 가풍은 각 가족성원의 행동을 규제하고, 가장의 가족성원들을 감독하는 권한은 가족성원들의 행동을 통제하고 감독한다. 가장을 중심으로는 가족성원들의 역할과 가족규칙이 분명할 때 가족은 좀 더 기능적이 된다.
(6) 집을 중심으로 여러 세대를 거쳐 이어지는 영속성은 가족일체감, 소속감, 안정감을 주며, 자기존재의식을 준다.
(7) 집은 개인의 출생과 성장, 질병, 노후대책, 사망, 자녀문제 등에 대한 전적인 책임을 지며, 가족성원들의 안정과 보장의 주체가 되므로 각 가족성원을 위하여 집은 물리적인 안식처만이 아니라 마음과 영혼의 안식처가 된다.
"집"을 중심으로 하는 가족의식은 현대 사회에서 사회적 조건과 가족 내적 조건으로 인하여 변질되어가고 있다고 의식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의 의식구조에 뿌리 깊이 숨어있고 전수되고 있는 것으로서 "집" 중심의 가족의식은 우리의 가족생활과 행동양식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족의 문제에 대한 접근에서 가족 또는 "집"의 본질적이며 잠재되어 있는 자원을 활성화하고 개발함으로써 많은 에너지를 확보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0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0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08.19
  • 저작시기201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17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