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성격의 개념
2. 성격의 제이론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론
2) 히포크라테스의 기질론
3) 칼 융(Carl Jung, 1875-1961)의 심리유형이론
4) 마이어스 & 브릭스(Myers & Briggs)의 심리유형이론
5) 에니어그램의 성격유형이론
6) DISC의 행동유형이론
3. 성격의 측정
1) 다면적 인성검사-MMPI
2)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PI
3) 성격유형검사-MBTI
4) 투사적 성격검사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성격의 개념
2. 성격의 제이론
1) 프로이드의 정신분석론
2) 히포크라테스의 기질론
3) 칼 융(Carl Jung, 1875-1961)의 심리유형이론
4) 마이어스 & 브릭스(Myers & Briggs)의 심리유형이론
5) 에니어그램의 성격유형이론
6) DISC의 행동유형이론
3. 성격의 측정
1) 다면적 인성검사-MMPI
2)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PI
3) 성격유형검사-MBTI
4) 투사적 성격검사
4.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차적 목적은 정신의학적인 진단적 분류를 위한 것이었으나 정신병리적 분류개념이 정상인의 행동과 비교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MMPI를 통해 정상인의 행동을 설명하고 일반적인 성격특성을 유추할 수 있다. 이 검사는 여러 가지 심리적 특성을 문장으로 기술한 556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검자는 각 문항에 대해 "예""아니오"로 대답하게 되어 있다. 이 검사는 피검자가 얼마나 솔직하게 검사에 임했는지 평가하는 4개의 타당도 척도와 여러 가지 성격적 또는 정신 병리적 특성을 평가하는 10개의 임상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2)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PI
캘리포니아 대학의 Harrison Gough에 의해서 개발된 자기보고형 성격 검사이다. 이 검사는 여 러 면에서 MMPI와 유사하나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정신 장애자를 감별진단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정상적인 성격을 기술하고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는 점이다. 이 검사는 "예""아니오"로 대답하는 48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8개의 하위척도를 가지고 있다. 하위 척도에는 지배성, 사교성, 자기수용성, 자기 통제성, 지적 효율성 등이 있다.
3) 성격유형검사-MBTI
CarlJung의 성격유형이론에 근거하여 1941년 Katharine C.Briggs와 Isabel Briggs Myers가 개 발한 성격검사이다.
4) 투사적 성격검사
(1) 로샤 검사
가장 대표적인 투사적 성격검사이다. 이 검사는 1921년 Hermann Rorschach에 의해 처음 개발 되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채점 및 해석 체계가 발전되었다. 이 검사는 데칼코마니 양식에 의 한 대칭형의 잉크 얼룩으로 이루어진 무채색카드 5매, 부분적인 유채색카드 2매, 전체적인 유채 색카드 3매 등 10매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카드를 순서에 따라 피검자에게 한 장씩 보여 주고 이 그림이 무엇처럼 보이는지 말하게 한다. 모든 반응은 검사자에 의해 자세하게 기록되며 10장카드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이 끝난 후에 검사자는 다시 각 카드마다 피검자가 카드의 어떤 점 때문에 그렇게 보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각 반응은 채점 항목과 기준에 따라 채점된다. 채점의 주요항목은 반응영역, 결정요인, 반응내용, 반응의 독창성 여부, 반응 의 형태질이며 그밖에 반응수, 반응시간, 채점항목간의 비율 및 관계등이 계산되어 구조적 요약표 에 정리된다. 그리고 로샤 검사는 임상장면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2) 주제통각검사-TAT
1935년에 Harvard대학교의 임상심리연구실에서 Murray와 Morgan에 의하여 제작된 투사적 검사이다. 피검자가 쉽게 동일시 할 수 있는 인물과 상황을 묘사한 30매의 그림카드와 아무런 그 림이 없는 1매의 공백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30매의 카드는 남성성인용, 여성성인용,소녀용, 소년용, 겸용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한 피검자에게 20매를 제시하도록 되어 있다. 피검자에게 각 카드를 보여주면서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카드 내에 나타난 인물들의 생각. 느낌. 행동은 어떤지 그리고 과거에는 어떠했고 미래에는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하여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야 기를 만들어 보라고 요청한다. 이 검사는 모호한 그림에 대하여 이야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피 검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과거 경험, 상상 및 공상내용, 관심과 욕구를 투사하게 되며, 이러한 공 상 속에서 피검자의 무의식적 충동, 방어 및 개인적인 갈등이 표현된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TAT는 임상장면에서 임상진단과 치료적 목적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교육, 사회, 산업장면에 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4. 시사점
성격은 인간의 사고 감정 행위를 포함한 일련의 행동과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다. 성격은 관찰할 수 있는 사람들의 행동을 바탕으로 판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성격은 인간 적응의 측면을 반영한다. 즉 삶은 적응의 과정이며 사람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해 자신의 성격을 발달시키고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성격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공유하는 공통성을 내표한다. 사람들을 어떤 성격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서로가 공유하는 행동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내향성 혹은 외향성으로 분류하는 것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갖는 성향을 의미한다. 성격은 사람들을 구별할 수 있는 개인의 독특성 혹은 개인차를 반영한다. 즉 성격연구는 사람들의 공통성뿐 아니라 인간 개개인이 갖는 독특한 측면 혹은 개성에 대한 탐구에 관심을 둔다. 성격은 비교적 일관되고 안정적인 행동패턴과 관련된다. 성격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언하는 것은 성격의 일관성이나 안정성을 반영한다. 성격은 개인 내부의 역동적이며 조직화된 특성을 반영한다. 사람들이 어떤 상황에 접해 비교적 일관성있게 행동하는 이유는 개인의 조직화된 특성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성격의 개념과 제이론, 측정에 대해 자세히 논해 보았다. 다양한 성격의 정의를 바탕으로 노안영과 강영신(2003)은 ‘성격은 인간의 사고, 감정, 행위를 포함한 일련의 행동과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고, 인간 적응의 측면을 반영하며, 보편적으로 공유하는 공통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을 구별할 수 있는 개인의 독특성 혹은 개인차를 반영한 비교적 일관되고 안정적인 행동패턴이자 개인 내부의 역동적이며 조직화된 특성을 반영한다.’라고 정리하였다. 따라서 성격은 타고난 기질과 성장과정에서 내외적 환경에 의해 형성된 개개인의 독특한 내적 힘(inner strength)이라고 보았으며, 환경변화에 따라 성격도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노안영 외(2006). 성격심리학. 학지사.
박아청(2008). 성격 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윤가현 외(2009).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이재창 외(2009). 성격심리학. 태영출판사.
Jerome Wagner(2006). 성격의 심리학. 파라북스.
윤운성(2009). 에니어그램 이해.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김 석(2010). 프로이트&라캉 무의식에로의 초대. 김영사.
문영규(2004). 개인성격 유형과 직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경복논총.
2) 캘리포니아 성격검사-CPI
캘리포니아 대학의 Harrison Gough에 의해서 개발된 자기보고형 성격 검사이다. 이 검사는 여 러 면에서 MMPI와 유사하나 기본적으로 다른 점은 정신 장애자를 감별진단하기 위한 것이 아 니라 정상적인 성격을 기술하고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는 점이다. 이 검사는 "예""아니오"로 대답하는 48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8개의 하위척도를 가지고 있다. 하위 척도에는 지배성, 사교성, 자기수용성, 자기 통제성, 지적 효율성 등이 있다.
3) 성격유형검사-MBTI
CarlJung의 성격유형이론에 근거하여 1941년 Katharine C.Briggs와 Isabel Briggs Myers가 개 발한 성격검사이다.
4) 투사적 성격검사
(1) 로샤 검사
가장 대표적인 투사적 성격검사이다. 이 검사는 1921년 Hermann Rorschach에 의해 처음 개발 되었으며 여러 학자들에 의해 채점 및 해석 체계가 발전되었다. 이 검사는 데칼코마니 양식에 의 한 대칭형의 잉크 얼룩으로 이루어진 무채색카드 5매, 부분적인 유채색카드 2매, 전체적인 유채 색카드 3매 등 10매의 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 카드를 순서에 따라 피검자에게 한 장씩 보여 주고 이 그림이 무엇처럼 보이는지 말하게 한다. 모든 반응은 검사자에 의해 자세하게 기록되며 10장카드에 대한 피검자의 반응이 끝난 후에 검사자는 다시 각 카드마다 피검자가 카드의 어떤 점 때문에 그렇게 보았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자료에 근거하여 각 반응은 채점 항목과 기준에 따라 채점된다. 채점의 주요항목은 반응영역, 결정요인, 반응내용, 반응의 독창성 여부, 반응 의 형태질이며 그밖에 반응수, 반응시간, 채점항목간의 비율 및 관계등이 계산되어 구조적 요약표 에 정리된다. 그리고 로샤 검사는 임상장면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2) 주제통각검사-TAT
1935년에 Harvard대학교의 임상심리연구실에서 Murray와 Morgan에 의하여 제작된 투사적 검사이다. 피검자가 쉽게 동일시 할 수 있는 인물과 상황을 묘사한 30매의 그림카드와 아무런 그 림이 없는 1매의 공백카드로 구성되어 있다. 30매의 카드는 남성성인용, 여성성인용,소녀용, 소년용, 겸용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한 피검자에게 20매를 제시하도록 되어 있다. 피검자에게 각 카드를 보여주면서 현재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카드 내에 나타난 인물들의 생각. 느낌. 행동은 어떤지 그리고 과거에는 어떠했고 미래에는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하여 상상력을 발휘하여 이야 기를 만들어 보라고 요청한다. 이 검사는 모호한 그림에 대하여 이야기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피 검자가 자신의 개인적인 과거 경험, 상상 및 공상내용, 관심과 욕구를 투사하게 되며, 이러한 공 상 속에서 피검자의 무의식적 충동, 방어 및 개인적인 갈등이 표현된다는 가정에 근거하고 있다.TAT는 임상장면에서 임상진단과 치료적 목적으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교육, 사회, 산업장면에 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4. 시사점
성격은 인간의 사고 감정 행위를 포함한 일련의 행동과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다. 성격은 관찰할 수 있는 사람들의 행동을 바탕으로 판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성격은 인간 적응의 측면을 반영한다. 즉 삶은 적응의 과정이며 사람들은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생존하기 위해 자신의 성격을 발달시키고 형성한다고 볼 수 있다. 성격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공유하는 공통성을 내표한다. 사람들을 어떤 성격의 유형으로 분류하는 것은 서로가 공유하는 행동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내향성 혹은 외향성으로 분류하는 것은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갖는 성향을 의미한다. 성격은 사람들을 구별할 수 있는 개인의 독특성 혹은 개인차를 반영한다. 즉 성격연구는 사람들의 공통성뿐 아니라 인간 개개인이 갖는 독특한 측면 혹은 개성에 대한 탐구에 관심을 둔다. 성격은 비교적 일관되고 안정적인 행동패턴과 관련된다. 성격을 통해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언하는 것은 성격의 일관성이나 안정성을 반영한다. 성격은 개인 내부의 역동적이며 조직화된 특성을 반영한다. 사람들이 어떤 상황에 접해 비교적 일관성있게 행동하는 이유는 개인의 조직화된 특성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성격의 개념과 제이론, 측정에 대해 자세히 논해 보았다. 다양한 성격의 정의를 바탕으로 노안영과 강영신(2003)은 ‘성격은 인간의 사고, 감정, 행위를 포함한 일련의 행동과 관련하여 이해될 수 있고, 인간 적응의 측면을 반영하며, 보편적으로 공유하는 공통성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을 구별할 수 있는 개인의 독특성 혹은 개인차를 반영한 비교적 일관되고 안정적인 행동패턴이자 개인 내부의 역동적이며 조직화된 특성을 반영한다.’라고 정리하였다. 따라서 성격은 타고난 기질과 성장과정에서 내외적 환경에 의해 형성된 개개인의 독특한 내적 힘(inner strength)이라고 보았으며, 환경변화에 따라 성격도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다고 본다.
참고문헌
노안영 외(2006). 성격심리학. 학지사.
박아청(2008). 성격 심리학의 이해. 교육과학사.
윤가현 외(2009).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이재창 외(2009). 성격심리학. 태영출판사.
Jerome Wagner(2006). 성격의 심리학. 파라북스.
윤운성(2009). 에니어그램 이해.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김 석(2010). 프로이트&라캉 무의식에로의 초대. 김영사.
문영규(2004). 개인성격 유형과 직업선호도에 관한 연구. 경복논총.
추천자료
[프로이드][성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프로이트][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 성격발달이론과 ...
[프로이드][프로이트][성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정신분석치료][정신분석평가][꿈의해석][...
[프로이드][정신분석이론][성격발달이론]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과 성격발달이론 고찰 및 제...
[프로이드][성격발달이론][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의 성격발달이론과 정신분석...
성격이론중 자신의 성격형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론 1가지를 골라서 이론과 자신의 성장배...
정신분석이론, 심리사회이론, 분석심리이론, 개인심리이론 중 하나의 성격이론을 선 택하여...
프로이드Freud, 분석심리이론, 자아심리이론, 인지발달이론, 행동주의이론, 행동주의적 성격...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영화 ‘굿윌헌팅’을 보고_정신분석적 성격이론 또는 행동주의적 성격이...
[에릭슨 성격발달이론 콜버그 도덕성 발달이론] 에릭슨(Erikson) 성격발달이론과 콜버그(Kohl...
정신역동이론은 인간의 성격을 이해하려는 많은 연구자와 실천가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쳐 다...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본주의 성격이론 (人本主義性格理論)≫ (인본주의 성격이론의 기본 ...
[성격구분이론]성격유형론-프레스더스(Presthus) 이론, 맥클리랜드(McClelland) 이론, 다운즈...
[성격이론] 성격의 특성이론(유형론과 특질론)과 과정이론(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 융의 분...
[카텔의 특질이론] 카텔(Cattell)의 성격이론 - 카텔의 생애 특질이론의 주요개념 카텔의 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