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관계에서의 의사소통 특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관계에서의 의사소통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족관계에서의 의사소통 특성

I. 과정으로서의 의사소통

II. 상징으로서의 의사소통

III. 교류로서의 의사소통

IV. 관계로서의 의사소통

V. 맥락으로서의 의사소통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의미는 단순히 집에 좀 늦게 간다는 말이지만 관계에 따라서는 이 말이 의미하는 바가 다를 수도 있다. 즉, 자녀가 엄마에게 그 말을 했다면 오늘 늦게 귀가해도 되는지에 대해 엄마에게 허락해 줄 것을 부탁하는 의미가 될 것이고, 자녀가 친구에게 그 말을 했다면 오늘은 만날 수 없거나 함께 일하고 싶지 않다는 사실을 통보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처럼 같은 내용이라도 어떤 관계에서 전달하느냐에 따라 그 의미는 매우 달라질 수 있어서 의사소통에서의 관계는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치게 된다.
V. 맥락으로서의 의사소통
의사소통은 맥락에서 이루어진다. 의사소통이 어떤 상황에서 일어나는가에 따라 그 내용과 방법이 달라진다. 여기서 맥락이란 장소, 문화, 역사적 기간, 관계의 역사 등을 모두 포함한다. 장소에 따라 부부는 서로 다른 형식으로 의사소통을 한다. 침실에서 두 사람이 이야기하는 억양이나 태도는 부부들이 모인 모임이나 친척들 모임에서와는 서로 다르다. 또한 여자들만 모였을 때와 남자들과 여자들이 함께 모였을 때도 서로 다르게 의사소통한다.
예를 들어, 어떤 여자는 여자들만 있을 때는 큰 소리로 떠들다가도 남자들이 나타나면 조용해진다. 또 어떤 남자는 남자들끼리 있을 때는 비어를 섞어 말을 하다가도 여자가 있으면 비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부모-자녀관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엄마가 소리를 지르면서 자녀를 혼내다가도 이웃 사람이 집에 놀러오면 엄마는 자녀에게 더 이상 소리를 지르면서 야단치지 않는다. 그래서 이러한 맥락을 잘 아는 자녀는 다른 사람이 있을 때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떼를 쓰기도 한다. 즉, 자녀는 맥락을 잘 이용하여 엄마와 의사소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가족구성원들 간의 의사소통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 상황이나 맥락에서 대화가 이루어졌는지에 대해 확인할 필요가 있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7.12.14
  • 저작시기201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07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