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Ⅱ. 본 론
Ⅲ. 결 론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으며, 두개의 겸자를 준비해 두면 두개의 튜브를 안전하게 잠글 수 있어서 좋음
-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잘 보이는 곳에 놔두고 대상자가 침대에 있을 때는 머리 맡 침요에 매달아 두고 대상자가 걸어 다닐 때는 환의에 매달아 둠
사고발생시 응급 처치
병이 깨지거나 연결관이 밀봉흉곽배액장치에서 빠질 경우 대기의 공기는 흉막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겸자로 빨리 가슴관을 잠가 기흉을 방지함
기침과 심호흡 및 운동
심호흡과 기침을 주기적으로 하도록 하여 허파를 팽창시킴
팔의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격려
활동을 할 때에는 밀봉흉곽배액 장치를 휴대걸이에 넣고 걷도록 함
가슴관의 제거
- 밀봉흉곽배액 장치의 물의 움직임이 없으면서 흉부촬영 결과 허파가 완전히 재팽창되었을 때 제거하며 보통 수술 후 2~3일 경과된 시점에서 제거됨
- 제거하기 30분전에 통증예방을 위해 처방에 따른 투약을 할 수 있음
- 제거부위에 붙일 4*4 인치의 멸균거즈를 준비하고 가슴관 개구부를 덮을 수 있을 크기의 바셀린거즈를 준비함
-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하고 숨을 참도록 하면서 튜브를 제거함
- 튜브를 뽑은 후에는 바셀린 거즈로 덮어 드레싱 한 후 넓은 테이프로 붙여 흉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함
Ⅲ. 결 론
당신은 신민서(M/5) 환아에게 Chest tube 삽입을 통한 밀봉흉곽배액을 실시하기 위해 밀봉흉곽배액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밀봉흉곽배액은 허파의 재확장을 위해 가슴관을 연결하여 흉곽안의 액체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흉, 혈흉 등과 같은 응급상황의 경우나 흉곽수술 후에 적응할 수 있다. 배액관은 배액병, 밀봉병, 흡인 조절병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액병은 흉막강내에 있는 공기와 혈액을 배액하고 밀봉병은 배액병과 연결되어 환자 몸속의 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흡인 압력 조절병은 대기와 환자의 흉곽 내 압력을 음압으로 유지시켜준다.
밀봉흉곽배액을 하는 환자에게 흉곽배액기구의 위치를 흉곽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 시에는 환의에 매달고 다닐 수 있도록 교육한다. 배액기구는 새는 곳이 없도록 밀폐를 유지하고 Chest tube가 꼬이지 않도록 개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제거 시에는 30분 전에 통증 예방을 위한 처방을 시행할 수 있으며 튜브를 제거한 이후 바셀린 거즈로 덮어 드레싱하여 흉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Ⅳ. 참고 문헌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 상, 수문사, p.645 ~ 648
-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잘 보이는 곳에 놔두고 대상자가 침대에 있을 때는 머리 맡 침요에 매달아 두고 대상자가 걸어 다닐 때는 환의에 매달아 둠
사고발생시 응급 처치
병이 깨지거나 연결관이 밀봉흉곽배액장치에서 빠질 경우 대기의 공기는 흉막 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겸자로 빨리 가슴관을 잠가 기흉을 방지함
기침과 심호흡 및 운동
심호흡과 기침을 주기적으로 하도록 하여 허파를 팽창시킴
팔의 관절가동범위 운동을 격려
활동을 할 때에는 밀봉흉곽배액 장치를 휴대걸이에 넣고 걷도록 함
가슴관의 제거
- 밀봉흉곽배액 장치의 물의 움직임이 없으면서 흉부촬영 결과 허파가 완전히 재팽창되었을 때 제거하며 보통 수술 후 2~3일 경과된 시점에서 제거됨
- 제거하기 30분전에 통증예방을 위해 처방에 따른 투약을 할 수 있음
- 제거부위에 붙일 4*4 인치의 멸균거즈를 준비하고 가슴관 개구부를 덮을 수 있을 크기의 바셀린거즈를 준비함
- 환자에게 심호흡을 하도록 하고 숨을 참도록 하면서 튜브를 제거함
- 튜브를 뽑은 후에는 바셀린 거즈로 덮어 드레싱 한 후 넓은 테이프로 붙여 흉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게 함
Ⅲ. 결 론
당신은 신민서(M/5) 환아에게 Chest tube 삽입을 통한 밀봉흉곽배액을 실시하기 위해 밀봉흉곽배액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밀봉흉곽배액은 허파의 재확장을 위해 가슴관을 연결하여 흉곽안의 액체나 공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기흉, 혈흉 등과 같은 응급상황의 경우나 흉곽수술 후에 적응할 수 있다. 배액관은 배액병, 밀봉병, 흡인 조절병 세 가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배액병은 흉막강내에 있는 공기와 혈액을 배액하고 밀봉병은 배액병과 연결되어 환자 몸속의 공기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흡인 압력 조절병은 대기와 환자의 흉곽 내 압력을 음압으로 유지시켜준다.
밀봉흉곽배액을 하는 환자에게 흉곽배액기구의 위치를 흉곽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이동 시에는 환의에 매달고 다닐 수 있도록 교육한다. 배액기구는 새는 곳이 없도록 밀폐를 유지하고 Chest tube가 꼬이지 않도록 개방성을 유지하여야 한다. 제거 시에는 30분 전에 통증 예방을 위한 처방을 시행할 수 있으며 튜브를 제거한 이후 바셀린 거즈로 덮어 드레싱하여 흉막강 내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Ⅳ. 참고 문헌
김금순 외 2012, 성인간호학 상, 수문사, p.645 ~ 648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