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 신화론 (담론으로서의 신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호학] 신화론 (담론으로서의 신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화론

담론으로서의 신화
이야기로서의 신화의 면모 (1신화의 내용구성, 2신화에 쓰인 메타언어)
통시적 텍스트 분석
공시적 텍스트 분석
신화적 특성

본문내용

암시한다. 또한 신화 소비자 측에서도 신화를 해석하는 특별한 동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담론에는 어떤 이데올로기적 긴장이 있다. 두 번째 특성은 역사성이다. 신화는 결코 자의적인 것이 아니라 그것의 자료를 역사에서 얻어낸다. 역사가 어떤 특정 신화의 형에 유추할 수 있는 것을 제공한다. 여기서 유추는 동기화인데, 동기화는 옛 것과 새 것 사이의 형의 닮음을 의미하고 그것이 신화가 담고자 하는 담론적 유추를 유도한다. 세 번째 특성은 상황성이다. 역사로부터 빌려온 형에 담아내고자 하는 내용은 의상(意想)이다. 신화는 역사와 시대적 상황이 교차하는 곳에서 생겨난다. 바로 거기에서 의상은 어떤 가치를 지니고 그 상황을 떠낸다. 그러나 형이 표상의 가능성에 열려 있는 것과 같이 의상도 상황이 갖는 우연성에 열려 있다. 이러한 개방적 특성은 그것의 경향성에 의해서 통일성과 일관성을 찾을 수 있는 무정형의 불안정하고 모호한 응축을 이루고 이 응축상태는 의상의 깊이를 말한다. 의상의 깊음은 넓은 펴짐성과 걸맞아서 의상은 기표의 드넓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결국 신화는 의상이 요구하는 과장 속에 정당화되는 언술이다.
신화가 취하는 형들은 다른 것이 아닌 의상에 의해서 동기화된 수단들이다. 의상은 기표의 원의미를 왜곡시킴으로써 의상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돋보이게 한다. 위인들의 약점이 평범한 사람들에게 위안과 격려가 되는 것은 약점이 있는데도 평범함을 초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범한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신화의 표의적 특성을 알아보자. 신화가 표의적 체제라는 생각은 신화가 고도로 응축된 담론을 배태한 이미지로 치환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신화가 보고자 하는 것은 최종적 총제적 어구, 하나의 일체화된 기호이다. 총체화하려는 경향성은 늘 미완성으로 남는다. 그런데도 이미지의 불완전성은 신화에 생명을 준다. 신화가 표상하는 불완전한 이미지는 맥루한의 용어를 빌리면 찬 이미지이고 그것들이 담론을 영속화한다.
일체화된 기호로서의 신화, 또는 이미지로서의 신화는 하나의 복합체이다. 바르트는 그것을 형(形) 속의 관념들이라고 표현한다. 복합체로서의 신화는 표상방식에 있어서 모호하지만 그것이 의미작용을 의식에 던지는 것은 역사와 상황의 교차점에서 발생한 특수하고 구체적인 이미지이다. 특수성과 모호성이 공존하는 신화는 차갑다. 그래서 본래적으로 찬 신화는 담론을 부르며 담론은 신화를 미래로 이끌고 나간다.
  • 가격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1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65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