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조절] 스트레스 조절변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트레스조절] 스트레스 조절변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A, B유형 행동양식
1. 적개심
2. 성취 추구
3. 조급성
4. 시간 압박

II. 통제 소재

III. 강인성

IV. 자존심

V. 사회적 지원

*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험을 준비하는 학습습관을 형성함으로써 스트레스 상황을 적극적으로 통제하는 대처 전략을 사용한다(Quick et al., 1997).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강인성 역시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로 인한 긴장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라고 볼 수 있다(Cohen & Edward, 1989).
IV. 자존감
자존감(self-esteem)은 긍정적으로 자신을 정의하거나 긍정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믿는 정도를 의미하기 때문에 긍정적 자기가치 혹은 긍정적 자기개념이라고도 한다.
동일한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에도 자존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보다 효율적인 대처 전략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트레스에 의한 결과나 긴장을 덜 경험하게 된다(Ganster & Schaubroek, 1995). 비록, 자존감이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주는 긍정적 효과가 있지만, 너무 자존감이 높은 사람의 경우 직장에서 폭력 또는 공격행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 항상 긍정적 효과만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Baumeister et al., 1996). 하지만 스트레스를 받는 상황에서는 자존감이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긴장감의 조절 변수 역할을 한다(Cooper et al., 2001).
V. 사회적 지원
스트레스 원인과 스트레스 긴장 간을 조절하는 상황적 변수(situational variable)로는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이 있다. 사회적 지원은 개인이 타인(배우자, 동료, 친구)이나 집단(가족, 팀, 친교 모임), 조직(회사, 동문)과의 공식적 비공식적 접촉을 통한 도움, 위로, 정보, 편안함 등을 의미한다. 이 역시 스트레스에 의한 심리적 신체적 증상을 조절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Cohen & W, 1985). 사회적 지원은 개인이 심리적으로 보호받고 있다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스트레스의 부적 효과를 완화해 주는 역할을 한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10.28
  • 저작시기201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7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