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모델링 기법의 이해
II. 모델링 기법의 효과
1. 모방효과
2. 억제효과
III. 모델링의 하위과정
1. 주시과정
2. 기억과정
3. 운동재생과정
4. 동기화 과정
IV. 모델링 자극의 제시방법
1. 실제 모델링과 상징 모델링
2. 극복 모델링과 숙달 모델링
3. 참가 모델링과 비참가 모델링
4. 외현 모델링과 내현 모델링
5. 모델링 기법의 적용사례
1) 불안, 공포 문제에 적용한 사례
2) 사회적 행동의 학습에 적용한 사례
* 참고문헌
II. 모델링 기법의 효과
1. 모방효과
2. 억제효과
III. 모델링의 하위과정
1. 주시과정
2. 기억과정
3. 운동재생과정
4. 동기화 과정
IV. 모델링 자극의 제시방법
1. 실제 모델링과 상징 모델링
2. 극복 모델링과 숙달 모델링
3. 참가 모델링과 비참가 모델링
4. 외현 모델링과 내현 모델링
5. 모델링 기법의 적용사례
1) 불안, 공포 문제에 적용한 사례
2) 사회적 행동의 학습에 적용한 사례
*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면 이것은 외현 모델링에 의한 치료라고 할 수 있다.
2) 내현 모델링(covert modeling)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모델이 아니라, 치료사의 언어 묘사에 의해 아이가 머릿속에서 모델의 모습이나 행동을 이미지로 그려나가는 것을 내현 모델링이라 한다. 예를 들어 개와 함께 노는 모델의 모습을 치료사의 도움에 의해 아이가 머릿속에서 이미지로 그리도록 하여 개에 대한 공포심이 완화되도록 도와준다면 내현 모델링에 의한 치료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모델의 행동을 언어로 표사해 나갈 때 치료사는 처음부터 아이가 감당하기 힘든 너무 높은 수준의 장면, 즉 소위 숙달 모델링(예, 모델이 개를 안고 있다)을 제시하게 되면 무서워서 머릿속에서 이미지로 떠올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제를 점차적으로 해결해나가는 극복 모델(coping model)을 이미지로 떠올리도록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모델링 기법의 적용 사례
모델링 기법은 문제 행동의 수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의 하나로서 그 적용 범위는 광범위하다. 문제의 성격에 따른 적용 사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불안, 공포 문제에 적용한 사례
불안이나 공포를 느끼게 하는 상황이나 장면을 선호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대개는 불안이나 공포 장면에서 사람들은 회피나 거부라고 하는 반응을 보이게 될 것이다. 여기서 불안이나 공포 장면을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모델의 제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소 강한 공포 반응을 보이는 모델이 불안이나 두려움을 느낄만한 장면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문제없이 극복해 나가는 행동을 보여 줄 때, 관찰자에게 불안이나 공포에 대한 대리 억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공포 자극이나 불안 장면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라고 하는 행동의 대처 방법도 모델의 행동을 통해서 대리 학습도 할 수 있다.
물을 무서워하는 아이나 병원을 무서워하는 아이의 행동을 수정하는데 모델링 기법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Lewis, 1974; Melamed & Siegel, 1975).
2) 사회적 행동의 학습에 적용한 사례
친구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주장하지 못하거나 표현하지 못하는 등 사회적 행동에 문제가 있는 아이가 있다. 이런 아이의 경우에도 모델링을 통한 지도가 가능하다.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거나 자기표현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은 대인관계에서 매우 중요하며, 또한 이런 행동을 통해 또래관계에서 불안이나 긴장도 약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Rathus(1973)는 자신의 주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모델이 다양한 장면이나 상황에서 자기주장을 적극적으로 하거나 토론하는 7가지 장면을 보여주었다. 모델의 행동에는 인사, 감정의 표현, 자신의 권리나 장점에 대한 주장, 타인과 다른 의견 표현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여대생들에게 이 모델의 행동을 보게 한 후, 9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도록 유도하면서, 동시에 정적강화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처음에는 자신의 주장이나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했던 여대생들이 점점 자신의 주장행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사회적 갈등에 대한 두려움도 점차 감소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반사회적 문제 행동의 개선에도 모델링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Sarason과 Ganzer(1973)는 소년 범죄자에 대한 치료에서 모델링과 역할놀이(role play)를 이용한 행동 수정의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들은 소년범죄자들에게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는 인간관계의 상황에서 처음에는 잘 대처하지 못하고 있던 모델이 점차 이런 상황을 잘 극복해 나가는 모습을 비디오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동시에 치료사와 함께 모델의 행동을 실천해 보는 역할 연습을 시켰다. 그 결과, 소년들은 문제 상황에서 바람직한 대응법을 습득하면서 행동도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2) 내현 모델링(covert modeling)
시각적으로 볼 수 있는 모델이 아니라, 치료사의 언어 묘사에 의해 아이가 머릿속에서 모델의 모습이나 행동을 이미지로 그려나가는 것을 내현 모델링이라 한다. 예를 들어 개와 함께 노는 모델의 모습을 치료사의 도움에 의해 아이가 머릿속에서 이미지로 그리도록 하여 개에 대한 공포심이 완화되도록 도와준다면 내현 모델링에 의한 치료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모델의 행동을 언어로 표사해 나갈 때 치료사는 처음부터 아이가 감당하기 힘든 너무 높은 수준의 장면, 즉 소위 숙달 모델링(예, 모델이 개를 안고 있다)을 제시하게 되면 무서워서 머릿속에서 이미지로 떠올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문제를 점차적으로 해결해나가는 극복 모델(coping model)을 이미지로 떠올리도록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모델링 기법의 적용 사례
모델링 기법은 문제 행동의 수정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의 하나로서 그 적용 범위는 광범위하다. 문제의 성격에 따른 적용 사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불안, 공포 문제에 적용한 사례
불안이나 공포를 느끼게 하는 상황이나 장면을 선호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대개는 불안이나 공포 장면에서 사람들은 회피나 거부라고 하는 반응을 보이게 될 것이다. 여기서 불안이나 공포 장면을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모델의 제시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평소 강한 공포 반응을 보이는 모델이 불안이나 두려움을 느낄만한 장면임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문제없이 극복해 나가는 행동을 보여 줄 때, 관찰자에게 불안이나 공포에 대한 대리 억제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공포 자극이나 불안 장면에서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라고 하는 행동의 대처 방법도 모델의 행동을 통해서 대리 학습도 할 수 있다.
물을 무서워하는 아이나 병원을 무서워하는 아이의 행동을 수정하는데 모델링 기법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Lewis, 1974; Melamed & Siegel, 1975).
2) 사회적 행동의 학습에 적용한 사례
친구 앞에서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주장하지 못하거나 표현하지 못하는 등 사회적 행동에 문제가 있는 아이가 있다. 이런 아이의 경우에도 모델링을 통한 지도가 가능하다.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거나 자기표현을 적극적으로 하는 것은 대인관계에서 매우 중요하며, 또한 이런 행동을 통해 또래관계에서 불안이나 긴장도 약화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Rathus(1973)는 자신의 주장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모델이 다양한 장면이나 상황에서 자기주장을 적극적으로 하거나 토론하는 7가지 장면을 보여주었다. 모델의 행동에는 인사, 감정의 표현, 자신의 권리나 장점에 대한 주장, 타인과 다른 의견 표현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여대생들에게 이 모델의 행동을 보게 한 후, 9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자신의 주장을 표현하도록 유도하면서, 동시에 정적강화도 병행하였다. 그 결과, 처음에는 자신의 주장이나 표현을 제대로 하지 못했던 여대생들이 점점 자신의 주장행동을 하게 되고, 동시에 사회적 갈등에 대한 두려움도 점차 감소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반사회적 문제 행동의 개선에도 모델링 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Sarason과 Ganzer(1973)는 소년 범죄자에 대한 치료에서 모델링과 역할놀이(role play)를 이용한 행동 수정의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들은 소년범죄자들에게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는 인간관계의 상황에서 처음에는 잘 대처하지 못하고 있던 모델이 점차 이런 상황을 잘 극복해 나가는 모습을 비디오로 보여주었다. 그리고 동시에 치료사와 함께 모델의 행동을 실천해 보는 역할 연습을 시켰다. 그 결과, 소년들은 문제 상황에서 바람직한 대응법을 습득하면서 행동도 개선되는 효과를 보였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