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샤의 자아정체감 4가지 상태에 용어 및 설명에 대해 자세히 작성하시오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르샤의 자아정체감 4가지 상태에 용어 및 설명에 대해 자세히 작성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성 지위이론 개요
2. 마르샤의 자아정체감 4가지 상태
① 정체성 혼미(Identity diffusion)
② 조기완료(foreclosure)
③ 정체성 유예(identity moratorium)
④ 정체성 성취(identity achievement)
Ⅲ 결론 및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들(significant others), 즉 가족 또는 또래 집단, 교사 및 지역사회 구성원들과의 관계 속에서 영향을 받으면서 형성되는 것이라고 하였다. 마르샤는 정체감 수준을 성취 지위(identity outcome)에 따라 네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정체감 성취를 위해서는 정체감 유예 상태가 꼭 필요한 단계라고 주장하였고, 유예 상태를 거치지 않은 사람은 정체감을 성취한 것 같지만, 외적 충격이 오면 쉽게 정체감 혼란에 빠진다고 보았다. 정체성 지위는 개인의 정체성 형성 과정뿐만 아니라 정체성 형성 수준의 개인차를 함께 진단하고자 하는 개념이다.
참고문헌
김성기 외 역(2013), 미디어의 이해, 민음사
김청송(2009), 청소년심리학의 이론과 쟁점, 학지사
허혜경 외(2003), 청년발달심리학, 학지사
  • 가격2,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8.02.06
  • 저작시기201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50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