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 지위이론 개요
2. 마르샤의 자아정체감 4가지 상태
① 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
② 조기완료(foreclosure)
③ 정체성 유예(identity moratorium)
④ 정체성 성취(identity achievement)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Ⅱ 본론
1.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 지위이론 개요
2. 마르샤의 자아정체감 4가지 상태
① 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
② 조기완료(foreclosure)
③ 정체성 유예(identity moratorium)
④ 정체성 성취(identity achievement)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들(significant others), 즉 가족 또는 또래 집단, 교사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관계 속에서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마르샤는 정체감 수준을 성취 지위(identity outcome)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정체감 성취를 위해서는 정체감 유예 상태가 꼭 필요한 단계라고 주장하였고, 유예 상태를 거치지 않은 사람은 정체감을 성취한 것 같지만, 외적 충격이 오면 쉽게 정체감 혼란에 빠진다고 보았다. 정체성 지위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 과정뿐만 아니라 정체성 형성 수준의 개인차를 함께 진단하고자 하는 개념이다.
참고문헌
김성기 외 역(2013),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김청송(2009), 청소년심리학의 이론과 쟁점, 학지사
허혜경 외(2003), 청년발달심리학, 학지사
참고문헌
김성기 외 역(2013),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김청송(2009), 청소년심리학의 이론과 쟁점, 학지사
허혜경 외(2003), 청년발달심리학, 학지사
추천자료
자녀의 자아 개념과 자아 정체감 확립을 위한 방안
제6장 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
청소년 이해 - 청소년 특성 (신체,인지,정서,사회), 교회 교육적 특성,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청소년기 자아 정체감 형성에 대한 교사로서의 역할
청소년 자아 정체감 확립에 대한 연구
[평생교육방법론]자아정체감 확립을 위한 학습 지도안 ppt
청년기의 발달 특성[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
Marcia 개인의 자아 정체감 확립 이론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외 청소년 복지등
[교육심리학] 나는 누구인가 자아 정체감
[청소년 심리학] 청소년 심리의 전반적인 이해 (청소년기의 생물학적 발달,청소년기의 인지 ...
학생들의 자아정체감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레포트
청소년 상담심리 - 청소년 문제 ( 학업 및 진로 문제, 대인관계 문제, 비행 및 일탈, 자아 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