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아동양육의 목표
1. 의존에서 자기관리로
2. 무식에서 유식으로
3 .무능에서 유능으로
4. 무도덕에서 도덕으로
5. 자기 중심적에서 타인 중심적으로
II. 건강한 발달을 돕는 심리적 조건
1. 사랑과 수용
2. 구조화된 환경
3. 능력과 자신감의 격려
4. 적절한 역할모델의 제시
5. 자극적이고 반응적 환경
* 참고문헌
1. 의존에서 자기관리로
2. 무식에서 유식으로
3 .무능에서 유능으로
4. 무도덕에서 도덕으로
5. 자기 중심적에서 타인 중심적으로
II. 건강한 발달을 돕는 심리적 조건
1. 사랑과 수용
2. 구조화된 환경
3. 능력과 자신감의 격려
4. 적절한 역할모델의 제시
5. 자극적이고 반응적 환경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나 승인은 능력과 자신감을 발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항상 성공할 수는 없으므로 아동은 좌절이나 실패에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실패가 다음의 성공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도록 아동의 감정에 귀 기울이고 실패로부터 얻은 교훈을 잊지 않도록 지도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4) 적절한 역할모델의 제시
아동은 단순한 식탁 예절에서부터 위기에 대처하는 중요한 행동까지도 모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한다. 부모는 아동에게 가장 중요한 행동모델이다. 비행청소년이나 알코올 중독자가 되는 젊은이들은 적어도 부모 중 한 사람이 반사회적 행동을 하거나 알코올 중독자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부모가 바람직하지 않은 역할모델이라고 해서 모든 아동들이 문제 청소년이나 성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한족 부모의 지혜와 관심만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부모의 영향은 상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문제 있는 부모를 부정적 역할모델로 지각하고 올바르게 자랄 수 있는 아동들도 있기 때문에, 아동양육에는 많은 융통성이 개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 자극적이고 반응적 환경
영아와 어린 아동들은 보고, 듣고, 만지고, 맛보면서 끊임없이 탐색한다. 신경과 근육이 성숙되고 정신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그들의 탐색범위는 넓어지고 곧이어 이루어지는 언어의 획득은 그들의 경험세계를 확장시킨다.
아동의 강한 호기심은 부모가 제공하는 환경자극에 의해 강화될 수도 있고 약화될 수도 있다. 아동의 호기심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는 반응적 부모들은 새롭지만 지나치게 자극적이 아닌 환경을 아동에게 제공하고 그들의 질문에 귀 기울이며 기꺼이 의사소통함으로써 피드백을 제공한다. 아동이 호기심을 충족시킬 기회를 갖지 못하거나 환경 자체가 자극적이지 못할 때 그의 탐색행동은 억압되고 이후에 스스로 학습할 의욕을 보이지 않는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4) 적절한 역할모델의 제시
아동은 단순한 식탁 예절에서부터 위기에 대처하는 중요한 행동까지도 모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학습한다. 부모는 아동에게 가장 중요한 행동모델이다. 비행청소년이나 알코올 중독자가 되는 젊은이들은 적어도 부모 중 한 사람이 반사회적 행동을 하거나 알코올 중독자일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부모가 바람직하지 않은 역할모델이라고 해서 모든 아동들이 문제 청소년이나 성인이 되는 것은 아니다. 어느 한족 부모의 지혜와 관심만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부모의 영향은 상쇄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문제 있는 부모를 부정적 역할모델로 지각하고 올바르게 자랄 수 있는 아동들도 있기 때문에, 아동양육에는 많은 융통성이 개입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5) 자극적이고 반응적 환경
영아와 어린 아동들은 보고, 듣고, 만지고, 맛보면서 끊임없이 탐색한다. 신경과 근육이 성숙되고 정신능력이 발달함에 따라 그들의 탐색범위는 넓어지고 곧이어 이루어지는 언어의 획득은 그들의 경험세계를 확장시킨다.
아동의 강한 호기심은 부모가 제공하는 환경자극에 의해 강화될 수도 있고 약화될 수도 있다. 아동의 호기심에 적절하게 반응할 수 있는 반응적 부모들은 새롭지만 지나치게 자극적이 아닌 환경을 아동에게 제공하고 그들의 질문에 귀 기울이며 기꺼이 의사소통함으로써 피드백을 제공한다. 아동이 호기심을 충족시킬 기회를 갖지 못하거나 환경 자체가 자극적이지 못할 때 그의 탐색행동은 억압되고 이후에 스스로 학습할 의욕을 보이지 않는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필수미네랄(개념정의와 종류, 필요성, 인체와의 연관성, 종류별 역할과 기능 등)
사회복지관의 개념정의, 사회복지관의 기능과 역할
남북 통일비용의 개념정의
인터넷과 인터넷 비즈니스의 개념정의
수퍼비젼의 개념정의와 중요성
조선시대 노비 개념정의
영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 개념정의 및 실례
[언론의 개념정의] 언론이란 무엇인가 - 세 가지 기본적인 물음, 본질과 관련된 몇 가지 관점
문화세계화의 개념정의
행정개혁의 의의(개념정의), 행정개혁 필요성 및 복잡성
창의력의 개념정의, 창의력의 본질에 관한 학설(이론), 창의적인 사람의 특징, 창의력과 지능...
제2장 수퍼비젼의 개념정의와 중요성
[가족의 개념정의] 가족신화, 가족에 대한 신념
자아정체감이 무엇인지 개념정의를 내려보자. 그리고 정체감의 유형 중, 정체감 유예와 자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