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해결과 추리(시각적 사고, 문제해결의 단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제해결과 추리(시각적 사고, 문제해결의 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시각적 사고
2. 문제해결의 단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면 한 단계가 해결된 상태이다. 그 다음 단계로 고리 A를 막대 1로 옮기고 고리 B를 막대 3으로 옮기고 마지막으로 막대1에 있는 고리 A를 막대 3으로 옮기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었다. 연산법에서는 문제해결을 위해 어떤 규칙에 입각하여 기존 공식을 체계화하여 이용한다.
또 다른 책략은 자기발견법이다. 이는 과거에 효과가 있었던 경험을 근거로 한, 앞으로도 효과가 있을 것 같은 책략이나 짐작을 말하는데, 과거 경험을 기초로 몇 가지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검증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그런데 어떤 문제이건, 어떤 책략을 이용하건 간에 대부분의 문제해결 과정은 세 단계를 거친다.
첫째 단계는 문제의 설정 단계로 주어진 문제를 어떻게 표상하는가 이다. 표상방식이 언어적이거나 비언어적이거나 간에 문제공간을 구성하는 과정을 거친다. 문제해결자는 과거경험이나 지식을 동원하여 현재의 주어진 문제상태와 목표상태를 파악하여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문제공간을 구성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한다.
둘째 단계는 가능한 해결책을 생각해 내는 단계로, 문제공간의 설정이 되면 통찰 혹은 연산법이나 자기발견법 등의 책략을 이용하여 가능한 해답을 생각해 낸다. 여기에서 문제해결 사고에 저해적으로 작용하는 세 가지 요인에 주의하여야 한다. 문제해결을 위해 가설을 세우고 그것을 검중하는 가운데 자신이 세운 틀린 가설에 집착하여서는 올바른 해답을 얻을 수 없다는 점이다. 또한 유사한 문제해결을 되풀이 하면 문제해결 태도(problem solving set)가 생겨 맹목적으로 앞 문제를 푼 방법을 택하게 되므로 더 쉬운 문제해결에도 저해를 받게 된다. 마지막 요인은 형태심리학자인 Duncker(1945)가 발견한 기능적 고착현상이다.
우리는 주변의 물건에 대해 그것들이 갖는 기능을 알고 있으므로 어떤 문제해결 장면에서 우리가 아는 기능 이외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하면 문제해결이 가능하다. 그 물건 고유의 기능에만 집착함으로써 문제해결이 가능하게 된다. 때로는 문제해결에서 어린이들이 더 창조적민 것은 이들이 물건에 대한 기능적 고착이 덜 되어 있기 때문이라 설명될 수 있다.
셋째 단계는 대안적인 해결책에 대한 평가단계이다. 문제를 설정하고 그 문제의 해결책이 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대안들을 생각해 내고나면 이 대안들 중에서 어떤 것이 가장 좋은 것인지를 평가하게 된다(김동기 외, 1994). 이때 중요한 점은 감정이나 자신의 경험에 근거한 편견을 가능한 배제하여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7.10.31
  • 저작시기201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37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