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며
II. 성격분석
가. MMPI
1. 결과분석
가) 타당도 척도
나) 임상척도
나. MBTI
1. 결과분석
가) 선호경향
나) 성격유형 - ESTJ
III. 나오며(나에대해 알게된점)
-참고문헌
II. 성격분석
가. MMPI
1. 결과분석
가) 타당도 척도
나) 임상척도
나. MBTI
1. 결과분석
가) 선호경향
나) 성격유형 - ESTJ
III. 나오며(나에대해 알게된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드러나는 것들을 얘기하는 편이다. 숲보다는 나무를 보는 편이고 단기적 목표가 중요하게 느껴진다. 눈 앞의 당장의 목표가 늘 필요했다. 그렇지 않으면 나태해지고 게을러져서 단기적 목표가 필요했다. 최근의 경험을 얘기하자면, 그 해에 결혼을 목표 삼아 추진하다가, 현실적 장벽에 부딪혀 그 해에 이루어 질 수 없었다. 그러다 보니 시간을 그냥 아깝게 흘러 보내는 것 같아, 단기 목표를 찾았는데 그것이 교육대학원 상담과정에 입학하여 공부하는 것이었다.
의사결정 - 사고형(Thinking:T)
설 명
대표적 표현들
진실과 사실에 주관심을 갖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진실, 사실에 주관심
원리와 원칙
논거, 분석적
맞다, 틀리다
규범, 기준중시
지적 논평
선호점수는 37점으로 뚜렷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나의 경향성들 중에 가장 뚜렷한 선호도를 보인다. 어떤 일은 머리로 사고하여 결정한다. 진실, 정의, 공정함에 더 가치를 둔다. 일관성을 선호하고, 논리적인 것을 가치롭게 여기고 신뢰한다. 성취욕구가 강한 경향이 있다.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부분이기도 하고, 실제로 아내와 내가 가장 큰 차이를 느끼는 부분이다. 나에게는 사고와 합리적 논리적 결정이 중요한데, 아내에게는 감정, 가슴으로 판단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실제 여러 생활에서 부딪히며 느끼는 부분이다. TV시청 할 때도 토론 프로그램을 즐겨 보게 된다.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면 늘 백지에 그 문제에 대한 장단점을 리스트로 적어보며 판단을 내린다.
생활양식 - 판단형(Judging:J)
설 명
대표적 표현들
분명한 목적과 방향이 있으며 기한을 엄수하고 철저히 사전계획하고 체계적이다
정리 정돈과 계획
의지적 추진
신속한 결론
통제와 조정
분명한 목적의식과 방향감각
뚜렷한 기준과 자기의사
선호점수 23점으로 뚜렷한 선호도를 보인다. 어떤 일이든 계획적으로 해야 한다. 한번에 한가지 일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아니, 한가지 밖에 못한다. 여러 일을 한꺼번에 하지 못한다. 갑작스러운 사태에 놓이면 많이 당황하기 때문에 준비되어 있기를 바란다. 추진력이 있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다. 주제가 분명한 것을 좋아한다.
선교단체의 한 후배가 나를 다른 사람에게 얘기할 때면 늘 하는 얘기가 있다. 내가 복학을 하면서 S에 갔더니 조직이 너무 허술하게 되어 있어 잘 돌아가지 않기에 조직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였다. 부서를 몇 개로 나누고 부장을 세우고, 규약을 손질하고, 교육과정 체계(양육자-피양육자)도 다시 세우고... 그랬더니 그 후배는 나를 보면 늘 그때의 일을 얘기한다.
S 활동을 하면서 특히 추진력 있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어떤 목표를 세우고 일을 계획하면 그 목표달성과 성취를 위해 주위 지체들을 때로는 매몰차게 이끌었었다. 그 결과 추진력 있다는 칭찬은 들을 수 있었지만, 지체들과 관계가 돈독해지지는 못했던 것 같다.
성격유형 - ESTJ
ESTJ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모범적이고 솔선 수범한다.
정리정돈을 잘하고 책임감이 강하다.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
공정한 것을 선호한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이고 사실적이며, 기업 또는 기계에 재능을 타고난다.
실용성이 없는 일에는 관심이 없으며 필요할 때 응용할 줄 안다.
활동을 조직화하고 주도해 나가기를 좋아한다.
타인의 감정이나 관점에 귀를 기울일 줄 알면 훌륭한 행정가가 될 수 있다.
위의 특성들이 거의 맞아 떨어진다. 학창시절은 모범생이었다. 특별히 말썽 피우거나 부모의 속썩일 일은 별로 하지 않은 것 같다. 책임감이 강하다. 가정에서 막내지만 동시에 장남이어서 그런지 책임감이 강한 것 같다. 책임질 위치에서 어떤 일을 맡으면 그 일에는 반드시 책임감을 가지고 수행하였고, 책임을 지는 자세를 보였다. 지는 것을 엄청 싫어한다. 어떤 경쟁이든 반드시 이겨야 직성이 풀린다. 모든 일은 공정해야 한다. 어릴 때에도 공정하지 않은 일에는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따지기도 했다. 활동을 조직화하고 주도해 나가기를 좋아한다. 수동적인 상황을 아주 싫어한다. 늘 내가 앞장 설 수 있는 상황이 편하다. 어릴 때에도 줄곧 대장 역할을 도맡아 하면서 놀았다. 그럴 수 없는 아이들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요즘도 내가 주눅이 드는 상황이나 주도할 수 없는 상황은 매우 불편하다.
나오며
MMPI와 MBTI의 두 성격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성격을 포함하는 나 자신에 대해 성찰해 보았다.
MMPI는 정신과적 진단분류가 일차적인 목적이나 정상집단에 대해서도 성격경향성을 평가하는데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검사이다. 검사 전에는 검사 결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조금은 흥분된 심정으로 검사에 임했으나 검사 후에 솔직히 조금 실망감이 든 것은 모든 면에서 정상적이라는 결과를 우선 접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자세하게 검사 결과들을 살펴보면서 그 전체적으로 정상적인 수치 속에서도 어느 정도 성격의 경향들을 살필 수가 있었다.
일반인들에게도 가장 많이 알려지고 보편화된 성격검사는 MBTI일 것이다. 그 만큼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이기에 좀 더 전문적인 지식을 쌓아야 할 필요를 느낀다.
성격검사의 결과들을 보면서 나 자신을 살피는 와중에 가끔씩 드는 생각은 분류되어 있는 성격특성들에 나 자신을 끼어 맞추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이 심리검사의 결과들은 나 자신을 알고 깊이 성찰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서 활용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또한 이 결과들이 절대적인 것도 아닐 것이다.
나의 과거를 살펴보면서 드는 생각은 대인관계, 업무관계 경험들과 함께 나이가 들면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쳤던 나의 성격적 경향성들이 성격의 상반된 다른 면들과 통합을 이루면서 조화롭게 성장해 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남아 있는 생의 기간이 더 많다면 성품에 있어서 크리스챤의 이상인 예수님의 모습을 더 닮아가고 성령의 열매들을 맺는 방향으로 성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최정윤(2002).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김중술(1996).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대학교출판부
경상북도교육연수원(2003). 초등1,2급 정교사 자격연수
http://www.mbti.co.kr
의사결정 - 사고형(Thinking:T)
설 명
대표적 표현들
진실과 사실에 주관심을 갖고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며 객관적으로 판단한다
진실, 사실에 주관심
원리와 원칙
논거, 분석적
맞다, 틀리다
규범, 기준중시
지적 논평
선호점수는 37점으로 뚜렷한 선호도를 나타낸다. 나의 경향성들 중에 가장 뚜렷한 선호도를 보인다. 어떤 일은 머리로 사고하여 결정한다. 진실, 정의, 공정함에 더 가치를 둔다. 일관성을 선호하고, 논리적인 것을 가치롭게 여기고 신뢰한다. 성취욕구가 강한 경향이 있다. 남자와 여자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부분이기도 하고, 실제로 아내와 내가 가장 큰 차이를 느끼는 부분이다. 나에게는 사고와 합리적 논리적 결정이 중요한데, 아내에게는 감정, 가슴으로 판단하는 부분이 많다는 것을 실제 여러 생활에서 부딪히며 느끼는 부분이다. TV시청 할 때도 토론 프로그램을 즐겨 보게 된다. 중요한 결정을 내려야 할 때면 늘 백지에 그 문제에 대한 장단점을 리스트로 적어보며 판단을 내린다.
생활양식 - 판단형(Judging:J)
설 명
대표적 표현들
분명한 목적과 방향이 있으며 기한을 엄수하고 철저히 사전계획하고 체계적이다
정리 정돈과 계획
의지적 추진
신속한 결론
통제와 조정
분명한 목적의식과 방향감각
뚜렷한 기준과 자기의사
선호점수 23점으로 뚜렷한 선호도를 보인다. 어떤 일이든 계획적으로 해야 한다. 한번에 한가지 일을 하는 것을 좋아한다. 아니, 한가지 밖에 못한다. 여러 일을 한꺼번에 하지 못한다. 갑작스러운 사태에 놓이면 많이 당황하기 때문에 준비되어 있기를 바란다. 추진력이 있다. 조직적이고 체계적이다. 주제가 분명한 것을 좋아한다.
선교단체의 한 후배가 나를 다른 사람에게 얘기할 때면 늘 하는 얘기가 있다. 내가 복학을 하면서 S에 갔더니 조직이 너무 허술하게 되어 있어 잘 돌아가지 않기에 조직을 체계적으로 정비하였다. 부서를 몇 개로 나누고 부장을 세우고, 규약을 손질하고, 교육과정 체계(양육자-피양육자)도 다시 세우고... 그랬더니 그 후배는 나를 보면 늘 그때의 일을 얘기한다.
S 활동을 하면서 특히 추진력 있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 어떤 목표를 세우고 일을 계획하면 그 목표달성과 성취를 위해 주위 지체들을 때로는 매몰차게 이끌었었다. 그 결과 추진력 있다는 칭찬은 들을 수 있었지만, 지체들과 관계가 돈독해지지는 못했던 것 같다.
성격유형 - ESTJ
ESTJ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모범적이고 솔선 수범한다.
정리정돈을 잘하고 책임감이 강하다.
경쟁에서 이겨야 한다.
공정한 것을 선호한다.
구체적이고 현실적이고 사실적이며, 기업 또는 기계에 재능을 타고난다.
실용성이 없는 일에는 관심이 없으며 필요할 때 응용할 줄 안다.
활동을 조직화하고 주도해 나가기를 좋아한다.
타인의 감정이나 관점에 귀를 기울일 줄 알면 훌륭한 행정가가 될 수 있다.
위의 특성들이 거의 맞아 떨어진다. 학창시절은 모범생이었다. 특별히 말썽 피우거나 부모의 속썩일 일은 별로 하지 않은 것 같다. 책임감이 강하다. 가정에서 막내지만 동시에 장남이어서 그런지 책임감이 강한 것 같다. 책임질 위치에서 어떤 일을 맡으면 그 일에는 반드시 책임감을 가지고 수행하였고, 책임을 지는 자세를 보였다. 지는 것을 엄청 싫어한다. 어떤 경쟁이든 반드시 이겨야 직성이 풀린다. 모든 일은 공정해야 한다. 어릴 때에도 공정하지 않은 일에는 나이에 어울리지 않게 따지기도 했다. 활동을 조직화하고 주도해 나가기를 좋아한다. 수동적인 상황을 아주 싫어한다. 늘 내가 앞장 설 수 있는 상황이 편하다. 어릴 때에도 줄곧 대장 역할을 도맡아 하면서 놀았다. 그럴 수 없는 아이들과는 잘 어울리지 않는다. 요즘도 내가 주눅이 드는 상황이나 주도할 수 없는 상황은 매우 불편하다.
나오며
MMPI와 MBTI의 두 성격검사의 결과를 토대로 성격을 포함하는 나 자신에 대해 성찰해 보았다.
MMPI는 정신과적 진단분류가 일차적인 목적이나 정상집단에 대해서도 성격경향성을 평가하는데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검사이다. 검사 전에는 검사 결과에 대한 기대감으로 조금은 흥분된 심정으로 검사에 임했으나 검사 후에 솔직히 조금 실망감이 든 것은 모든 면에서 정상적이라는 결과를 우선 접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자세하게 검사 결과들을 살펴보면서 그 전체적으로 정상적인 수치 속에서도 어느 정도 성격의 경향들을 살필 수가 있었다.
일반인들에게도 가장 많이 알려지고 보편화된 성격검사는 MBTI일 것이다. 그 만큼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이기에 좀 더 전문적인 지식을 쌓아야 할 필요를 느낀다.
성격검사의 결과들을 보면서 나 자신을 살피는 와중에 가끔씩 드는 생각은 분류되어 있는 성격특성들에 나 자신을 끼어 맞추고 있다는 느낌이었다. 이 심리검사의 결과들은 나 자신을 알고 깊이 성찰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자료로서 활용되어야 한다는 것이고, 또한 이 결과들이 절대적인 것도 아닐 것이다.
나의 과거를 살펴보면서 드는 생각은 대인관계, 업무관계 경험들과 함께 나이가 들면서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쳤던 나의 성격적 경향성들이 성격의 상반된 다른 면들과 통합을 이루면서 조화롭게 성장해 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도 남아 있는 생의 기간이 더 많다면 성품에 있어서 크리스챤의 이상인 예수님의 모습을 더 닮아가고 성령의 열매들을 맺는 방향으로 성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최정윤(2002). 심리검사의 이해. 시그마프레스
김중술(1996). 다면적 인성검사. 서울대학교출판부
경상북도교육연수원(2003). 초등1,2급 정교사 자격연수
http://www.mbti.co.kr
추천자료
특수아동의 심리진단상 유의점에서 심리검사의 기본가정
[심리검사] 통합직업적성검사 에 관하여
심리검사의 제작절차(요약서적- 『심리검사(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2판), 탁진국 저, 학지사...
심리검사와 상황판단검사, 온라인검사에 대하여
[지능검사, 지능검사 개념, 지능검사 내용, 지능, 지능검사 해석, 지능검사 활용, 지적검사, ...
예측변인의 개발, 심리검사와 문항집, 검사의 윤리적 기준, 검사에 관한 정보, 검사 내용, 가...
종업원특성의 분석 (직원의 특성검사) - 심리검사, 직무적성검사
심리검사의 유형(종류) - 지능검사(개인용 지능검사-웩슬러 지능검사, 집단용 지능검사), 적...
교육심리학/심리검사
[생활지도와 상담] 심리검사의 기본 개념 - 표준화와 규준, 신뢰도, 타당도에 대한 이해
심리검사의 이론과 활용 [심리검사의 종류]
심리평가의 정의와 목적(심리검사법, 면담법, 행동평가법)
[아동심리평가] 아동심리검사의 종류와 방법 아동행동에 대한 임상심리학적 평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