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전류에 따른 분류
3. 전류에 따른 효과
4. 전기치료의 종류
5. 전기치료의 적응증과 금기증
6. 손상발 case의 상태 및 치료 변경 사유
7. 한냉치료시 나타나는 신체의 반응
8. 한냉자극치료의 효과
9. 한냉치료의 적용
10. 온열치료시 나타나는 신체의 반응
11. 참고문헌
2. 전류에 따른 분류
3. 전류에 따른 효과
4. 전기치료의 종류
5. 전기치료의 적응증과 금기증
6. 손상발 case의 상태 및 치료 변경 사유
7. 한냉치료시 나타나는 신체의 반응
8. 한냉자극치료의 효과
9. 한냉치료의 적용
10. 온열치료시 나타나는 신체의 반응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후 한냉치료는 2-3일간의 지속적인 인자의 공급과 석고붕대 및 탄력붕대에 의한 관절고정과 더불어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간은 15분 정도가 적당하며 2-3시간 간격으로 적용하는 것이 좋다.
10. 온열치료시 나타나는 신체의 반응
목욕을 하거나 따뜻한 찜질을 하면 아래와 같은 신체의 반응이 나타난다.
1. 근육의 이완
2. 동맥장력의 감소
3. 맥박의 증가
4. 얕은 호흡
5. 체열생산의 감소
6. 체온의 저하
온찜질은 만성적인 관절통으로 뻣뻣해진 관절과 뭉친 근육을 풀어준다. 통증을 완화하고 혈류를 증가시키며 상처를 빨리 곪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순환 장애나 충혈, 심한 부기가 있는 경우에는 상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상직후에는 냉찜질을 하고 3일 이후에 근육을 풀어주고 회복을 돕기 위해서는 온찜질로 바꾸어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출혈 후 무조건 찬찜질을 한다고 좋은 것은 아니며 그렇다고 따뜻한 찜질을 해서도 안된다. 출혈 후 얼음찜질은 적절한 적용시간과 효과적인 방법이 치료로써의 결과를 가지고 온다. 관절에 염증이 있거나 열감이 있을 때에는 출혈과 염증을 줄이기 위해서 한냉치료는 권할만 하다고 할 수 있다.
급성염증 상태에서는 부종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 치료를 사용하고, 부종이 어느 정도 가라앉아 조직손상이 최소화 된 상태에서 온열치료와 전기치료를 사용하여 혈액공급의 증가 및 영양공분의 증가 등을 이용하여 조직을 빠른 시간에 치료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운동 치료와 massage등을 사용하여 손상부위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치료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손상발씨의 경우 이틀간의 냉 치료를 통해 혈관이 수축되어 부종이 감소하고 감각신경 말단이나 통증전달 신경섬유에 작용하여 통증의 전달 속도를 지연시키거나 차단시켜 통증이 완화되었다. 하지만 48시간 이후에 냉 치료를 계속 할 경우 혈관수축, 혈류의 감소로 화상부위에 신진대사를 저하시키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상처의 회복을 저하시킬 수 있다.그러므로 48시간 이후에는 온열치료를 통해 영양공급을 증진시켜 손상된 부위로부터 생긴 부산물을 제거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치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11. 참고문헌
http://kangpt.com/kr/index.php?option=com_k2&view=item&layout=item&id=8&Itemid=3
10. 온열치료시 나타나는 신체의 반응
목욕을 하거나 따뜻한 찜질을 하면 아래와 같은 신체의 반응이 나타난다.
1. 근육의 이완
2. 동맥장력의 감소
3. 맥박의 증가
4. 얕은 호흡
5. 체열생산의 감소
6. 체온의 저하
온찜질은 만성적인 관절통으로 뻣뻣해진 관절과 뭉친 근육을 풀어준다. 통증을 완화하고 혈류를 증가시키며 상처를 빨리 곪게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순환 장애나 충혈, 심한 부기가 있는 경우에는 상태를 더 악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부상직후에는 냉찜질을 하고 3일 이후에 근육을 풀어주고 회복을 돕기 위해서는 온찜질로 바꾸어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
이렇듯 출혈 후 무조건 찬찜질을 한다고 좋은 것은 아니며 그렇다고 따뜻한 찜질을 해서도 안된다. 출혈 후 얼음찜질은 적절한 적용시간과 효과적인 방법이 치료로써의 결과를 가지고 온다. 관절에 염증이 있거나 열감이 있을 때에는 출혈과 염증을 줄이기 위해서 한냉치료는 권할만 하다고 할 수 있다.
급성염증 상태에서는 부종으로 인한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 치료를 사용하고, 부종이 어느 정도 가라앉아 조직손상이 최소화 된 상태에서 온열치료와 전기치료를 사용하여 혈액공급의 증가 및 영양공분의 증가 등을 이용하여 조직을 빠른 시간에 치료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운동 치료와 massage등을 사용하여 손상부위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치료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특히 손상발씨의 경우 이틀간의 냉 치료를 통해 혈관이 수축되어 부종이 감소하고 감각신경 말단이나 통증전달 신경섬유에 작용하여 통증의 전달 속도를 지연시키거나 차단시켜 통증이 완화되었다. 하지만 48시간 이후에 냉 치료를 계속 할 경우 혈관수축, 혈류의 감소로 화상부위에 신진대사를 저하시키게 되기 때문에 오히려 상처의 회복을 저하시킬 수 있다.그러므로 48시간 이후에는 온열치료를 통해 영양공급을 증진시켜 손상된 부위로부터 생긴 부산물을 제거하는 등의 효과를 나타내어 치료를 더욱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11. 참고문헌
http://kangpt.com/kr/index.php?option=com_k2&view=item&layout=item&id=8&Itemid=3
추천자료
방사선물리학..- 고정양극x선관.. 회전양극x선관
류마티스 관절염의 재활치료
고전압맥동전류자극치료
자외선치료
[정신분열증][정신분열][정신장애][정신질환]정신분열증의 개념, 정신분열증의 원인, 정신분...
특수교육학개론
온열 및 수치료(요약정리)
의사소통장애 정의, 분류, 특성, 원인, 진단, 치료, 교육
환지통(Phantom limb pain)에 대해서(발생기전, 관련요인, 특성, 치료, 예방법)
비바이러스성 벡터를 이용한 유전자 치료
CVA 임상적 특징 및 치료
환자의관리, 환자의치료적환경, 환자의일반적관리, 정신과정응급처치, 병동관리, 입퇴원관리,...
감각의 기제(감각경로, 정신물리학)
심리학개론-심리학의 다양한 관점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 비교분석하여 각 관점별로 일상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