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C단계에서는 clear airway와 효과적인 PPV를 위해 시행합니다. 저희가 시행할 D단계에서의 약물을 주입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준비물품으로는 laryngoscope, blade, co2 monitor, stylet, E-tube, plasta, scissor, 청진기, 멸균장갑2개, 생리식염수가 필요합니다.
리더 : 간호사4는 intubation 시행해주시고 간호사2는 intubation 보조해주세요.
간호사3 : PPV를 계속시행
간호사2 : intubation 준비하겠습니다. 먼저 아기의 머리위에 위치한 후 sniffing position을 취해줍
니다. Stylet이 E-tube의 검은 부분을 넘지 않도록 끝을 90도로 구부려 준비하며, 생리식염
수에 담가둡니다. Laryngoscope의 blade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한 후 후두경의 빛이
아기의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눈을 살짝 가려줍니다.
간호사4 : 멸균장갑을 착용한 후 Laryngoscope의 빛이 아기의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눈을 살짝 가려줍니다. Laryngoscope을 엄지손가락과 2,3,4 손가락으로 잡고 후두경의 날과 새끼손가락을 평행하게 합니다. 삽입 시 blade로 아기의 혀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민 후 안쪽으로 밀어 넣습니다. laryngoscope을 vallecula 앞까지 삽입한 후 epiglottis를 앞으로 밀면 vocal cord와 Glottis가 보이도록 하고 Glottis로 E-tube를 삽입합니다. E-tube 삽입 길이는 몸무게 + 6cm 이므로 8cm 삽입 후 stylet를 제거하였습니다.
간호사4 : (폐 청진) 청진은 폐 첨부와 기저부위에서 들어봅니다. 공기 소리가 들리는 것으로 보아 잘 들어갔습니다. plaster로 고정하겠습니다.
리더 : 간호사 1 선생님 epinephrine 준비해주세요.
간호사1 : 약물 투여를 준비하겠습니다. 약물 투여는 30초간 효과적인 보조 환기 시행 후 다시30초간 보조 환기와 심장마사지를 실시했음에도 심박동수가 60회 미만일 때 실시하게 됩니다. 아기의 몸무게를 측정한 후 epinephrine을 1:10000의 농도로 0.3cc/kg 기준하여 1cc syringe에 준비합니다. 0.9cc N/S를 재고 0.1cc epinephrine를 재어 희석한 후 아이의 체중이 2kg이므로 0.6ml를 준비하겠습니다.
간호사3 : (PPV 시행)
리더 : 간호사1는 준비한 약물 투여해주십시오.
간호사1 : 1:10000 농도로 희석한 epinephrine 0.6ml 투여했습니다.
리더 : 30초 동안 간호사 3은 PPV를 간호사 2는 chest compression을 해주십시오.
간호사2 : 하나, 둘, 셋
간호사3 : Breathe
1cycle 후
<평가 1> Evaluation → C - Block
리더 : 평가하겠습니다.
간호사1 : HR 측정하겠습니다.
간호사3 : (PPV 계속적시행)
간호사4 : Time start! STOP!
리더 : HR 몇입니까?
간호사1,2: HR 70입니다.
리더 : HR가 60회 이상이므로 C - Block 으로 가겠습니다.
1 cycle 후 (PPV, chest compression)
리더 : 평가하겠습니다.
간호사1 : HR 측정하겠습니다.
간호사3 : PPV 계속적시행
간호사4 : Time start! STOP!
리더 : HR 몇입니까?
간호사1 : HR 70입니다.
리더 : HR가 60회 이상이므로 B - Block 으로 가겠습니다. 간호사3은 PPV 40회유지해주세요.
간호사3 : 숨셔라~ 숨셔라~
<평가 2> Evaluation → post resuscitation care
리더 : 평가하겠습니다.
간호사1 : HR 측정하겠습니다.
간호사3 : PPV 계속적 시행
간호사4 : Time start! STOP!
리더 : HR 몇입니까?
간호사1 : HR 110입니다.
리더 : HR 110회로 소생하였습니다. color는 pinkish하고 effective ventilation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post resuscitation care 시행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모든 상황 기록)
Post resuscitation care
리더 : 아기의 상태 관찰을 위해 NICU에서 close monitoring 실시하면서 혈압, 체온, 혈당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혈압유지를 위해 수액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적절한 수유와 영양공급을 실시합니다.
그리고 소생술 후 건강해 보이더라도 소생술을 받게 되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상태이므로, 다기관부전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경련, 무호흡을 예방하기위한 치료의 시행 등 정상 신생아에게 적용되는 처치와는 다른 처치를 적용하게 됩니다.
부모 교육
리더 : 안녕하세요. 산모님, 현재 아이의 상태는 많이 좋아졌습니다. 출산 후에 아기의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여 따뜻하게 체온을 유지시키고 호흡기 분비물을 제거하고 자극을 주어도 반응이 없어서 산소를 공급하였습니다. 또한 아기의 심장도 잘 뛰지 않아 저희가 심폐소생술과 약물 투여를 실시하였습니다. 지금 아기는 인공호흡기를 통해 정상적으로 호흡을 하고 있습니다. 호흡을 위해 삽입된 관은 아기스스로 호흡이 잘 유지되게 되면 제거할 예정이오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에게 좀 더 집중적인 처치와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신생아 중환자실에 있어야 합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혈압, 혈당, 체온의 유지와 아기가 아까의 상황을 겪으면서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에 경련이 일어날 수 있어서 이에 대한 경련과 무호흡이 나타나지 않도록 예방적 치료를 하게 될 것입니다.
정리가 끝나는 대로 보호자 분 면회를 할 수 있게 하겠습니다. 면회 시 아기의 얼굴도 보고 가서 힘내라고 응원해주십시오. 아기가 산모님의 응원과 따뜻한 눈빛이 안정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모유수유를 원하신다면 모유를 유축 하셔서 저희에게 전달해주시면 저희가 아기에게 주겠습니다.
이러한 응급상황이 다시 발생할 경우 즉시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주저마시고 말씀해주십시오.
보호자 : 감사합니다.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준비물품으로는 laryngoscope, blade, co2 monitor, stylet, E-tube, plasta, scissor, 청진기, 멸균장갑2개, 생리식염수가 필요합니다.
리더 : 간호사4는 intubation 시행해주시고 간호사2는 intubation 보조해주세요.
간호사3 : PPV를 계속시행
간호사2 : intubation 준비하겠습니다. 먼저 아기의 머리위에 위치한 후 sniffing position을 취해줍
니다. Stylet이 E-tube의 검은 부분을 넘지 않도록 끝을 90도로 구부려 준비하며, 생리식염
수에 담가둡니다. Laryngoscope의 blade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한 후 후두경의 빛이
아기의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눈을 살짝 가려줍니다.
간호사4 : 멸균장갑을 착용한 후 Laryngoscope의 빛이 아기의 눈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눈을 살짝 가려줍니다. Laryngoscope을 엄지손가락과 2,3,4 손가락으로 잡고 후두경의 날과 새끼손가락을 평행하게 합니다. 삽입 시 blade로 아기의 혀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민 후 안쪽으로 밀어 넣습니다. laryngoscope을 vallecula 앞까지 삽입한 후 epiglottis를 앞으로 밀면 vocal cord와 Glottis가 보이도록 하고 Glottis로 E-tube를 삽입합니다. E-tube 삽입 길이는 몸무게 + 6cm 이므로 8cm 삽입 후 stylet를 제거하였습니다.
간호사4 : (폐 청진) 청진은 폐 첨부와 기저부위에서 들어봅니다. 공기 소리가 들리는 것으로 보아 잘 들어갔습니다. plaster로 고정하겠습니다.
리더 : 간호사 1 선생님 epinephrine 준비해주세요.
간호사1 : 약물 투여를 준비하겠습니다. 약물 투여는 30초간 효과적인 보조 환기 시행 후 다시30초간 보조 환기와 심장마사지를 실시했음에도 심박동수가 60회 미만일 때 실시하게 됩니다. 아기의 몸무게를 측정한 후 epinephrine을 1:10000의 농도로 0.3cc/kg 기준하여 1cc syringe에 준비합니다. 0.9cc N/S를 재고 0.1cc epinephrine를 재어 희석한 후 아이의 체중이 2kg이므로 0.6ml를 준비하겠습니다.
간호사3 : (PPV 시행)
리더 : 간호사1는 준비한 약물 투여해주십시오.
간호사1 : 1:10000 농도로 희석한 epinephrine 0.6ml 투여했습니다.
리더 : 30초 동안 간호사 3은 PPV를 간호사 2는 chest compression을 해주십시오.
간호사2 : 하나, 둘, 셋
간호사3 : Breathe
1cycle 후
<평가 1> Evaluation → C - Block
리더 : 평가하겠습니다.
간호사1 : HR 측정하겠습니다.
간호사3 : (PPV 계속적시행)
간호사4 : Time start! STOP!
리더 : HR 몇입니까?
간호사1,2: HR 70입니다.
리더 : HR가 60회 이상이므로 C - Block 으로 가겠습니다.
1 cycle 후 (PPV, chest compression)
리더 : 평가하겠습니다.
간호사1 : HR 측정하겠습니다.
간호사3 : PPV 계속적시행
간호사4 : Time start! STOP!
리더 : HR 몇입니까?
간호사1 : HR 70입니다.
리더 : HR가 60회 이상이므로 B - Block 으로 가겠습니다. 간호사3은 PPV 40회유지해주세요.
간호사3 : 숨셔라~ 숨셔라~
<평가 2> Evaluation → post resuscitation care
리더 : 평가하겠습니다.
간호사1 : HR 측정하겠습니다.
간호사3 : PPV 계속적 시행
간호사4 : Time start! STOP!
리더 : HR 몇입니까?
간호사1 : HR 110입니다.
리더 : HR 110회로 소생하였습니다. color는 pinkish하고 effective ventilation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post resuscitation care 시행하겠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모든 상황 기록)
Post resuscitation care
리더 : 아기의 상태 관찰을 위해 NICU에서 close monitoring 실시하면서 혈압, 체온, 혈당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혈압유지를 위해 수액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적절한 수유와 영양공급을 실시합니다.
그리고 소생술 후 건강해 보이더라도 소생술을 받게 되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상태이므로, 다기관부전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경련, 무호흡을 예방하기위한 치료의 시행 등 정상 신생아에게 적용되는 처치와는 다른 처치를 적용하게 됩니다.
부모 교육
리더 : 안녕하세요. 산모님, 현재 아이의 상태는 많이 좋아졌습니다. 출산 후에 아기의 호흡이 원활하지 못하여 따뜻하게 체온을 유지시키고 호흡기 분비물을 제거하고 자극을 주어도 반응이 없어서 산소를 공급하였습니다. 또한 아기의 심장도 잘 뛰지 않아 저희가 심폐소생술과 약물 투여를 실시하였습니다. 지금 아기는 인공호흡기를 통해 정상적으로 호흡을 하고 있습니다. 호흡을 위해 삽입된 관은 아기스스로 호흡이 잘 유지되게 되면 제거할 예정이오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이에게 좀 더 집중적인 처치와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신생아 중환자실에 있어야 합니다.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혈압, 혈당, 체온의 유지와 아기가 아까의 상황을 겪으면서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에 경련이 일어날 수 있어서 이에 대한 경련과 무호흡이 나타나지 않도록 예방적 치료를 하게 될 것입니다.
정리가 끝나는 대로 보호자 분 면회를 할 수 있게 하겠습니다. 면회 시 아기의 얼굴도 보고 가서 힘내라고 응원해주십시오. 아기가 산모님의 응원과 따뜻한 눈빛이 안정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모유수유를 원하신다면 모유를 유축 하셔서 저희에게 전달해주시면 저희가 아기에게 주겠습니다.
이러한 응급상황이 다시 발생할 경우 즉시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주저마시고 말씀해주십시오.
보호자 : 감사합니다.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제세동, 응급약물
성인간호학) 문맥성고혈압&식도정맥류출혈
성인간호학) 배뇨장애 대상자의_간호(요정체, 요실금, 신경성 방광, 요역류, 수신증)
성인간호학) 혈액계의 구조와 기능 A++
성인간호학) 직장 항문 질환
성인간호학) 협심증 문헌고찰, 사전학습, 레포트
정신건강간호학) 정신건강증진, 위기중재 A+
정신건강간호학) 정신재활과 간호 A+
성인간호학) 식도열공탈장과 이완불능증
정신건강간호학) 지역사회 정신간호 A+
성인간호학) 산소독성
성인간호학) 인공심박동기 A+
정신건강간호학) 생물학적 치료 A+(약물의 정의, 역사, 의의, 종류)
성인간호학 중증근무력증 myasthenia gravis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