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또래상담의 시작과 발달배경
1. 상담서비스에 대한 인식변화
2. 청소년상담에서 또래들의 영향력 활용 3. 학교에서 정의교육 강조
II. 한국 또래상담의 발달과정
1. 또래상담의 태동기(1980~)
2. 또래상담의 확장기(1990~)
3. 또래상담의 정착기(2000~)
III. 해외 또래상담의 현황
1. 미국의 NAPPP
2. 캐나다의 Peer Resources
* 참고문헌
1. 상담서비스에 대한 인식변화
2. 청소년상담에서 또래들의 영향력 활용 3. 학교에서 정의교육 강조
II. 한국 또래상담의 발달과정
1. 또래상담의 태동기(1980~)
2. 또래상담의 확장기(1990~)
3. 또래상담의 정착기(2000~)
III. 해외 또래상담의 현황
1. 미국의 NAPPP
2. 캐나다의 Peer Resources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계체제 구축을 위해 자체적인 행사를 치론 지역도 있다. 또한 또래상담의 효과를 인식하고 청소년 폭력예방재단이나 YMCA와 같은 청소년단체에서도 학교 내 또래상담 운영을 지원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서는 교육청에서 학교에서 또래상담을 운영하도록 제도적인 개입을 해 왔다. 특히 2009년부터 시작된 'Wee Class-Wee Center (학교상담시스템)에서 또래상담을 중요 프로그램으로 지정하여 운영하고 있어서 향후 학교 또래상담 발전의 큰 계기가 되리라 기대된다.
또래상담을 브랜드화하려는 시도도 정착기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는 2007년에 또래상담이라는 보통 명사를 '솔리언 또래상담' 으로 브랜드화해서 등록시켰다. 이로써 또래상담을 하나의 상품으로 재생산했다고 할 수 있는데, 향후 삼성전기 등에서도 뒤이어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브랜드화 시도는 또래상담 적용 영역의 확대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제도적인 개입은 또래상담의 중요성을 피력하는 저자들로서는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또래상담이 하나의 제도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상급기관(이를테면 교육청)에 의해서 일방적인 지시로 시작되기보다는 또래상담을 운영하는 지도자의 열정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지도교사와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더불어 제도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때 또래상담은 뿌리깊이 정착될 수 있으리라 본다.
III. 해외 또래상담의 현황
1969년 브리앤드의 연구와 1972년 배런호스트의 연구를 필두로 또래상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최근까지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또래상담이 확대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이루어지는 또래상담 현황을 총망라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또래상담에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광범위하게 제시하고 있는 비교적 규모가 큰 두 곳을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하나는 미국의 NAPPP(National Association of Peer Program Professionals)이고, 다른 하나는 캐나다의 Rey Carr박사가 운영하는 Peer Resources라는 곳이다.
1) 미국의 NAPPP(National Association of Peer Program Professionals)
NAPPP는 미국 NPHA(National Peer Helpers Association)에서 1984년도에 설립한 NAPP(National Association of Peer Programs)이 해체된 이후, 2009년에 새롭게 결성된 비 영리협회다. NAPPP는 '서로가 서로를 돕는 문화를 구축한다. '는 비전 아래 또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훈련시키고, 슈퍼비전 및 관리, 평가하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다.
NAPPP는 바렌호스트(B. Varenhorst), 틴달(J. Tindall)등 또래상담의 권위자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는 단체로, 미국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회원들로 구성되었기에 국제지원체제로서도 유명해졌다.
NAPPP에서는 양질의 또래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교육과 전문성 개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전의 뉴스레터 'Peer Facilitator Quarterly 대신 'Perspective in Peer Programs'라는 뉴스레터를 제공하고 있다.
NAPPP에서 제공하는 또래 프로그램은 또래조력, 또래상담, 또래사역, 또래교육, 또래리더십, 또래건강교육, 또래중채, 또래교사, 또래멘토링 등 다양한 이름으로 제공된다. 또래가 전문자격이 있는 전문가를 대체하기보다는 전문가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NAPPP는 많은 연구와 평가를 통해 또래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NAPPP는 또래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갖추어야 할 프로그램의 표준지침과 함께 지침에 따른 평가기준을 제공하고 있어, 다양한 현장에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자 할 때 많은 참조가 될 것이다.
2) 캐나다의 Peer Resources
Peer Resource는 캐나다의 Rey Carr박사가 동료들과 함께 운영하는 사이트로, 또래상담과 관련된 자료가 총망라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80년대 빅토리아 대학에서 Peer Counseling Project가 수년에 거쳐 실시되었고, 프로젝트가 끝난 이후에도 지속적인 요구가 있어 왔다. 이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Rey Carr박사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비영리 민간단체로 또래 프로그램 자문센터를 운영하게 된 것이 Peer Resources의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유형의 건물이나 조직이 있는 기구가 아니라 Rey Carr를 비롯한 몇 명의 전문가들이 인터넷 사이트상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방대함이나 내용의 풍부함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계속해서 관련 자료를 업데이트하고 있어, 또래상담에 관심 있다면 자주 들어가 보기를 권한다.
특히 2000년부터는 또래상담의 적용을 확대하여 멘토 프로그램과 코칭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어, 또래상담이 단순히 학교 현장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병원, 지역사회까지 확대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회원뿐만 아니라 비회원들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자료와 또래상담과 관련된 문헌정보를 수록해 놓고 있으며, 훈련자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기관에서는 1년에 수십 차례의 소규모 훈련 워크숍을 실시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자문도 이메일을 통해 제공하는 등 또래상담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또래상담을 브랜드화하려는 시도도 정착기의 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는 2007년에 또래상담이라는 보통 명사를 '솔리언 또래상담' 으로 브랜드화해서 등록시켰다. 이로써 또래상담을 하나의 상품으로 재생산했다고 할 수 있는데, 향후 삼성전기 등에서도 뒤이어 시도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브랜드화 시도는 또래상담 적용 영역의 확대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제도적인 개입은 또래상담의 중요성을 피력하는 저자들로서는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또래상담이 하나의 제도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상급기관(이를테면 교육청)에 의해서 일방적인 지시로 시작되기보다는 또래상담을 운영하는 지도자의 열정이 중요한 관건이 된다. 지도교사와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더불어 제도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때 또래상담은 뿌리깊이 정착될 수 있으리라 본다.
III. 해외 또래상담의 현황
1969년 브리앤드의 연구와 1972년 배런호스트의 연구를 필두로 또래상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최근까지 매우 다양한 영역에서 또래상담이 확대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이루어지는 또래상담 현황을 총망라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업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또래상담에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광범위하게 제시하고 있는 비교적 규모가 큰 두 곳을 소개하는 것으로 대신하고자 한다. 하나는 미국의 NAPPP(National Association of Peer Program Professionals)이고, 다른 하나는 캐나다의 Rey Carr박사가 운영하는 Peer Resources라는 곳이다.
1) 미국의 NAPPP(National Association of Peer Program Professionals)
NAPPP는 미국 NPHA(National Peer Helpers Association)에서 1984년도에 설립한 NAPP(National Association of Peer Programs)이 해체된 이후, 2009년에 새롭게 결성된 비 영리협회다. NAPPP는 '서로가 서로를 돕는 문화를 구축한다. '는 비전 아래 또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훈련시키고, 슈퍼비전 및 관리, 평가하는 사람들을 지원하는 것을 사명으로 삼고 있다.
NAPPP는 바렌호스트(B. Varenhorst), 틴달(J. Tindall)등 또래상담의 권위자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는 단체로, 미국 국내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회원들로 구성되었기에 국제지원체제로서도 유명해졌다.
NAPPP에서는 양질의 또래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교육과 전문성 개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전의 뉴스레터 'Peer Facilitator Quarterly 대신 'Perspective in Peer Programs'라는 뉴스레터를 제공하고 있다.
NAPPP에서 제공하는 또래 프로그램은 또래조력, 또래상담, 또래사역, 또래교육, 또래리더십, 또래건강교육, 또래중채, 또래교사, 또래멘토링 등 다양한 이름으로 제공된다. 또래가 전문자격이 있는 전문가를 대체하기보다는 전문가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대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NAPPP는 많은 연구와 평가를 통해 또래 프로그램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전략으로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NAPPP는 또래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갖추어야 할 프로그램의 표준지침과 함께 지침에 따른 평가기준을 제공하고 있어, 다양한 현장에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적용하고자 할 때 많은 참조가 될 것이다.
2) 캐나다의 Peer Resources
Peer Resource는 캐나다의 Rey Carr박사가 동료들과 함께 운영하는 사이트로, 또래상담과 관련된 자료가 총망라되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80년대 빅토리아 대학에서 Peer Counseling Project가 수년에 거쳐 실시되었고, 프로젝트가 끝난 이후에도 지속적인 요구가 있어 왔다. 이 프로젝트를 담당했던 Rey Carr박사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비영리 민간단체로 또래 프로그램 자문센터를 운영하게 된 것이 Peer Resources의 배경이라 할 수 있다. 유형의 건물이나 조직이 있는 기구가 아니라 Rey Carr를 비롯한 몇 명의 전문가들이 인터넷 사이트상에서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라는 점이 특이하다. 인터넷상에서 제공되는 자료의 방대함이나 내용의 풍부함은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계속해서 관련 자료를 업데이트하고 있어, 또래상담에 관심 있다면 자주 들어가 보기를 권한다.
특히 2000년부터는 또래상담의 적용을 확대하여 멘토 프로그램과 코칭 프로그램으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어, 또래상담이 단순히 학교 현장뿐만 아니라 기업이나 병원, 지역사회까지 확대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다. 회원뿐만 아니라 비회원들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자료와 또래상담과 관련된 문헌정보를 수록해 놓고 있으며, 훈련자료를 구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기관에서는 1년에 수십 차례의 소규모 훈련 워크숍을 실시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자문도 이메일을 통해 제공하는 등 또래상담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고 있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