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기억이론
II. 정보처리모형
III. 기억제어 과정
1. 감각기억
2. 단기기억
3. 장기기억
* 참고문헌
II. 정보처리모형
III. 기억제어 과정
1. 감각기억
2. 단기기억
3. 장기기억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미 있는 방식으로 생각하고 이미 장기기억에 존재하는 다른 지식과 그것을 연합시키는 하나의 전략이다. 어떤 것을 좀 더 깊이 있게 처리할수록 다음 기회에 그것을 회상하게 될 가능성이 더 많아지는 것이다. 이런 과정을 증명하기 위하여 1975년에 퍼거스 크레이크(Fergus Craik)와 엔델 털빙(Endel Tulving)은 피험자들에게 일련의 단어를 보여 주고, 시각적 판단, 음향적 판단, 어의적 판단을 하도록 하였다. 그다음에 그들의 기억을 검토한 결과, 의미를 부여하며 깊이 있게 처리한 사람들이 낮은 수준으로 처리한 사람들보다 더 잘 기억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런 깊이 있는 처리가 효과적인 것은 단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람 얼굴을 기억하는 데도 효과적이다(Bloom을 Mudd, 1鉛1). 일련의 얼굴에 대해 '남자냐, 여자냐? 라는 질문에 피상적으로 판단하게 한 사람들보다 '정직해 보이는가, 그렇지 않은가? 라는 질문에 좀 더 복합적인 판단을 한 사람들이 얼굴을 보면서 보내는 시간이 더 많았고, 더 많은 안구운동을 하였으며, 나중에 얼굴을 더 잘 재인하였다.
장기기억에서 정보는 시각적 부호와 어의적 부호로 저장된다. 우리가 언어적 정보를 처리할 때, 저장되는 것은 구체적인 단어가 아닌 그 정보의 의미다. 실제로 사람들은 '행간'을 읽고 말한 것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내포된 것을 기억한다. 예를 들어, 낙하산을 메고서 '방 밖으로 뛰었다(leaped out the door). '를 들었던 사람이 흔히 낙하산을 메고서 '비행기에서 점프를 하였다(jumped out of the plane). '라고 회상하거나, '나는 경보가 울릴 때까지 달렸다(I ran up to the alarm). '라는 목격자의 증언을 '나는 경보를 울렸다(I rang the alarm).'라고 기억하곤 한다(Harris & Monaco, 1978). 더불어 시각적 입력 정보와 다른 많은 장기기억은 시각 이미지로 저장된다. 시각적 부호화에서는 어떤 대상이나 장면을 심적 사진으로 생성한다.
장기기억 속에는 우리의 습관, 기술, 언어적 정보, 다양한 지식, 개인적인 경험 등 우리의 모든 것이 저장되어 있다. 우리의 지식은 방대한 저장 창고라는 기억 속에 체계적으로 저장되어 있는데, 그 형태는 복잡하게 연결된 의미망(semantic network)을 이루고 있다. 하나의 항목이 마음속에 떠오르면 의미 있게 관련되어 있는 항목을 이끌어내는 경로가 발화된다. 이것이 인출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장기기억에서 정보는 시각적 부호와 어의적 부호로 저장된다. 우리가 언어적 정보를 처리할 때, 저장되는 것은 구체적인 단어가 아닌 그 정보의 의미다. 실제로 사람들은 '행간'을 읽고 말한 것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내포된 것을 기억한다. 예를 들어, 낙하산을 메고서 '방 밖으로 뛰었다(leaped out the door). '를 들었던 사람이 흔히 낙하산을 메고서 '비행기에서 점프를 하였다(jumped out of the plane). '라고 회상하거나, '나는 경보가 울릴 때까지 달렸다(I ran up to the alarm). '라는 목격자의 증언을 '나는 경보를 울렸다(I rang the alarm).'라고 기억하곤 한다(Harris & Monaco, 1978). 더불어 시각적 입력 정보와 다른 많은 장기기억은 시각 이미지로 저장된다. 시각적 부호화에서는 어떤 대상이나 장면을 심적 사진으로 생성한다.
장기기억 속에는 우리의 습관, 기술, 언어적 정보, 다양한 지식, 개인적인 경험 등 우리의 모든 것이 저장되어 있다. 우리의 지식은 방대한 저장 창고라는 기억 속에 체계적으로 저장되어 있는데, 그 형태는 복잡하게 연결된 의미망(semantic network)을 이루고 있다. 하나의 항목이 마음속에 떠오르면 의미 있게 관련되어 있는 항목을 이끌어내는 경로가 발화된다. 이것이 인출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자아개념]자아개념의 정의, 자아개념의 특징, 자아개념과 대화, 자아개념과 자아실현, 자아...
사회복지정책의 재원 개념과 특징 및 재원유형별 특성
글로벌 경영의 개념과 정의, 배경, 특징
국제복합일관운송의 개념) 국제복합운송의 정의와 요건, 운송수단에 의한 국제물품운송, 정기...
[아동미술교육] 아동미술교육의 이론 (미술의 개념, 아동미술활동의 정의 및 의의, 아동미술...
<조직(組織)> 조직구조(組織構造)와 조직문화組織文化) 및 조직 몰입(組織沒入)의 이해 - 조...
[행정문화(administrative culture)의 개념] 행정문화의 정의와 특성, 문화유형론, 문화의 통...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지방자치단체의 개념과 종류] 지방자치단체의 의의(정의, 특성), 지방자치단체 구성요소
[영아기 인지발달] 인지발달이론(감각운동기, 대상개념의 발달), 영아기의 인지과정, 영아기 ...
언어장애의 정의와 특성, 언어장애의 원인과 증상 및 진단적 특징, 언어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장애인의 이해] 장애인의 정의와 특성 장애의 개념과 유형
[사례관리의 개념] 사례관리의 정의와 목적 및 기능 사례관리의 원칙과 특성 사례관리 구성요소
[호스피스의 개념] 호스피스의 정의와 목적 및 필요성 호스피스 철학 및 기본원칙 호스피스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