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용어정리
Ⅱ. 본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용어정리
본문내용
인을 시행
활력징후와 심장 리듬 모니터
산소 투여
질식 위험성
천식유발요인(알레르기원, 자극물질 등)에 대해 교육
발작 전 절박한 증상을 통제할 수 있도록 조기징후와 증상 교육
기관지확장제, 항염제의 정확한 사용법, 부작용 등에 대해 교육
증상이 악화될 경우 약물의 사용과 같은 적절한 예방 치료에 대해 교육
흡입기, 분무기 및 최대호기유속기의 정확한 사용법 교육
가족과정 중단
질병과 치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
가족과 함께 천식관리를 위한 계획을 마련함
효과적인 천식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어려움에 대해 논의함
질병에 대한 충격을 얘기하도록 격려
질병관리를 위해 가족과 논의(건강관리의 용이,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적절한 약물 사용, 알레르기원의 노출 조절 등)
Ⅲ. 결론
우리는 311package에서 전날 오후에 입원한 신민서(M.5)환아를 만나 걱정하시는 환아 부모님께 신체·심리장애를 최소화하고 예방하여 아동의 삶이 가능한 정상적이며 행복한 삶이 되도록 도와주고,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아동의 사회 적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천식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 드렸다.
<시나리오>
당신: 민서아버님! 아버님도 아시다시피 우선 천식은 만성적이고 재발이 많은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을 잘 조절하셔야 되요. 천식이 아무래도 기도가 염증반응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하지 않으면 기관지가 원래대로 넓어지지 않고 좁아진 상태로 굳어지게 되므로 꾸준한 자기 관리가 필요해요.
민서할머니: 아이고 우리 아기 어떵 관리 해야 될껀게 마씸?
민서아버님: 증상이 나아진 것 같아 관리를 덜 해서 그렇게 된거 같네요 모두 제 잘못이에요
당신: 증상이 조절 되더라도 재발과 합병증을 막기위해 꾸준히 치료를 해주어야 해요 그리고 아버님도 아시겠지만 치료기구 사용법을 충분히 아시고 사용하시고, 어떤 물질이 아이에게 더 해로울 수 있는지 환경을 좀 관리해봐서 위험하고 악화되는 인자는 피해주어야 되요 또한 약물요법이나 면역요법 등을 통해 치료에 적극적으로 아이가 임할 수 있도록 아버님이 힘이 되어줘야 해요.
Ⅳ. 참고문헌
1.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Ⅰ. 경기: 수문사, pp. 652~655
2. 김영혜 외(2012).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현문사, pp. 288~299
3. 한국간호과학회 아동간호학회(2012). 아동간호학. 서울: 대한간호협회, pp. 271~273
4. 박혜숙 외(2012). 생리학(2012). 서울: 정담미디어, p.346
5. 이승주 외(2012). 간호사를 위한 약이야기 경기: 의학서원, p.86
Ⅴ. 용어정리
1. 1초 노력성 호기량(1초 강제 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first second of expiration; FEV1)
: 1초동안에 내쉴 수 있는 최대의 공기량
2. 최고최대호기유속(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강하게 호기하는 동안 최대의 공기흐름의 비율
3. 과탄산혈증(hypercapnia):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
4. cromolyn sodium: 염증 반응에 활동적인 화학물질의 유리억제
5. 정량식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 기도에 일정량의 약물을 투입할 수 있게 해주는 분무 장치, 주로 천식에 사용
6.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cAMP) 고리모양아데노신1인산
: 호르몬의 작용발현에 중요한 구실을 하는 물질로 고리모양 AMP, 사이클릭 AMP이라고도 한다. 크리코겐 분해를 촉진하며, 특정한 산소활성을 증강 또는 억제한다.
활력징후와 심장 리듬 모니터
산소 투여
질식 위험성
천식유발요인(알레르기원, 자극물질 등)에 대해 교육
발작 전 절박한 증상을 통제할 수 있도록 조기징후와 증상 교육
기관지확장제, 항염제의 정확한 사용법, 부작용 등에 대해 교육
증상이 악화될 경우 약물의 사용과 같은 적절한 예방 치료에 대해 교육
흡입기, 분무기 및 최대호기유속기의 정확한 사용법 교육
가족과정 중단
질병과 치료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킴
가족과 함께 천식관리를 위한 계획을 마련함
효과적인 천식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어려움에 대해 논의함
질병에 대한 충격을 얘기하도록 격려
질병관리를 위해 가족과 논의(건강관리의 용이, 가정이나 학교에서의 적절한 약물 사용, 알레르기원의 노출 조절 등)
Ⅲ. 결론
우리는 311package에서 전날 오후에 입원한 신민서(M.5)환아를 만나 걱정하시는 환아 부모님께 신체·심리장애를 최소화하고 예방하여 아동의 삶이 가능한 정상적이며 행복한 삶이 되도록 도와주고, 가정, 학교, 지역사회에서 아동의 사회 적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천식 치료와 관리에 대한 내용을 다음과 같이 설명 드렸다.
<시나리오>
당신: 민서아버님! 아버님도 아시다시피 우선 천식은 만성적이고 재발이 많은 질환이기 때문에 증상을 잘 조절하셔야 되요. 천식이 아무래도 기도가 염증반응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하지 않으면 기관지가 원래대로 넓어지지 않고 좁아진 상태로 굳어지게 되므로 꾸준한 자기 관리가 필요해요.
민서할머니: 아이고 우리 아기 어떵 관리 해야 될껀게 마씸?
민서아버님: 증상이 나아진 것 같아 관리를 덜 해서 그렇게 된거 같네요 모두 제 잘못이에요
당신: 증상이 조절 되더라도 재발과 합병증을 막기위해 꾸준히 치료를 해주어야 해요 그리고 아버님도 아시겠지만 치료기구 사용법을 충분히 아시고 사용하시고, 어떤 물질이 아이에게 더 해로울 수 있는지 환경을 좀 관리해봐서 위험하고 악화되는 인자는 피해주어야 되요 또한 약물요법이나 면역요법 등을 통해 치료에 적극적으로 아이가 임할 수 있도록 아버님이 힘이 되어줘야 해요.
Ⅳ. 참고문헌
1. 김금순 외(2012). 성인간호학Ⅰ. 경기: 수문사, pp. 652~655
2. 김영혜 외(2012). 아동간호학 각론. 서울: 현문사, pp. 288~299
3. 한국간호과학회 아동간호학회(2012). 아동간호학. 서울: 대한간호협회, pp. 271~273
4. 박혜숙 외(2012). 생리학(2012). 서울: 정담미디어, p.346
5. 이승주 외(2012). 간호사를 위한 약이야기 경기: 의학서원, p.86
Ⅴ. 용어정리
1. 1초 노력성 호기량(1초 강제 호기량, forced expiratory volume in first second of expiration; FEV1)
: 1초동안에 내쉴 수 있는 최대의 공기량
2. 최고최대호기유속(peak expiratory flow rate; PEFR): 강하게 호기하는 동안 최대의 공기흐름의 비율
3. 과탄산혈증(hypercapnia): 혈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상태
4. cromolyn sodium: 염증 반응에 활동적인 화학물질의 유리억제
5. 정량식 흡입기(Metered dose inhaler, MDI): 기도에 일정량의 약물을 투입할 수 있게 해주는 분무 장치, 주로 천식에 사용
6. cyclic adenosine monophosphate(cAMP) 고리모양아데노신1인산
: 호르몬의 작용발현에 중요한 구실을 하는 물질로 고리모양 AMP, 사이클릭 AMP이라고도 한다. 크리코겐 분해를 촉진하며, 특정한 산소활성을 증강 또는 억제한다.
추천자료
각종 진단적 검사 정리
진단적 검사에 대하여(PET/CT,CT(전산화 단층 촬영),위 투시 검사(U.G.I))
일반혈액검사, Blood chemistry(혈액화학검사), 빈혈검사 = 진단적 검사
[천식][천식환자][천식의 정의][천식의 요인][천식의 증상][천식의 진단][천식의 치료][천식...
[천식][천식환자][천식 유발원인][천식 대표적 증상][천식 진단][천식 치료 방법][천식환자 ...
[천식][천식 정의][천식 원인][천식 증상][천식 진단][천식 예방법][천식 치료][천식 응급처...
천식의 문헌고찰 진단법 간호과정
[성인간호학][Asthma][천식] 문헌고찰
[아동간호학][Asthma][천식][소아천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기관지 천식, Bronchial Asthma 실습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학 case study 천식(asthma)
[성인간호학] 심방세동(Artrial fibrilla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진단명 : Artrial...
천식의 진단 및 치료
[간호학] 천식 (병태생리 증상 징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