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에 대한 개념
1) 상담에 대한 개념
2) 심리치료에 대한 개념
3) 생활지도에 대한 개념
4)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에 대한 개념에 대한 비교 분석
2. 상담이 필요한 사례, 심리치료가 필요한 사례, 생활지도가 필요한 사례
1) 상담이 필요한 사례
2) 심리치료가 필요한 사례
3) 생활지도가 필요한 사례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에 대한 개념
1) 상담에 대한 개념
2) 심리치료에 대한 개념
3) 생활지도에 대한 개념
4)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에 대한 개념에 대한 비교 분석
2. 상담이 필요한 사례, 심리치료가 필요한 사례, 생활지도가 필요한 사례
1) 상담이 필요한 사례
2) 심리치료가 필요한 사례
3) 생활지도가 필요한 사례
3.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미술영역에서 사용하는 미니빗자루를 가지고 와서 바닥에 떨어진 종이조각을 쓸어담아 휴지통에 버리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와 가위질 한다.)
교사: (유아들에게 웃으며 다가간다.) 소정아, 민지야. 재윤이 덕분에 바닥에 떨어져 있던 종이조각들이 깨끗하게 정리됐어. 한번 봐봐.
소정: 진짜~ 네. 깨끗해요.
교사: 재윤아, 어떻게 깨끗해졌는지 민지와 소정이한테도 알려줘. 같이하면 더 깨끗해지겠다, 그치?
재윤: (웃으며) 네.
(다시 빗자루를 가지고 와서 종이조각을 쓸어 담는 것을 친구들에게 보여준다.) 되게 쉬워. 이렇게 하는거야. 근데, 이렇게 하면 종이가 다시 떨어져.
민지: 알아,알아. 내가 할게. (벽에 걸려 있는 미니빗자루를 가지고 온다.)
[재윤이와 민지, 소정이가 함께 미술영역의 종이조각들을 빗자루로 쓸어 담아 휴지통에 버린다.]
3. 시사점
학교는 청소년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배움의 장을 열어가고 있는 곳이다. 또 교육의 목표는 바른 인간을 양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장중인 학생들에게 자신의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는 자율성을 키우는 생활지도가 필요하다. 생활지도는 개인으로 하여금 그들의 욕구와 잠재력을 발견하도록 돕고 생애목표를 계발시켜 그 목표를 실현하도록 하며 아울러 행동 계획을 형성하여 자아실현에 이르도록 하는 교육적 과정의 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최근 학교교육은 여러 가지 면에서 개선발전되고 있다. 특히, 배움의 주체를 학습자로 인식하고, 교사가 아닌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을 주도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교육활동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생활지도 역시 교사들의 입장에서 이미 주어진 생활지도의 잣대로 학생들을 규격화하거나 학생들에게 행동수정을 강제적으로 요구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생활지도는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요구로부터, 혹은 그들의 필요를 파악하여 실제적으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 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생 생활지도의 내용이나, 운영 면에서 살펴보면 학생들의 의견을 간과한 채 교사 주도적 방식으로 그들의 지침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진행되어 왔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여 논의하고, 상담이 필요한 사례, 심리치료가 필요한 사례, 생활지도가 필요한 사례를 주변의 인물에 찾아서 설명해 보았다. 복잡하고 다양해진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심각한 경제위기와 사회변화로 육체적, 정신적, 경제적으로 소외계층이 증가하게 되고 지역주민들의 새로운 욕구 또한 증가 하고 있다. 이로 인한 심적 장애를 지니고 있는 클라이언트는 물론이고, 상담 고유활동의 하나인 발달, 성장·촉진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예방과 치료의 역할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상담서비스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참고문헌
안영진, 유아인성교육, 창지사, 2010.
노용오, 청소년심리, 도서출판 구상, 2005.
박상규 외,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 학지사, 2009.
이장호, 상담심리이론, 박영사, 2004.
교사: (유아들에게 웃으며 다가간다.) 소정아, 민지야. 재윤이 덕분에 바닥에 떨어져 있던 종이조각들이 깨끗하게 정리됐어. 한번 봐봐.
소정: 진짜~ 네. 깨끗해요.
교사: 재윤아, 어떻게 깨끗해졌는지 민지와 소정이한테도 알려줘. 같이하면 더 깨끗해지겠다, 그치?
재윤: (웃으며) 네.
(다시 빗자루를 가지고 와서 종이조각을 쓸어 담는 것을 친구들에게 보여준다.) 되게 쉬워. 이렇게 하는거야. 근데, 이렇게 하면 종이가 다시 떨어져.
민지: 알아,알아. 내가 할게. (벽에 걸려 있는 미니빗자루를 가지고 온다.)
[재윤이와 민지, 소정이가 함께 미술영역의 종이조각들을 빗자루로 쓸어 담아 휴지통에 버린다.]
3. 시사점
학교는 청소년들이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배움의 장을 열어가고 있는 곳이다. 또 교육의 목표는 바른 인간을 양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장중인 학생들에게 자신의 문제를 현명하게 해결할 수 있는 자율성을 키우는 생활지도가 필요하다. 생활지도는 개인으로 하여금 그들의 욕구와 잠재력을 발견하도록 돕고 생애목표를 계발시켜 그 목표를 실현하도록 하며 아울러 행동 계획을 형성하여 자아실현에 이르도록 하는 교육적 과정의 한 분야이기 때문이다.
최근 학교교육은 여러 가지 면에서 개선발전되고 있다. 특히, 배움의 주체를 학습자로 인식하고, 교사가 아닌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학습을 주도하는 등 학습자 중심의 교육활동으로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생활지도 역시 교사들의 입장에서 이미 주어진 생활지도의 잣대로 학생들을 규격화하거나 학생들에게 행동수정을 강제적으로 요구하는 것이어서는 안 된다. 생활지도는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요구로부터, 혹은 그들의 필요를 파악하여 실제적으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경험이 되도록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생 생활지도의 내용이나, 운영 면에서 살펴보면 학생들의 의견을 간과한 채 교사 주도적 방식으로 그들의 지침을 제공하는 수준으로 진행되어 왔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상담, 심리치료, 생활지도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여 논의하고, 상담이 필요한 사례, 심리치료가 필요한 사례, 생활지도가 필요한 사례를 주변의 인물에 찾아서 설명해 보았다. 복잡하고 다양해진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심각한 경제위기와 사회변화로 육체적, 정신적, 경제적으로 소외계층이 증가하게 되고 지역주민들의 새로운 욕구 또한 증가 하고 있다. 이로 인한 심적 장애를 지니고 있는 클라이언트는 물론이고, 상담 고유활동의 하나인 발달, 성장·촉진의 역할이 강조되면서 예방과 치료의 역할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상담서비스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참고문헌
안영진, 유아인성교육, 창지사, 2010.
노용오, 청소년심리, 도서출판 구상, 2005.
박상규 외, 중독의 이해와 상담실제, 학지사, 2009.
이장호, 상담심리이론, 박영사, 2004.
추천자료
정신분석학적 심리상담 치료방법과 방어기제
상담의 개념 고찰을 통한 상담과 심리치료가 나아갈 길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도벽증세 미술심리치료 상담사례
상담과 심리치료 - 수업내용중 관심있는 분야에 대한 개인적인 소감과 정리
상담과 심리치료
[심리치료와 상담] 아들러(Alfred Adler)의 정신병리에 대한 관점과 이해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CBT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융(Carl Gustav Jung) 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간중심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실제 - CT의 가상 대화록(Beck)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실존치료에 대한 성경적 관점
[상담과 심리치료] 임상적 실제 안에서의 기독교 신앙 및 암시적 통합과 명시적 통합)
상담의 정의(생활지도, 상담, 심리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