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승불교(大乘佛敎) 흥기의 역사적 배경과 그 의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들어가면서 -
1. 대승불교(大乘佛敎)란 무엇인가?
2. 대승불교 발생의 시대적 배경
3. 대승불교의 의의

본문내용

成佛하지 않겠다고 誓願하고 있으며, 법장비구(法藏比丘, 아미타불의 前身)의 서원에는 자신이 비록 부처가 된다고 하더라도 괴로운 중생에게 깨달음을 열어 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면 결코 깨달음을 얻지 않겠노라는 뜻이 반복되고 있다.
) 위의 책, p.113
이와 같이 보살의 정신에는 대자대지(大慈大悲)한 부처님의 정신이 가장 잘 표현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맺으면서 -
위에서 대승불교가 일어나게 된 시대적 배경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대승불교는 말 그대로 보다 크고 깊은 불교의 참된 정신을 되살리려고 일어난 사상적 운동이자, 현대에 까지 그 정신이 계승되고 있다는 괄목할 만한 사상적 의의를 찾아볼 수 있겠다. 하지만 과연 우리들의 현재의 불교는 이러한 근본 취지에 비해서 어떠한가를 살펴 보아야 할 것이며, 그러한 반성이 있다면 우리는 현재의 우리 불교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정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우리 불교의 현재적이 문제점이란 그것은 불교 내에서의 화합하지 못함일 것이다. 즉 일반 신앙으로서의 불교인들과 교학으로서의 불교인들이 서로 긴밀하지 못한 것이며, 그러한 서로간의 비화합과 부조화는 불교의 비대중적인 양상을 이끌어낸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우리는 이러한 비대중적이며 분열적인 양상을 극복하는 것을 가장 큰 해결 과제로 삼아야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제 2, 제 3의 대중불교운동 계속해서 일어나서 진정한 부처님의 가르침으로 계속해서 접근해 갈 수 있어야 하겠으며, 또한 大慈大悲를 스스로 자발적으로 실천하여 불교가 보다 이타적이고 大乘的인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8.07
  • 저작시기2006.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3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