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구성주의와 기능주의
2. 행동주의
3. 형태심리학(또는 게슈탈트 심리학)
4. 정신분석학
5. 이지과학의 출현
* 참고문헌
2. 행동주의
3. 형태심리학(또는 게슈탈트 심리학)
4. 정신분석학
5. 이지과학의 출현
* 참고문헌
본문내용
무의식의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무의식이란 지금까지 축적된 경험, 잠재된 반사회적 요소, 내적인 동기나 욕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깊게 숨겨져 있는 의식내용을 분석한다는 의미에서 이를 심층심리학이라고도 한다.
5. 인지과학의 출현
심리학이 현재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마지막으로 언급할 만한 주목할 만한 사건은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의 출현이다. 194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연구자의 관심이 행동에서 의식으로 복귀하는 일련의 변화들이 있었다. 이런 변화의 조짐은 신행동주의(Neo-behaviorism)출현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신행동주의란 행동주의가 지나치게 연구대상을 행등에 국한함으로써 그 한계를 인식하고 언어도 행동에 포함하는 등 포괄적으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는 입장이다.
인지란 자극을 수용하고, 처리하고, 저장하는 일련의 지적과정을 총칭하는 말이다. 심리학자들이 인지에 관심을 갖게 되는 데는 심리학 주변 환경의 변화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컴퓨터의 발전, 사이버네틱스의 출현, 정보학의 발달 등은 인간의 지적과정도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끔 만들었다. 이와 같은 외적 환경의 변화와 내적인 변화의 압박으로 심리학자들은 다시 '지적 과정' 즉 인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심리학에서 인지심리학이 출현하고 최근에는 이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전산학, 언어학, 철학, 심리학 등이 공동 연구하는 인지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출현하였다.
우리는 심리학이 철학에서 구성주의로, 구성주의에 반발하여 기능주의와 형태주의가출현하고, 이어 구성주의와 기능주의의 비과학적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으로 행동주의가 나타나고, 행동주의가 한계에 봉착하자 신행동주의로 발전하였다가 인지과학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해 온 과정을 극히 제한적으로 다루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심리학은 오늘날에 이르렀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무의식이란 지금까지 축적된 경험, 잠재된 반사회적 요소, 내적인 동기나 욕망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렇게 깊게 숨겨져 있는 의식내용을 분석한다는 의미에서 이를 심층심리학이라고도 한다.
5. 인지과학의 출현
심리학이 현재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마지막으로 언급할 만한 주목할 만한 사건은 인지과학(Cognitive science)의 출현이다. 194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연구자의 관심이 행동에서 의식으로 복귀하는 일련의 변화들이 있었다. 이런 변화의 조짐은 신행동주의(Neo-behaviorism)출현에서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신행동주의란 행동주의가 지나치게 연구대상을 행등에 국한함으로써 그 한계를 인식하고 언어도 행동에 포함하는 등 포괄적으로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는 입장이다.
인지란 자극을 수용하고, 처리하고, 저장하는 일련의 지적과정을 총칭하는 말이다. 심리학자들이 인지에 관심을 갖게 되는 데는 심리학 주변 환경의 변화도 많은 영향을 미쳤다. 컴퓨터의 발전, 사이버네틱스의 출현, 정보학의 발달 등은 인간의 지적과정도 과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끔 만들었다. 이와 같은 외적 환경의 변화와 내적인 변화의 압박으로 심리학자들은 다시 '지적 과정' 즉 인지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심리학에서 인지심리학이 출현하고 최근에는 이 분야의 눈부신 발전으로 전산학, 언어학, 철학, 심리학 등이 공동 연구하는 인지과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이 출현하였다.
우리는 심리학이 철학에서 구성주의로, 구성주의에 반발하여 기능주의와 형태주의가출현하고, 이어 구성주의와 기능주의의 비과학적 연구방법에 대한 비판으로 행동주의가 나타나고, 행동주의가 한계에 봉착하자 신행동주의로 발전하였다가 인지과학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해 온 과정을 극히 제한적으로 다루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심리학은 오늘날에 이르렀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키워드
추천자료
[조선족, 중국] 중국 조선족의 역사적 배경과 현황
[칼 로저스][인간중심 상담 이론][사례][상담][자아]칼 로저스의 인간중심 상담 이론과 사례(...
[비교행정론]선진국 행정체제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
[행정학과 - 비교행정론] 20- A. 선진국 행정체제의 역사적 배경과 특징에 관하여 설명하시오.
실학이란?/실학의 발생 배경/실학의 형성과 발전/실학의 특징/실학의 대표적 실학자/실학의 ...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분류와 배경, 교육심리(교육심리학)의 인지적 특성, 교육심리(교육심...
대승불교(大乘佛敎) 흥기의 역사적 배경과 그 의의
4 19의거(4 19혁명)의 개념, 중요성, 4 19의거(4 19혁명)의 역사적 배경, 4 19의거(4 19혁명)...
[심리검사 (A+)] 투사적 검사 로쟈검사(로샤검사 : Rorschach Test) -잉크반점(inkblot) 검사...
6.10 만세 운동의 시대적 배경과 6.10 만세 운동의 준비, 6.10 만세운동의 전개와 영향, 6.10...
[한국민족운동사]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 - 1920년대 학생운동의 전개과정, 광주 학생운...
[한국민족운동사] 1910년대~1920년의 농민운동 - 농민운동 전개의 배경, 소작쟁의와 수리조합...
[미술치료] 아동 미술치료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아동화 발달특성 및 아동화 표현의 특성 미...
사회복지법이 발달하게 된 역사적 주요 흐름을 설명하고 산업화 자본주의 사회변동에 의해 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