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로 인한 스트레스 및 불안을 줄일 수 있다.
1-3. 간호사는 구체적인 스트레스 원인에 대해서 파악하도록 한다.
1-4. 간호사는 라운딩 시에 병실생활 만족도 점수를 10점 만점 척도로 조사한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해결함으로써 낭비되는 물질적, 시간적 소비를 줄일 수 있다.
1-5. 간호사는 병실생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대상자가 언제든지 질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1-6 의료진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1-7 타 환자와의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오락 활동을 격려한다.
지지체계가 가까이 있음을 알게 하여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도록 도와주고, 병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촉하는 타 환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대상자의 병실 생활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2. 대상자는 10월 9일부터 10월 12일까지 치료(놀기)활동과 프로그램을 하루 1회 이상 참여할 것이다.
2-1 한 주의 프로그램 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한다.
2-2 간호사는 대상자가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려는 의지를 보이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격려하여 참여율을 높인다.
무슨 활동이 있는지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간호사는 수동적인 자세를 보며 참여하기를 기다리기보다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면 동기유발이 될 수 있다.
2-3 대상자가 평소 관심을 가지는 오락 활동에 대해서 조사하고, 가능하다면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조성한다.
2-4 간호사는 대상자가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해 알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얻을 수 있는 보상체계로 활용하여 동기를 부여한다.
기존 프로그램에 의지하기보다 대상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참여 동기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높은 동기부여를 위해서 적절한 보상체계를 이용한다면 강화효과를 불러 일으켜 대상자의 만족도도 증진 시킬 수 있다.
5) 간호수행 기록지
간 호 수 행 기 록 지
일 시
진단
번호
간 호 수 행 (SOAPIE)
서 명
10/10
3AM30
6AM
8AM
#1, #2
O : 중간에 깨어 환청소리 때문에 머리가 아플 지경이고 잠도 깨었다며 조절 원했으나 주치의 추가 약은 주지 않고 수면 양상 지켜보기로 함.
O : 수면 양상 확인 위해 병실 문 열어봐도 뒤척임 없었으나 깬 이후 누워만 있었지 잠 한 숨 못 잤다며 환청 때문에 머리가 띵하다 함
S : \"하루에 두세 번, 소리가 들려와. 돌아가신 아버지가 저에게 욕하기도 하고 그러다보면 저와 싸우게 되고… 어떤 때는 밤에 나타나 한 5분이나 10분정도 싸우다가 잠을 못 잘 때도 있고… 제가 몸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는 돌아가신 아버지 모습이 희미하게 한 번씩 보일 때도 있고. 텔레비에서 내 말하는 것 같은 생각도 들고... 그건 힘들지 않은데 소리 들릴 땐 조바심이 나고 머리가 띵하기도 하고…\"
I : 불안, 공포, 불안정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고 현실에 기반을 둔 대화를 제공하고 사로잡힌 생각대로 행동하지 않도록 함. 환각과 관련된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수용해주며 환각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도록 활동하도록 함
1PM30
E : 누군가 중얼거리거나 싸우는 소리가 들린다고 하며, 환청이 있을 때 무섭지는 않지만 머릿속이 복잡하고 혼란스러워 불안하기도 하다고 말함. 환각의 내용을 차분한 어조로 얘기하며, 면담 시 협조적인 모습 보임.
10/11
4PM
5PM30
#1, #2, #3
S : \"소리가 새벽에 한 번 들렸어요! 그래서 깨니까 다시 잠이 안 들고… 아버지와 싸우는 소리, 다른 사람과 싸우는 소리지… 보이는 것은 희미해서…\"
O : both side rail 올려 진 채 불편한 자세로 누워 졸고 있으며 깊은 잠 못 잠
I : 현실을 안내하고 현실에 기반을 둔 대화를 제공하여 환각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도록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함. 환각을 나타내는 행동을 관찰하고 불안, 공포, 불안정의 감정을 말로 표현해보도록 격려함.
7PM30
8PM40
O : 오후 시간 동안 오락실에서 TV시청하며 다른 환자와 어울림 없이 주로 혼자 지냄
I : 병동 생활 시 주의사항과 제한 물품을 설명하고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며 사로잡힌 생각대로 행동하지 않도록 하고 환각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도록 치료활동에 참여하도록 함
E : 다소 피곤한 듯 한 모습으로 오락실에 나와 TV 시청하나 집중 못하는 모습이고 환청은 많이 들리는데 낮에는 좀 작게 들리고 밤에는 좀 크게 들린다고 함. 치료(놀이)활동에 참여하며 다른 환자와 대화하는 모습을 보임
6) 총평
대상자는 환청과 망상에 대한 불안이 있던 상태였다. 이로 인하여 수면장애를 겪어 스트레스 정도도 상승된 상태였다. 또한 환경의 변화와 대상자에 맞는 적절한 지지체계 부족과 관련하여 대상자는 병원에 온 뒤로 환청이 더 심해지는 등의 호소를 하며 병원생활 부적응한 상태를 보였다. 이러한 이유로 간호진단을 ‘#1. 환각(시각, 청각) 및 망상(관계, 감시)으로 인한 불안과 관련된 감각지각장애’, ‘#2. 환시 및 환청으로 인한 수면을 방해 받는 것과 관련된 불면증’, ‘#3. 환경이동 및 적절한 지지체계부족과 관련된 환경변화 스트레스 증후군’을 내릴 수 있었다.
주 초점으로 대상자의 환각과 망상을 줄이기 위해 여러 차례 대화를 시도하였으나, 짧은 실습기간과 단기간에 치료효과가 나기 힘든 질환의 특성 때문에 큰 변화를 보기는 힘들었다. 그와 관련하여 수면양상 또한 큰 호전을 보이지 못하였다.
하지만 오락 활동이나 프로그램에 관심 및 참여도가 낮았던 대상자에게 우리는 자발적으로 찾아가서 같이 오락을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참여 동기 부여를 증진시키는데 노력을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는 처음에는 소극적인 태도로 참여하는 데 귀찮음을 보였으나, 점차 흥미를 가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도 적극적으로 찾아서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모습은 부족하나 전 보다 더 나아진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참여율로 인해서 대상자의 병실 생활 만족도는 목표에는 못 미치지만 처음 4점보다 높은 6점을 나타냈다.
1-3. 간호사는 구체적인 스트레스 원인에 대해서 파악하도록 한다.
1-4. 간호사는 라운딩 시에 병실생활 만족도 점수를 10점 만점 척도로 조사한다.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해결함으로써 낭비되는 물질적, 시간적 소비를 줄일 수 있다.
1-5. 간호사는 병실생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대상자가 언제든지 질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1-6 의료진과 소통할 수 있는 기회 및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1-7 타 환자와의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오락 활동을 격려한다.
지지체계가 가까이 있음을 알게 하여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도록 도와주고, 병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접촉하는 타 환자와의 관계를 통해서 대상자의 병실 생활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다.
2. 대상자는 10월 9일부터 10월 12일까지 치료(놀기)활동과 프로그램을 하루 1회 이상 참여할 것이다.
2-1 한 주의 프로그램 일정에 대해서 설명하고,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 정보를 제공한다.
2-2 간호사는 대상자가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려는 의지를 보이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격려하여 참여율을 높인다.
무슨 활동이 있는지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관심을 유도하고, 간호사는 수동적인 자세를 보며 참여하기를 기다리기보다 적극적으로 참여를 유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면 동기유발이 될 수 있다.
2-3 대상자가 평소 관심을 가지는 오락 활동에 대해서 조사하고, 가능하다면 제공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조성한다.
2-4 간호사는 대상자가 관심을 갖는 것에 대해 알고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얻을 수 있는 보상체계로 활용하여 동기를 부여한다.
기존 프로그램에 의지하기보다 대상자가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면 참여 동기를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더 높은 동기부여를 위해서 적절한 보상체계를 이용한다면 강화효과를 불러 일으켜 대상자의 만족도도 증진 시킬 수 있다.
5) 간호수행 기록지
간 호 수 행 기 록 지
일 시
진단
번호
간 호 수 행 (SOAPIE)
서 명
10/10
3AM30
6AM
8AM
#1, #2
O : 중간에 깨어 환청소리 때문에 머리가 아플 지경이고 잠도 깨었다며 조절 원했으나 주치의 추가 약은 주지 않고 수면 양상 지켜보기로 함.
O : 수면 양상 확인 위해 병실 문 열어봐도 뒤척임 없었으나 깬 이후 누워만 있었지 잠 한 숨 못 잤다며 환청 때문에 머리가 띵하다 함
S : \"하루에 두세 번, 소리가 들려와. 돌아가신 아버지가 저에게 욕하기도 하고 그러다보면 저와 싸우게 되고… 어떤 때는 밤에 나타나 한 5분이나 10분정도 싸우다가 잠을 못 잘 때도 있고… 제가 몸 컨디션이 좋지 않을 때는 돌아가신 아버지 모습이 희미하게 한 번씩 보일 때도 있고. 텔레비에서 내 말하는 것 같은 생각도 들고... 그건 힘들지 않은데 소리 들릴 땐 조바심이 나고 머리가 띵하기도 하고…\"
I : 불안, 공포, 불안정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도록 하고 현실에 기반을 둔 대화를 제공하고 사로잡힌 생각대로 행동하지 않도록 함. 환각과 관련된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고 수용해주며 환각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도록 활동하도록 함
1PM30
E : 누군가 중얼거리거나 싸우는 소리가 들린다고 하며, 환청이 있을 때 무섭지는 않지만 머릿속이 복잡하고 혼란스러워 불안하기도 하다고 말함. 환각의 내용을 차분한 어조로 얘기하며, 면담 시 협조적인 모습 보임.
10/11
4PM
5PM30
#1, #2, #3
S : \"소리가 새벽에 한 번 들렸어요! 그래서 깨니까 다시 잠이 안 들고… 아버지와 싸우는 소리, 다른 사람과 싸우는 소리지… 보이는 것은 희미해서…\"
O : both side rail 올려 진 채 불편한 자세로 누워 졸고 있으며 깊은 잠 못 잠
I : 현실을 안내하고 현실에 기반을 둔 대화를 제공하여 환각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도록 활동에 참여하도록 격려함. 환각을 나타내는 행동을 관찰하고 불안, 공포, 불안정의 감정을 말로 표현해보도록 격려함.
7PM30
8PM40
O : 오후 시간 동안 오락실에서 TV시청하며 다른 환자와 어울림 없이 주로 혼자 지냄
I : 병동 생활 시 주의사항과 제한 물품을 설명하고 규칙을 준수하도록 하며 사로잡힌 생각대로 행동하지 않도록 하고 환각으로부터 주의를 돌리도록 치료활동에 참여하도록 함
E : 다소 피곤한 듯 한 모습으로 오락실에 나와 TV 시청하나 집중 못하는 모습이고 환청은 많이 들리는데 낮에는 좀 작게 들리고 밤에는 좀 크게 들린다고 함. 치료(놀이)활동에 참여하며 다른 환자와 대화하는 모습을 보임
6) 총평
대상자는 환청과 망상에 대한 불안이 있던 상태였다. 이로 인하여 수면장애를 겪어 스트레스 정도도 상승된 상태였다. 또한 환경의 변화와 대상자에 맞는 적절한 지지체계 부족과 관련하여 대상자는 병원에 온 뒤로 환청이 더 심해지는 등의 호소를 하며 병원생활 부적응한 상태를 보였다. 이러한 이유로 간호진단을 ‘#1. 환각(시각, 청각) 및 망상(관계, 감시)으로 인한 불안과 관련된 감각지각장애’, ‘#2. 환시 및 환청으로 인한 수면을 방해 받는 것과 관련된 불면증’, ‘#3. 환경이동 및 적절한 지지체계부족과 관련된 환경변화 스트레스 증후군’을 내릴 수 있었다.
주 초점으로 대상자의 환각과 망상을 줄이기 위해 여러 차례 대화를 시도하였으나, 짧은 실습기간과 단기간에 치료효과가 나기 힘든 질환의 특성 때문에 큰 변화를 보기는 힘들었다. 그와 관련하여 수면양상 또한 큰 호전을 보이지 못하였다.
하지만 오락 활동이나 프로그램에 관심 및 참여도가 낮았던 대상자에게 우리는 자발적으로 찾아가서 같이 오락을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참여 동기 부여를 증진시키는데 노력을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는 처음에는 소극적인 태도로 참여하는 데 귀찮음을 보였으나, 점차 흥미를 가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아직도 적극적으로 찾아서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모습은 부족하나 전 보다 더 나아진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참여율로 인해서 대상자의 병실 생활 만족도는 목표에는 못 미치지만 처음 4점보다 높은 6점을 나타냈다.
추천자료
정신간호학 - 치료적 간호활동
정신간호학케이스
정신간호학케이스
정신간호학case-편집성정신분열증
정신간호학 게임중독 사례관리 CASE STUDY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케이스 스터디
[정신간호학 - 환자사례 간호과정] 정신분열증 (Schizophrenia) 케이스
정신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정신간호학][delusion][망상][irritable behavior]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 자살환자 간호 및 환자교육
정신간호학 - Paranoid Schizophrenia (망상형, 편집형 정신분열증) Case Study
정신과병동의업무 및 간호사 역할, 정신과병동간호사, 정신간호사 역할, 정신과병동의 업무, ...
정신건강간호학) 정신재활과 간호 A+
bipolar disorder 조울증 정신간호학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수면장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