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현실의 축조
1.범주
2.은유
3.돋보이기/숨기기
4.은유의 종류
5.환유
6.이미지
7.결론
1.범주
2.은유
3.돋보이기/숨기기
4.은유의 종류
5.환유
6.이미지
7.결론
본문내용
하고, 늘 모호한 기표로 남고자 하는 특별한 기호라고 볼 수 있다. 이 방식에 의하여 이미지는 느낌에 와 닿는 저 밖의 물질계와, 느낌의 이면에 펼쳐지는 의식과 논리로 된 관념적 세계를 연결한다. 이미지는 우리의 지각이 변별의 원리에 의하여 떼어내는 것만큼의 편린으로 우리의 내부세계로 들어오며 개념으로 변신하고 관념의 세계에 쌓여간다.
7.결론
이미지, 범주, 은유, 환유는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고 그 안에서 적절히 기능하는 기본 수단이 되어왔다. 우리의 마음 또는 의식의 총체란 실상 이미지, 범주, 은유 및 환유 같은 것들의 그물조직이라고 볼 수 있다. 중요한 의문은 과연 이런 것들이 어느 정도 현실체를 대신해 주는가 하는 것이다. 이미 논의된 것처럼 이런 것들은 현실의 일부만을 표상하고 있다. 이미지는 현실의 표피를, 범주는 현실체간의 유사성을 ,은유는 문화적 체험의 유사성을, 환유는 현실과의 접촉점을 표상한다. 표상된 현실체의 모습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고, 표상되지 못한 부분은 아직도 우리 지식의 건너편에 숨어 있다. 그런데도 다행스러운 것은 이런 것이 아직 인류의 오랜 역사를 성공적으로 지탱시켜 왔고, 인류의 생존을 가능하게 해왔다는 것이다.
7.결론
이미지, 범주, 은유, 환유는 우리가 세계를 이해하고 그 안에서 적절히 기능하는 기본 수단이 되어왔다. 우리의 마음 또는 의식의 총체란 실상 이미지, 범주, 은유 및 환유 같은 것들의 그물조직이라고 볼 수 있다. 중요한 의문은 과연 이런 것들이 어느 정도 현실체를 대신해 주는가 하는 것이다. 이미 논의된 것처럼 이런 것들은 현실의 일부만을 표상하고 있다. 이미지는 현실의 표피를, 범주는 현실체간의 유사성을 ,은유는 문화적 체험의 유사성을, 환유는 현실과의 접촉점을 표상한다. 표상된 현실체의 모습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고, 표상되지 못한 부분은 아직도 우리 지식의 건너편에 숨어 있다. 그런데도 다행스러운 것은 이런 것이 아직 인류의 오랜 역사를 성공적으로 지탱시켜 왔고, 인류의 생존을 가능하게 해왔다는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