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액검사
2. 혈청면역검사
3. 혈액응고검사
4. 일반화학검사
5. 뇨검사
6. 면역화학검사
7. 체액검사
2. 혈청면역검사
3. 혈액응고검사
4. 일반화학검사
5. 뇨검사
6. 면역화학검사
7. 체액검사
본문내용
증가: 악성빈혈, 재생불량성 빈혈, 용혈성 빈혈, 간염
감소: 철결핍성 빈혈
Copper
Random:M-70~140μg/dl
F-80~155μg/dl
24hr:15~30μg/dl
증가: 간경화, 임신
감소: 윌슨 질환
Na
135~145 mmol/L
증가: 수분섭취 부족, ADH부족으로 인한 수분 과다상실, 쿠싱증후군
감소: 탈수, 전해질 상실, Addison질병, 이뇨제복용, 만성 신부전증, 만성 사구체신염, 굶주림, 당뇨병성 산독증, 간경화증, 울혈성 심부전증, 수분과잉섭취, 과다 정맥주입
K
3.5~5.3 mmol/L
증가: 신질환, 장폐색, 외상, 화상, 저 aldosterone증
감소: K섭취저하, K배설상승, 위장관 튜브, 장기간 흡인, 구토, 간경화증, 쿠싱증후군, 굶주림
Cl
98~110 mmol/L
증가: 탈수증, 만성신장염, 염분과잉, 화상
감소: 구토, 만성설사, 과식, 신우신염, 당뇨병, 중금속 중독, 쿠싱병, 장협착, 열성상태
Mg
1.8~2.4mg/dL
증가: 근무력증, 전신마취, 부분 갑상선 절제술
감소: 과도한 신경흥분, 경련증상, 임신중독증, 중증 신질환, 만성 알콜중독
T. Calcium
8.4~10.2 mg/dL
증가: 비타민 D과잉증,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악성종양
감소: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비타민 D저하증
Glucose
70~110 mg/dL
증가: 당뇨병, 갑상선 기능항진증, 말단비대증, 감염, 암
RPR (정밀)
Negative(<1.0) R.U
감염 3~6주 후에 항체가 생성되며, 2차매독기에 역가가 최고치에 이른다.
HS-CRP(정량)
0.00~0.30 mg/dL
급성염증을 나타내는 물질로 ESR보다 예민하다. 감염후 14~26시간내 나타나 회복기에 소실된다. 세균감염증, 류마티스열, 급성심근경색 때 증가하고, 악성종양에서도 증가한다.
CK-MB
<5%
증가: 심근경색 시작후 3~6시간에 오르기 시작, 12~24시간후 최고치가 되고, 12~48시간에 정상으로 돌아온다.
CPK
M:50~325
F:5~250mu/ml
증가: 근골격계 질환, 근육주사시, 쿠싱증후군, 갑성선 기능저하, 망상, 심혈관계질환
감소: 갑상선기능항진, 류마티스 관절염, 고빌리루빈혈증, SLE화학요법
γ-GT
M:3~39U/L
F:1~27U/L
증가: 알콜성 간염, 활동성 지방간염, 간경변, 지방간, 간암,각종 간담도 질환
ACE
M:30.2± 17.6U/L
F:26.2± 6.0U/L
증가: 간질환, 일차성 담도 경화증, 아밀로이드
5. 뇨검사
검사명
정상치
임상적 의의
Color
Yellow
Turbidity
Clear
Blood
-
비정상은 존재, 수혈반응, 용혈성 빈혈, 화상, 말라리아, 독성약물 복용
Bilirubin
-
증가: 간염, 간기능저하, 간세포 질환, 담도협
Urobilinogen
±
증가: 간 및 담도질환, 용혈성 질환
감소: 담도의 완전 혹은 불완전 폐색, 설사, 신부전
KETONE
-
수술전, 임신, 당뇨병, 산증, 심한 구토, 기아
Protein
-~±
증가: 사구체신염, 전신성 홍반성낭창, 신증후군, 신장질환, 외상, 중증빈혈, 복부종양, 갑상선기능항진, 심장병, 장협착
Nitrite
-
요로감염증의 여부를 진단, 양성이면 세균학적 검사가 재 요구된다.
Glucose
-
식이성 당뇨, 과도한 흥분, 임신성 당뇨, 송과선 장애, 혈압상승
PH
5.0~8.5
증가: 요로감염, 유문부협착
감소: 발열, 운동 등후, 신장기능저하, 거단백식이
S.G
1.005~1.030
증가: 당뇨병, 신증, 체액상실
감소: 중증의 신장 손상, 소변량 증가
RBC
1~4 /HPF
헤모글로빈뇨증, 중독, 매독, 말라리아, 중증화상, 신장질환
WBC
1~4 /HPF
부적합 수혈, 용혈성 빈혈, 신우신염
Epitherial cell
1~9 /HPF
요중 상피세포의 유출은 하부요로, 방광질환의 지표.
Bence-Jones protein
-
Myeloma가 있을때 골수에서생성되어 요중에 나타남
6. 면역화학검사
검사명
정상치
임상적 의의
Transferrin
230~320mg/dl
증가: 임신, 철결핍성 빈혈, 출혈중, 급성간염, 다혈구혈증
감소: 악성빈혈, 염색성 겸상적혈구빈혈, 간신생물과 간질환
Ferritin
M:29~371ng/ml
F:폐경전-5~96ng/ml
폐경후-5~277ng/ml
증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감소: 철결핍
Ig A
M:100~490mg/dl
F:85~450mg/dl
증가: 감마 A 골수종, 자가면역질환, 간경화
감소: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Ig D
0~3mg/dl
증가: Ig D 골수종, 만성 감염성 질환
Ig E
20~740ng/ml
증가: 알러지 환자, parasitic infection있는 환자
Ig G
800~1750mg/dl
증가: IgG골수종, Following hyperimmunization, 자가면역성질환, 만성 감염증
감소: 선천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Ig A 골수종
긴장성단백질소실,Some malabsorption syndrome
Ig M
M:50~320mg/dl
F:60~370mg/dl
증가: parasitic infection, 간염, Waldenstrom's macroglo bulinemia
감소: 몇몇 Ig A, Ig G골수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무감마글로불린혈증
7. 체액검사
검사명
정상치
임상적 의의
Appearance
colorless
증가: 화농성 수막염, 일본뇌염: 농성혼탁
RBC
WBC
0
0~5
증가: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뇌척수매독,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감소: 일본뇌염
Differential count
Lympo
증가: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뇌종양
Protein
15~45mg/dl
증가: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뇌척수매독,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외상, 출혈, 요붕증, 다발성 신경염
감소: 신속한 뇌척수액 생산
Glucose
50~80mg/dl
증가: 일본뇌염
감소: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감소: 철결핍성 빈혈
Copper
Random:M-70~140μg/dl
F-80~155μg/dl
24hr:15~30μg/dl
증가: 간경화, 임신
감소: 윌슨 질환
Na
135~145 mmol/L
증가: 수분섭취 부족, ADH부족으로 인한 수분 과다상실, 쿠싱증후군
감소: 탈수, 전해질 상실, Addison질병, 이뇨제복용, 만성 신부전증, 만성 사구체신염, 굶주림, 당뇨병성 산독증, 간경화증, 울혈성 심부전증, 수분과잉섭취, 과다 정맥주입
K
3.5~5.3 mmol/L
증가: 신질환, 장폐색, 외상, 화상, 저 aldosterone증
감소: K섭취저하, K배설상승, 위장관 튜브, 장기간 흡인, 구토, 간경화증, 쿠싱증후군, 굶주림
Cl
98~110 mmol/L
증가: 탈수증, 만성신장염, 염분과잉, 화상
감소: 구토, 만성설사, 과식, 신우신염, 당뇨병, 중금속 중독, 쿠싱병, 장협착, 열성상태
Mg
1.8~2.4mg/dL
증가: 근무력증, 전신마취, 부분 갑상선 절제술
감소: 과도한 신경흥분, 경련증상, 임신중독증, 중증 신질환, 만성 알콜중독
T. Calcium
8.4~10.2 mg/dL
증가: 비타민 D과잉증,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악성종양
감소: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비타민 D저하증
Glucose
70~110 mg/dL
증가: 당뇨병, 갑상선 기능항진증, 말단비대증, 감염, 암
RPR (정밀)
Negative(<1.0) R.U
감염 3~6주 후에 항체가 생성되며, 2차매독기에 역가가 최고치에 이른다.
HS-CRP(정량)
0.00~0.30 mg/dL
급성염증을 나타내는 물질로 ESR보다 예민하다. 감염후 14~26시간내 나타나 회복기에 소실된다. 세균감염증, 류마티스열, 급성심근경색 때 증가하고, 악성종양에서도 증가한다.
CK-MB
<5%
증가: 심근경색 시작후 3~6시간에 오르기 시작, 12~24시간후 최고치가 되고, 12~48시간에 정상으로 돌아온다.
CPK
M:50~325
F:5~250mu/ml
증가: 근골격계 질환, 근육주사시, 쿠싱증후군, 갑성선 기능저하, 망상, 심혈관계질환
감소: 갑상선기능항진, 류마티스 관절염, 고빌리루빈혈증, SLE화학요법
γ-GT
M:3~39U/L
F:1~27U/L
증가: 알콜성 간염, 활동성 지방간염, 간경변, 지방간, 간암,각종 간담도 질환
ACE
M:30.2± 17.6U/L
F:26.2± 6.0U/L
증가: 간질환, 일차성 담도 경화증, 아밀로이드
5. 뇨검사
검사명
정상치
임상적 의의
Color
Yellow
Turbidity
Clear
Blood
-
비정상은 존재, 수혈반응, 용혈성 빈혈, 화상, 말라리아, 독성약물 복용
Bilirubin
-
증가: 간염, 간기능저하, 간세포 질환, 담도협
Urobilinogen
±
증가: 간 및 담도질환, 용혈성 질환
감소: 담도의 완전 혹은 불완전 폐색, 설사, 신부전
KETONE
-
수술전, 임신, 당뇨병, 산증, 심한 구토, 기아
Protein
-~±
증가: 사구체신염, 전신성 홍반성낭창, 신증후군, 신장질환, 외상, 중증빈혈, 복부종양, 갑상선기능항진, 심장병, 장협착
Nitrite
-
요로감염증의 여부를 진단, 양성이면 세균학적 검사가 재 요구된다.
Glucose
-
식이성 당뇨, 과도한 흥분, 임신성 당뇨, 송과선 장애, 혈압상승
PH
5.0~8.5
증가: 요로감염, 유문부협착
감소: 발열, 운동 등후, 신장기능저하, 거단백식이
S.G
1.005~1.030
증가: 당뇨병, 신증, 체액상실
감소: 중증의 신장 손상, 소변량 증가
RBC
1~4 /HPF
헤모글로빈뇨증, 중독, 매독, 말라리아, 중증화상, 신장질환
WBC
1~4 /HPF
부적합 수혈, 용혈성 빈혈, 신우신염
Epitherial cell
1~9 /HPF
요중 상피세포의 유출은 하부요로, 방광질환의 지표.
Bence-Jones protein
-
Myeloma가 있을때 골수에서생성되어 요중에 나타남
6. 면역화학검사
검사명
정상치
임상적 의의
Transferrin
230~320mg/dl
증가: 임신, 철결핍성 빈혈, 출혈중, 급성간염, 다혈구혈증
감소: 악성빈혈, 염색성 겸상적혈구빈혈, 간신생물과 간질환
Ferritin
M:29~371ng/ml
F:폐경전-5~96ng/ml
폐경후-5~277ng/ml
증가: 급성 골수성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감소: 철결핍
Ig A
M:100~490mg/dl
F:85~450mg/dl
증가: 감마 A 골수종, 자가면역질환, 간경화
감소: 무감마글로불린혈증, 저감마글로불린혈증
Ig D
0~3mg/dl
증가: Ig D 골수종, 만성 감염성 질환
Ig E
20~740ng/ml
증가: 알러지 환자, parasitic infection있는 환자
Ig G
800~1750mg/dl
증가: IgG골수종, Following hyperimmunization, 자가면역성질환, 만성 감염증
감소: 선천성 저감마글로불린혈증, Ig A 골수종
긴장성단백질소실,Some malabsorption syndrome
Ig M
M:50~320mg/dl
F:60~370mg/dl
증가: parasitic infection, 간염, Waldenstrom's macroglo bulinemia
감소: 몇몇 Ig A, Ig G골수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무감마글로불린혈증
7. 체액검사
검사명
정상치
임상적 의의
Appearance
colorless
증가: 화농성 수막염, 일본뇌염: 농성혼탁
RBC
WBC
0
0~5
증가: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뇌척수매독,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감소: 일본뇌염
Differential count
Lympo
증가: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뇌종양
Protein
15~45mg/dl
증가: 바이러스성 수막염,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뇌척수매독,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외상, 출혈, 요붕증, 다발성 신경염
감소: 신속한 뇌척수액 생산
Glucose
50~80mg/dl
증가: 일본뇌염
감소: 결핵성 수막염, 화농성 수막염, 지주막하출혈, 유행성 수막염, 뇌종양
키워드
추천자료
진단적 검사
여러가지 심리검사도구(진단도구)
신경계의 구조와 기능, 의식 수준 사정, 신경계 진단적 검사
간의 진단적 검사
진단적 검사 레포트
소화기계 해부생리 & 진단적 검사
정신지체 분류,원인, 증상및 특징,진단준거, 평가, 검사도구
진단적 검사의 정상, 비정상의 결과 해석
장애진단 검사 결과 분석
[뇌혈관][뇌혈관 명칭][뇌혈관 질환][뇌혈관 진단과 증상][뇌혈관과 뇌혈류장애][뇌혈관과 뇌...
[심리진단 및 평가] 한 개인에 대한 심리진단 및 평가의 주요 도구인 면담, 행동관찰, 심리...
응급실 진단 검사 레포트, 진단 검사 레포트입니다. ^^
[이상심리학]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 전환장애의 사례와 임상적 특징(개념과 증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