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가지 심리검사도구(진단도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그림 자음 검사(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1) 검사개요
2) 검사방법

2. 언어 이해·인지력 검사
1) 검사개요
2) 검사방법

3. 상징놀이
1) 정의
2) 의의
3) 구성 요소
4) 상징놀이의 발달기관과 언어발달의 관계 비교
5) 상징놀이를 통한 언어지도

4. 그림어휘력 검사
1) 검사대상
2) 검사목적
3) 검사 준비물
4) 검사절차
5) 검사실시 및 채점방법
6) 검사결과의 해석
7) 검사시 유의점

5. TOLD-P
1) 검사개요
2) 검사방법
그림을 통한 어휘력
구어를 통한 어휘력
문법 이해
문장 모방
문법적 완성
단어 식별
조음

6. S-S법에 기초한 언어 발달 지체 검사법(일본 신체장애자 재활 센터)
1) 개발배경
2) 검사대상
3) 검사영역
4) 장점
5) S-S(기호형식- 지시내용) 관계의 단계

7. 유아의 언어 발달 진단 검사(REEL)
1) 검사개요
2) 검사방법

8. 기능적 언어행동(Pragmatics)
1) 검사개요
2) 검사내용 및 방법
3) 검사시 유의 사항
4) 검사의 제한점

9. PPVT-R - Lloyd M. Dunn & Loeta M. Dunn
(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Reedition)
1) 검사대상
2) 검사목적
3) 검사시 준비물
4) 검사실시의 절차
5) 채점방법
6) 연령별 시작 문항 번호
7) 참고점

10. PLS (Preschool Language Scale)
-Zimmerman & Steiner
1) 검사개요

11. 정신 지체 아동의 의사소통 및 그에 필요한 인지 발달
(Generic Skills Assessment Profile)
1) 정의
2) 대상
3) 목적
4) 구성
5) 검사방법
6) 유의점

12. Evaluating Aquired Skills in Communication(EASIC)
1) 개요
2) 구성(5단계)
3) 준비물
4) 장점
5) 유의점
6) 반응 기록 양식

13. 문장 이해력 검사
1) 검사대상
2) 검사목적
3) 검사시 준비물
4) 검사실시 및 채점방법
5) 검사결과의 해석
6) 검사시 유의점
7) 검사지의 특징

본문내용

않았고 어떤 명칭을 줄 때 사물인지가 아직 되지 않는 초기 언어발달에 있는 아동을 평가한다.
◇ 평가내용: 감각자극, 사물의 개념, 수단-목적 관계, 동작모방, 짝짓기, 거부나 요구 나타내기, 이해와 몸짓으로 전달하기, 사회성
⑵ 언어이해 Ⅰ단계: 손으로 가리키거나 지시에 따르는 반응
언어이해의 시작 단계 기술을 평가한다. 간단한 명칭, 쉬운 위치와 전치사를 포함하는 명령, 초기 형용사, 기본적인 질문에 대한 이해를 본다.
◇ 평가내용: 명사로 된 사물의 이름 이해하기, 지시 따르기, 짝맞추기, 그림에 있는 명사 이름 이해하기, 동작 지시 따르기, 두 낱말로 된 구 이해하기, 위치와 장소에 관한 지시 따르기, 분류하기의 범주에 따라 나누기, 형용사와 속성, 의문사
⑶ 언어표현 Ⅰ단계: 말, 수화 또는 부가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 표현하기
말 사용 초기의 표현 수준을 평가한다. 간단한 명칭을 말하고 기본 동사, 단순한 위치 부사, 초기 형태의 문장 구조들을 사용하는 아동에게 실시한다.
◇ 평가내용: 명사로 말하기, 행위와 동사, 없다·긍정·부정, 장소와 위치 부사, 형용사와 속성, 두 낱말의 구, 의문사, 사회적 교류, 화용론적 분석
⑷ 언어이해 Ⅱ단계: 손으로 가리키거나 지시에 따르는 반응
복잡한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기능을 이해하는 아동들의 기술을 평가한다.
◇ 평가내용: 명사로 된 사물 기능 이해하기, 인칭·소유격 이해하기, 지시 따르기, 시제 이해하기, 긍정·부정 이해하기, 세 낱말로 된 구 이해하기, 위치와 장소에 관해 이해하기, 분류와 연관하기, 반대말 이해하기, 최상급 이해하기, 동전 단위 이해하기, 다양한 질문 이해하기
⑸ 언어표현 Ⅱ단계: 말, 수화 또는 부가적인 의사소통 방법으로 표현하기
복잡한 형태적,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기능을 표현하는 아동의 기술을 평가한다.
◇ 평가내용: 사물의 이름과 대명사, 동사, 긍정과 부정, 복수개념, 범주 나누기, 형용사와 속성, 세 낱말 구, 의문사, 사회적 교류, 순서화 하기의 문장 구조, 화용론적 분석
3) 준비물
종, 장난감, 좋아하는 과자, 컵, 칫솔, 크레파스, 막대기, 끈, 보자기, 상자와 블록, 종이, 신발, 빗, 숟가락, 태엽장난감, 차, 공, 인형, 그림카드, 의자 등이 필요.
4) 장점
언어발달이 느린 아동들을 오랜 기간 동안 교육하는 기관에서 정기적(6개월 또는 1년)으로 아동의 발달을 검사할 때 용이하도록 고안되었다.
⑴ 아동의 언어를 영역별로 나누어 전반적으로 한 눈에 볼 수 있다.
⑵ 작은 변화라도 전진을 볼 수 있도록 세분화되어 있다.
⑶ 각 항목별 검사는 지도목표로 전환시켜 사용할 수 있다.
5) 유의점
아동의 수용언어 또는 표현 언어 연령을 한마디로 제시하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미국에서 개발된 것을 번역한 것이므로 사용 시 항목에 따라서는 한국의 아동 언어발달 연령과 차이를 보일 수도 있으며 한국어에서 중요시되는 개념이 충실하지 않은 경우도 있다.
6) 반응 기록 양식
X = 습득된 기술: 아동 반응의 대부분이 자발적인 것
- 8개 중 7개가 자발적이고 1개가 힌트에 의한 것일 때
\ = 조금씩 보이는 기술: 아동 반응이 대부분이 힌트에 의한 것
- 8개 중 6개가 힌트에 의한 것이고 1개가 자발적인 것이고 1개는 모방에 의한 것일 때
· = 아직 습득되지 않은 기술: 아동 대부분이 반응에 의한 것이고 도움에 의한 것
- 8개 중 5개가 모방에 의한 것이고 1개가 힌트에 의한 것이고 2개가 도움에 의한 것일 때
13. 문장 이해력 검사(서울 장애인 종합 복지관)
1) 검사대상
정상아동은 물론 정신지체, 청각장애, 언어장애, 자폐, 행동과다, 뇌성마비 및 주의력 결핍 등의 문제로 인해서 언어에 문제가 있는 아동들이다.
2) 검사목적
4세∼6세 11개월의 아동들에 대한 문장 이해 능력의 수준을 측정
3) 검사시 준비물
⑴ 검사 실시 요강
이 검사를 실시하고 채점하여 결과를 처리 할 수 있는 과정들이 자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⑵ 검사자료⇒그림자료를 말함.
⑶ 검사지
1∼27번 문항이 순서대로 기술되어 있으며, 검사실시 후 검사일시, 원점수, 등가연령, 백분위 점수를 계산하여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4) 검사실시 및 채점방법
⑴ 검사의 시작과 중지
검사지는 아동의 생활연령에 관계없이 1번 문항부터 시작한다. 만약 아동이 첫 문항부터 시작하여 연속적으로 5문항 이상 실패하면 검사를 중단한다.
⑵ 채점
각 문항은 1점씩 배당한다. 검사지에 아동이 반응한 결과를 정확하게 기록하고 총점란에 맞는 개수를 기록한다.
⑶ 기록방법
▷통 과 : + ▷ 실 패 : - ▷ 무반응 : NR ▷ 실시안함 : ·
5) 검사결과의 해석
⑴ 백분위 점수의 산출
원점수를 통해서 백분위 점수를 산출한다. 백분위 점수는 얻어진 자료의 크기를 순서로 늘어놓아 100등분하는 값을 말한다.
⑵ 등가연령의 산출
등가연령은 생활연령에 관계없이 아동이 본 검사에서 받는 원점수가 어떤 발달수준(연령)에 해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수치이다.
원점수를 통하여 등가연령은 다음과 같이 산출한다.
▷ 등가연령 산출표
연 령
원 점 수
4세 ∼ 4세 11개월
5세 ∼ 5세 11개월
6세 ∼ 6세 11개월
12∼17
18∼21
22∼23
6) 검사시 유의점
⑴ 아동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검사자와 충분한 관계 형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⑵ 검사실시 때 아동에게 용기를 북돋아 주기 위해서 "재미있나 보구나", "빨리 하는 구나"와 같은 말들을 해준다. 그러나 "잘 했다", "맞았다"와 같이 점수와 관계된 말은 하지 않는다.
⑶ 아동이 맞게 지적하도록 유도하면 안 되고 망설이거나 위축되어 있으면 자신감을 가지도록 칭찬하여 준다.
⑷ 모든 문항은 쓰여진 문장을 그대로 정확하게 읽어준다. 만일 지적하기를 머뭇거린다면 그 문항을 한번 더 읽어줄 수는 있으나 그 이상의 요구에는 응하지 않는다.
⑸ 검사 중 아동이 자발적으로 답을 수정하면 수정한 답으로 채점한다.
7) 검사지의 특징
실시가 간편하고 누구나 정해진 실시방법에 따라 실시가 가능하다. 정상아동은 물론, 장애 아동의 문장 이해 능력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5.04.22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