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택적 주의
2. 자동성
3. 형태재인과 지각
* 참고문헌
2. 자동성
3. 형태재인과 지각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일으킨다. 교정을 위한 읽기의 경우에도 이와 동일한 현상이 일어나는 것 같디 우리는 실제로 쓰여진 대로 단어를 읽기보다는 쓰여져야 하는 대로 단어를 읽는 경향을 보인다.
문제해결에서도 지각에 대한 과거 경험의 영향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는 그 문제상황을 새로운 방식으로 지각해야 한다. 예를 들면, 침팬지를 대상으로 한 Kohler의 실험(1925)에서 침팬지가 근처에 있는 막대기로 바로 도달될 수 없는 지점에 바나나가 놓여있다. 침팬지는 도달 가능한 곳에 있는 바나나를 건져을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막대기의 속성을 지각해야 한다. 이와 비슷하게, "연못에 떠 있는 수연잎들이 매일 두 배씩 늘어나서 그 연못이 100일만에 완전히 수연잎으로 덮인다면, 반쯤 덮이는 날은 언제알"와 같은 통찰을 요구하는 문제의 해결은 수학적 계산보다는 논리적으로 문제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이 새로운 관점으로 문제를 생각하는 데 얼마나 능숙하게 되는가에 대하여 거의 알려진 것이 없지만, 여러 가지로 다양한 종류의 문제에 연습을 많이 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Sternberg & Davidson, 1983). 다양한 문제로 연습을 하는 것은 학습자를 문제해결에서 맥락의 역할을 민감하게 느끼도록 하여 주고, 이로 인하여 그 문제의 해결에 대한 새로운 가정을 상정해 보도록 사고를 보다 개방시켜 준다.
지각에 있어서 과거 경험과 맥락의 영향은 학생에 대한 기대에도 나타날 수 있다.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는 학업성취의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예, Go길, 1987). 다시 말하면, 수업 중에 어떤 학생에게 문제 있는 것으로 기대하면 교사는 문제행동을 더 많이 지각하는 경향을 보이기 쉽다. 또한, 성적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판이 난 학생은 그렇게 지각되는 경향을 보인다.
기대 자체는 교사의 이전 경험, 당면한 맥락이나 이 두 가지 모두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면, 교사는 어떤 행동을 공부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 남학생과 여학생, 또는 모범학생과 문제 학생을 연합시키고, 또 그렇게 기대되도록 학습하였다. 그러나 맥락도 어떤 역할을 한다. 교사는 어떤 동일한 학생을 두고서도 그 학생에 대해서 우수한 학급에서보다는 부진한 학급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은 기대를 할 수 있다.
자기충족예언(self-fulfuilling prophecy; Rosenthal & Jacobson, 1968)은 지난 20년 동안 학교에 상당한 영향을 주어왔지만, 최근에 나온 증거에 의하면 교사의 행동이 학생의 성취에 관하여 기대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Goldenberg(1992)는 아동의 첫 학기말 성적은 교사가 기대한 것과 현저한 대조를 보였다는 역설적인 기대의 두 가지 사례를 기술하였다. 그는 한 가지 사례에서 "학생이 스스로 잘 할 것으로 기대하였기 때문에 마땅히 학습을 교정하는 조치를 취했어야 할 때에 교사가 교정을 해 주지 못하였다"(p. 539)는 결론을 내렸다. 다른 사례에서, "학생의 성공에 대한 낮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사는 학기말 독서 성적에 영향을 주었을 조치를 취하였다‥‥ 낮은 기대는 명백하였지만 학습에 대한 교사의 어떤 조치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기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P. 539). 기대가 교사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기는 하지만 항상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가 학생의 성취를 확인하고 필요할 때 학습을 교정해 주는 조치를 취하느냐 않느냐에 달려있다.
감각기억, 주의와 형태재인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그 내용의 일부만 전달할 뿐이다. 학습자가 주의를 잘 기울이고 자극에서 선택된 부분에 대한 형태재인이 일어났을 때, 유의미하고 영속적인 기억 부분으로 되기 위해서는 그 정보에 대한 더 많은 처리가 여전히 요구된다. 다음 단계의 활동은 작용기억에서 일어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문제해결에서도 지각에 대한 과거 경험의 영향을 극복할 필요가 있다. 바꾸어 말하면,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는 그 문제상황을 새로운 방식으로 지각해야 한다. 예를 들면, 침팬지를 대상으로 한 Kohler의 실험(1925)에서 침팬지가 근처에 있는 막대기로 바로 도달될 수 없는 지점에 바나나가 놓여있다. 침팬지는 도달 가능한 곳에 있는 바나나를 건져을 도구로서 사용할 수 있는 막대기의 속성을 지각해야 한다. 이와 비슷하게, "연못에 떠 있는 수연잎들이 매일 두 배씩 늘어나서 그 연못이 100일만에 완전히 수연잎으로 덮인다면, 반쯤 덮이는 날은 언제알"와 같은 통찰을 요구하는 문제의 해결은 수학적 계산보다는 논리적으로 문제를 생각할 필요가 있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사람이 새로운 관점으로 문제를 생각하는 데 얼마나 능숙하게 되는가에 대하여 거의 알려진 것이 없지만, 여러 가지로 다양한 종류의 문제에 연습을 많이 하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증거가 있다(Sternberg & Davidson, 1983). 다양한 문제로 연습을 하는 것은 학습자를 문제해결에서 맥락의 역할을 민감하게 느끼도록 하여 주고, 이로 인하여 그 문제의 해결에 대한 새로운 가정을 상정해 보도록 사고를 보다 개방시켜 준다.
지각에 있어서 과거 경험과 맥락의 영향은 학생에 대한 기대에도 나타날 수 있다. 학생에 대한 교사의 기대는 학업성취의 평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예, Go길, 1987). 다시 말하면, 수업 중에 어떤 학생에게 문제 있는 것으로 기대하면 교사는 문제행동을 더 많이 지각하는 경향을 보이기 쉽다. 또한, 성적에서 우수한 것으로 평판이 난 학생은 그렇게 지각되는 경향을 보인다.
기대 자체는 교사의 이전 경험, 당면한 맥락이나 이 두 가지 모두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면, 교사는 어떤 행동을 공부 잘하는 학생과 못하는 학생, 남학생과 여학생, 또는 모범학생과 문제 학생을 연합시키고, 또 그렇게 기대되도록 학습하였다. 그러나 맥락도 어떤 역할을 한다. 교사는 어떤 동일한 학생을 두고서도 그 학생에 대해서 우수한 학급에서보다는 부진한 학급에서 일반적으로 더 높은 기대를 할 수 있다.
자기충족예언(self-fulfuilling prophecy; Rosenthal & Jacobson, 1968)은 지난 20년 동안 학교에 상당한 영향을 주어왔지만, 최근에 나온 증거에 의하면 교사의 행동이 학생의 성취에 관하여 기대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Goldenberg(1992)는 아동의 첫 학기말 성적은 교사가 기대한 것과 현저한 대조를 보였다는 역설적인 기대의 두 가지 사례를 기술하였다. 그는 한 가지 사례에서 "학생이 스스로 잘 할 것으로 기대하였기 때문에 마땅히 학습을 교정하는 조치를 취했어야 할 때에 교사가 교정을 해 주지 못하였다"(p. 539)는 결론을 내렸다. 다른 사례에서, "학생의 성공에 대한 낮은 기대에도 불구하고 교사는 학기말 독서 성적에 영향을 주었을 조치를 취하였다‥‥ 낮은 기대는 명백하였지만 학습에 대한 교사의 어떤 조치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기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P. 539). 기대가 교사의 행동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기는 하지만 항상 문제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중요한 것은 교사가 학생의 성취를 확인하고 필요할 때 학습을 교정해 주는 조치를 취하느냐 않느냐에 달려있다.
감각기억, 주의와 형태재인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그 내용의 일부만 전달할 뿐이다. 학습자가 주의를 잘 기울이고 자극에서 선택된 부분에 대한 형태재인이 일어났을 때, 유의미하고 영속적인 기억 부분으로 되기 위해서는 그 정보에 대한 더 많은 처리가 여전히 요구된다. 다음 단계의 활동은 작용기억에서 일어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