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크랭크케이스
1.1 대향형 엔진 크랭크 케이스(Opposed Engine Crankcase)
1.2 성형 엔진 크랭크케이스(Radial Engine Crankcase)
- 전방부분(Front or Nose section)
- 출력부(main or power section)
- 연료 흡인과 분배부(Fuel induction and Distribution section)
- 보기부(Accessory section)
2. 베어링
2.1 평형 베어링(Plain Bearings)
2.2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
2.3 볼 베어링(Ball Bearing)
3. 크랭크 축
3.1 주 저널(Main Journal)
3.2 크랭크 핀(Crankpin)
3.3 크랭크 칙(Crank cheek)
3.4 균형 추와 댐퍼 (동적 댐퍼) =Counter weights and damper
3.5 크랭크 축의 형식(Types of Crankshafts)
3.6 프로펠러 축(Propeller Shafts)
III. 결론
IV. 참고 문헌
II. 본론
1. 크랭크케이스
1.1 대향형 엔진 크랭크 케이스(Opposed Engine Crankcase)
1.2 성형 엔진 크랭크케이스(Radial Engine Crankcase)
- 전방부분(Front or Nose section)
- 출력부(main or power section)
- 연료 흡인과 분배부(Fuel induction and Distribution section)
- 보기부(Accessory section)
2. 베어링
2.1 평형 베어링(Plain Bearings)
2.2 롤러 베어링(Roller Bearing)
2.3 볼 베어링(Ball Bearing)
3. 크랭크 축
3.1 주 저널(Main Journal)
3.2 크랭크 핀(Crankpin)
3.3 크랭크 칙(Crank cheek)
3.4 균형 추와 댐퍼 (동적 댐퍼) =Counter weights and damper
3.5 크랭크 축의 형식(Types of Crankshafts)
3.6 프로펠러 축(Propeller Shafts)
III. 결론
IV. 참고 문헌
본문내용
랭크 축, 캠축, 사용된다. 재질은 은, 납, 합금이 사용된다.
2.2 롤러 베어링 (Roller Bearing)
롤러 베어링은 롤러가 마찰을 제거하며, 비마찰 베어링으로 알려진 2가지 형 중하나이다. 이베어리은 여러 가지 모양과 치수로 제작되어 있으며 방사상과 추력 하중에 잘견딘다. 직선 롤러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방사상 하중에만 사용되고,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방사상 및 추력 하중에 견딜 수 있다.
2.3 볼 베어링(Ball Bearing)
다른 형의 베어링보다 구름 마찰이 적다. 볼 베어링은 내부 레이스, 외부 레이스, 강철 볼, 볼 리테이너 로 구성된다. 레이스는 큰 방사상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볼의 곡면에 맞게 홈이 파여져 있다.
볼 베어링은 보통 대형 성형 엔진이나, 가스 터빈 엔진의 추력 베어링으로 사용된다.
3. 크랭크 축
크랭크 축은 피스톤과 커네팅 로드의 왕복 운동을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운동으로 전한시킨다. 크랭크 축은 양끝 사이에 한 혹은 그 이상의 크랭크 혹은 열로 구성된다. 크랭크 축은 내연 기관에서 충주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극히 강한 합금강인 크롬 니켈 몰리브덴강으로 제작된다.
3.1 주 저널(Main Journal)
주 저널은 주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하는 크랭크 축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주 베어링 저널이라고도 부른다. 이 저널은 크랭크 축의 회전중심이며 모든 정상 작동하에서 크랭크 축을 곧바르게 유지하게 한다.
3.2 크랭크 핀(Crankpin)
크랭크 핀은 커넥팅 로드 베어링을 위한 저널이기 때문에 커넥팅 로드 베어링 저널 이라고도 한다. 크랭크 핀은 주 저널과 중심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열이라고도 한다. 크랭크 핀의 속이 비어져 있는 이유는
1) 크랭크 축의 전체 무게를 줄인다
2) 윤활유의 통로 역할을 한다.
3) 탄소 침전물, 찌꺼기, 다른 이물질이 커넥팅 로드 베어링 표면으로 나오지 못하게 원심력으로 이들이 모이게 하는방 역할을 한다.
3.6 프로펠러 축(Propeller Shafts)
프로펠러 장착 축 의 3가지 형식은 테이퍼 축 스플라인 축 플랜지 축이다.
스플라인 프로펠러 축을 가진 크랭크 축은 스플라인 프로펠러 내부의 홈과 맞추기 위하여 축에 직사각형 홈이 파져 있다. 프로펠러 허브 냅웨 있는 하나의 넓은 홈은 블라인드 스플라인-프로펠러의 위치를 바르게 잡아주기 위해 한 홈내에 나사로 차단된 것이 맞추어지는 곳이다.
결론
크랭크 케이스, 베어링, 크랭크 축에 대해서 알아봤지만 이 말고도 커넥팅 로드 어셈블리, 피스톤, 실린더, 밸브와 관련 부품, 보기부, 프로펠러 감속 기어가 더 있다. 정리하자면 크랭크 케이스는 크랭크 축을 둘러싼 여러 기계 장치를 에워싸고 있는 하우징이고 베어링은 최소의 마찰과 최대의 내마모성을 갖출 수 있게 설계 되어야하고 크랭크 축은 피스톤과 커네팅 로드의 왕복 운동을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운동으로 전한시킨다 . 끝으로 항공기에 대하여 더 많이 배워서 대한항공에 입사 하고싶다. 꼭 할 것이다.
참고문헌
성안당, 항공기 왕복엔진
2.2 롤러 베어링 (Roller Bearing)
롤러 베어링은 롤러가 마찰을 제거하며, 비마찰 베어링으로 알려진 2가지 형 중하나이다. 이베어리은 여러 가지 모양과 치수로 제작되어 있으며 방사상과 추력 하중에 잘견딘다. 직선 롤러 베어링은 일반적으로 방사상 하중에만 사용되고,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방사상 및 추력 하중에 견딜 수 있다.
2.3 볼 베어링(Ball Bearing)
다른 형의 베어링보다 구름 마찰이 적다. 볼 베어링은 내부 레이스, 외부 레이스, 강철 볼, 볼 리테이너 로 구성된다. 레이스는 큰 방사상 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볼의 곡면에 맞게 홈이 파여져 있다.
볼 베어링은 보통 대형 성형 엔진이나, 가스 터빈 엔진의 추력 베어링으로 사용된다.
3. 크랭크 축
크랭크 축은 피스톤과 커네팅 로드의 왕복 운동을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운동으로 전한시킨다. 크랭크 축은 양끝 사이에 한 혹은 그 이상의 크랭크 혹은 열로 구성된다. 크랭크 축은 내연 기관에서 충주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극히 강한 합금강인 크롬 니켈 몰리브덴강으로 제작된다.
3.1 주 저널(Main Journal)
주 저널은 주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하는 크랭크 축의 일부분이다. 이러한 이유로 주 베어링 저널이라고도 부른다. 이 저널은 크랭크 축의 회전중심이며 모든 정상 작동하에서 크랭크 축을 곧바르게 유지하게 한다.
3.2 크랭크 핀(Crankpin)
크랭크 핀은 커넥팅 로드 베어링을 위한 저널이기 때문에 커넥팅 로드 베어링 저널 이라고도 한다. 크랭크 핀은 주 저널과 중심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열이라고도 한다. 크랭크 핀의 속이 비어져 있는 이유는
1) 크랭크 축의 전체 무게를 줄인다
2) 윤활유의 통로 역할을 한다.
3) 탄소 침전물, 찌꺼기, 다른 이물질이 커넥팅 로드 베어링 표면으로 나오지 못하게 원심력으로 이들이 모이게 하는방 역할을 한다.
3.6 프로펠러 축(Propeller Shafts)
프로펠러 장착 축 의 3가지 형식은 테이퍼 축 스플라인 축 플랜지 축이다.
스플라인 프로펠러 축을 가진 크랭크 축은 스플라인 프로펠러 내부의 홈과 맞추기 위하여 축에 직사각형 홈이 파져 있다. 프로펠러 허브 냅웨 있는 하나의 넓은 홈은 블라인드 스플라인-프로펠러의 위치를 바르게 잡아주기 위해 한 홈내에 나사로 차단된 것이 맞추어지는 곳이다.
결론
크랭크 케이스, 베어링, 크랭크 축에 대해서 알아봤지만 이 말고도 커넥팅 로드 어셈블리, 피스톤, 실린더, 밸브와 관련 부품, 보기부, 프로펠러 감속 기어가 더 있다. 정리하자면 크랭크 케이스는 크랭크 축을 둘러싼 여러 기계 장치를 에워싸고 있는 하우징이고 베어링은 최소의 마찰과 최대의 내마모성을 갖출 수 있게 설계 되어야하고 크랭크 축은 피스톤과 커네팅 로드의 왕복 운동을 프로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운동으로 전한시킨다 . 끝으로 항공기에 대하여 더 많이 배워서 대한항공에 입사 하고싶다. 꼭 할 것이다.
참고문헌
성안당, 항공기 왕복엔진
추천자료
원자간력 현미경을 이용한 표면 거칠기 측정 장치의 제작
새로운 에너지 및 엔진으로 본 미래형 자동차
연료전지 엔진의 종류와 특징
자동차의 분류부터 기타 장치들의 설명
에너지와 동력
[변속기][트랜스미션]자동차수동변속기(트랜스미션)의 정의, 구조와 기능, 자동차수동변속기(...
먼레일 분사장치
디젤자동차 및 연료분사장치(Injector)에 대한 시장 분석
내연 기관 설계 - 연소 해석에 의 한 엔진 설정
차세대 엔진
[자동차의 이해] 차동장치에 대해서
[건설기계 유압제어] 건설기계 유압기기 - 건설기계 유압장치의 특성, 유압 작동유, 물리적 ...
자동차의 연료장치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