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정보기술 (3D IPTV)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최신정보기술 (3D IPTV)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 장점
3 제한
4 회선망 논쟁
5 개방형 IPTV
6 모바일 IPTV
7 적용기술
8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가입자 수
9 3D IPTV 보급
10 정리

본문내용

있다.
5. 개방형 IPTV
-현재까지의 IPTV는 회선망을 보유한 업체들을 중심으로 타사에 대해 배타적인 폐쇄형 IPTV서비스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망중립성 논쟁과 함께 개방형 IPTV에 대한 요구도 강하게 나오고 있다. 실제로 방송통신위원회는 회선망을 개방하여 망을 보유하지 않은 사업자들에게도 IPTV서비스를 승인하는 개방형 IPTV에 대해 집중적으로 투자할 것이라 밝혔다.
6.모바일 IPTV
-IPTV가 인터넷 기반이라는 점에서 착안. Wi-Max(이후 한국 서비스 명인 Wibro사용), 3GPP, 3GPP2, DVB과 같은 무선 광대역통신기술을 이용한 모바일IPTV의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한국의 경우 와이브로망을 이용한 IPTV서비스를 방송통신위원회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연구/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2009년 6월 대한민국 제주도에서 열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담'에서 방송통신위원회 주관으로 KT와 알티캐스트가 세계최초로 Wibro망 기반 모바일IPTV를 성공적으로 시연하였다.
7.적용기술
7.1 베이스밴드
-특정 반송파를 변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신호에 의해 얻어지는 주파수 대역. 기저 대역이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 전송에서 복합 화상 신호에 의해 점유되는 베이스밴드는 6MHz로 되어 있다. 또 반송 통신에서 변조된 모든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주파수 대역 등도 베이스밴드라고 한다. 데이터 전송에서는 변조 전이나 복조 후의 신호, 즉 데이터 신호 그 자체를 베이스밴드 신호라고 한다.
7.2 MPEG-2
-moving pictures exports group-2의 약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고화질 TV(HDTV)와 대응하는 해상도를 규정하고 있다. MPEG-2는 HDTV에서 가능한 수준의 고화질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므로 적어도 5내지 10Mb/sec 정도의 전송 속도가 필요하다. MPEG-2에서 필요로 하는 이 전송 속도는 상용중인 일반 케이블 TV의 데이터 전송 속도와 인공 위성 방송에서 사용하는 전송 속도에 만족 한다. MPEG-2는 해상도와 전송 속도 등을 대폭 개선하여 MPEG-1보다 한 차원 발전된 압축 기술이다.
7.3 3DAV [ 3 Dimensional Audio Vidio ]
-엠페그(MPEG) 표준화에 포함될 3차원 오디오·비디오 기술의 새로운 표준을 연구하는 그룹. 기존의 MPEG-2, MPEG-4, MPEG-7 등의 표준에 추가하는 기능으로서 첫째, 사용자에게 영상 정보 이용에서 시점의 자유를 제공하고, 둘째, 기존의 MPEG-2 멀티뷰 프로파일에서 제공하지 못하고 있는 객체 기반 인터액티비티(interactivity)를 포함시키며, 셋째, 영상 기반 렌더링을 이용한 3D 객체 생성 기능 제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가급적 새로운 도구의 개발보다는 기존의 도구들을 재활용하는 쪽에 중심을 두고 추진하고 있다.
7.4 셋톱 박스 [ set-top box ]
-일반적으로 주문형 비디오(VOD), 영상판 홈 쇼핑, 네트워크 게임 등 차세대 쌍방향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이른바 대화형 텔레비전)를 이용하는 데 필요한 가정용 통신 단말기 기능을 갖춘 텔레비전 세트 위에 놓고 이용하는 상자. 쌍방향 텔레비전이나 전화 회사의 영상 전송 서비스(예:미국 지역 전화 회사가 제공하는 비디오 다이얼 톤) 등의 망과 접속하여 가정 내에서는 텔레비전 모니터 등에 연결하여 이용한다. 셋톱 박스는 전화 회사나 종합 유선 방송(CATV)국에 설치되어 있는 비디오 서버 등과 통신하는 외에, 기본 기능으로서 영상 신호의 수신·변환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전화와 PC 통신 등 데이터 통신 서비스도 동시에 이용될 수 있도록 전화 인터페이스나 PC와의 접속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 등 다양한 규격이 검토되고 있다. 대화형 텔레비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통신·컴퓨터·가전제품 제조업체들이 셋톱 박스의 제품화 및 판매 경쟁을 벌이고 있다.
8.IPTV 가입자수
대한민국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가입자 수
2009년1월부터 2012년 4월까지 대한민국의 IPTV 유료 가입자 수 비교>
2009년1월
2009년7월 14일
2009년10월 9일
2010년4월 24일
2010년12월 17일
2011년5월 27일
2012년4월 11일
출범 (상용화)
50만 명 돌파
100만 명 돌파
200만 명 돌파
300만 명 돌파
400만 명 돌파
500만 명 돌파
출처: 한국디지털미디어산업협회
*한국 내 서비스 업체
KT - 올레 TV (구 메가TV,쿡TV)
SK브로드밴드 - B TV (구 브로드앤TV)
LG유플러스 - U+ TV (구 myLGtv)
제공 컨텐츠 양은 KT가 가장 많으며 다음이 SK이고 다음이 LG이다.
9.3D IPTV 제공
최근에는 이와같은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에 3D 입체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3D IPTV의 제공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입체 영상뿐 만아니라 가상현실의 3D인터페이스나 GUI를 활용하여 IPTV의 인터페이스를 설계하는 중입니다.
10. 정리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컨버전스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IPTV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수상기와 셋톱박스, 인터넷 회선만 연결되어 있으면 된다. 따라서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라도 리모컨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인터넷 검색은 물론 영화 감상, 홈쇼핑, 홈뱅킹, 온라인 게임, MP3 등 인터넷이 제공하는 다양한 콘텐츠 및 부가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IPTV는 비디오를 비롯한 방송 콘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일반 케이블방송이나 위성방송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지만, 양방향성이 추가된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일반 공중파 방송이나 케이블방송 또는 위성방송과는 달리 시청자가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자신이 보고 싶은 프로그램만 볼 수 있다. 따라서 TV 방송의 주도권이 방송사나 중계업자로부터 시청자에게 넘어가는 셈이 된다. 현재 홍콩과 이탈리아,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IPTV 서비스를 하고 있지만 전세계적으로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참고-네이버 지식백과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5.01.19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18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