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산역은 무덤을 만드는 것으로 대도시에서는 상여도가의 일꾼 등이 일을 맡았고 농촌의 경우는 마을주민들이 협력했다. 상여 출발 전에 상주는 장례일 전부터 조성한 묘지 터에 도착해 산신에게 간단한 산신제를 지내고 상주가 먼저 관이 묻힐 네 귀를 한 삽씩 흙을 퍼내고 나서 일꾼들이 땅을 파기 시작하며 하관 전까지는 다 끝내도록 준비한다.
13) 하관(관을 내림)
하관은 관이 파 놓은 구덩이에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하관도 지관이 정해 놓은 시간에 맞추어서 진행했다. 지방과 가문의 풍습에 따라 관을 버리고 시체만 묻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하관을 하기 전에 구덩이를 소나무 가지로 깨끗이 쓸고 금정(무덤을 팔 때 구덩이의 길이와 넓이를 맞추는 나무틀) 양 옆에 백지를 붙인 다음 관을 맨 바를 풀고 머리를 북쪽으로 하고 발을 남쪽으로 향하게 한 후 관 사이에 밧줄을 넣어 양쪽에서 들어 구덩이에 서서히 내려놓는데 이때 금정과 시신의 방향이 일직선이 되어야 한다. 상제들은 산에서 산역이 끝날 때까지 영좌 옆에 서서 곡을 하며 뒤늦게 온 조객들의 조문을 받는다. 지방과 가문의 관습에 따라 여자들은 묘지의 하관식에 참석을 못하게 하는 곳도 있고 참석하게 하는 곳도 있다.
13) 하관(관을 내림)
하관은 관이 파 놓은 구덩이에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하관도 지관이 정해 놓은 시간에 맞추어서 진행했다. 지방과 가문의 풍습에 따라 관을 버리고 시체만 묻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하관을 하기 전에 구덩이를 소나무 가지로 깨끗이 쓸고 금정(무덤을 팔 때 구덩이의 길이와 넓이를 맞추는 나무틀) 양 옆에 백지를 붙인 다음 관을 맨 바를 풀고 머리를 북쪽으로 하고 발을 남쪽으로 향하게 한 후 관 사이에 밧줄을 넣어 양쪽에서 들어 구덩이에 서서히 내려놓는데 이때 금정과 시신의 방향이 일직선이 되어야 한다. 상제들은 산에서 산역이 끝날 때까지 영좌 옆에 서서 곡을 하며 뒤늦게 온 조객들의 조문을 받는다. 지방과 가문의 관습에 따라 여자들은 묘지의 하관식에 참석을 못하게 하는 곳도 있고 참석하게 하는 곳도 있다.
추천자료
노인복지시설론
[사회] 노인 자살
노인학대의 원인과 실태 및 대책
노인복지법과 노인장기요양보험법
노인복지정책에 관하여
노인복지법과 고령자고용촉진법
노인복지시설의 종류, 현황, 개선방안
노인복지법에 나타난 실효성 체계와 타당성 체계를 분석
노인가족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가족문제를 설명하고, 노인 가족에게 필요한 사회사업 기법 및 ...
0황혼자살에 대한 사회 복지적 대책방안
사회학적 노화이론의 종류와 각 특징에 대하여 정리하여 서술
노인여가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서술
인간의 생애주기에 따른 사회복지의 필요성을 다양한 참고 문헌을 활용하여 분석 (생애주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