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흉(pneumothorax)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tax)
증상
진단 및 치료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증상
치료
의료성 기흉
개방성 기흉(open pneumothorax)
치료
혈흉(hemothorax)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흉곽외상
원인과 타입
사정
간호
흉곽배액법
흉곽배액의 목적
튜브삽입법
흉곽배액에 영향을 주는 요소
밀봉배액기구의 타입
1. 병하나로 된 밀봉배액기구(one-bottle water seal Apparatus)
2. 병두개로 된 밀봉배액(two-battle water-seal drainage)
3. 병2개의 밀봉배액에 흡인기를 연결할 때
4. 병 3개로 된 밀봉배액과 흡인기 사용
관제거
자연기흉(spontaneous pneumothotax)
증상
진단 및 치료
긴장성 기흉(tension pneumothorax)
증상
치료
의료성 기흉
개방성 기흉(open pneumothorax)
치료
혈흉(hemothorax)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
흉곽외상
원인과 타입
사정
간호
흉곽배액법
흉곽배액의 목적
튜브삽입법
흉곽배액에 영향을 주는 요소
밀봉배액기구의 타입
1. 병하나로 된 밀봉배액기구(one-bottle water seal Apparatus)
2. 병두개로 된 밀봉배액(two-battle water-seal drainage)
3. 병2개의 밀봉배액에 흡인기를 연결할 때
4. 병 3개로 된 밀봉배액과 흡인기 사용
관제거
본문내용
면 즉시 튜브를 잠가야 한다. 그후 병이 준비되면 튜브의 끝을 소독수로 닦은후 연결시킨다.
배액의 측정과 관찰
배액병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배액이 늘어남에 따라 긴튜브를 조금씩 빼내에 물밑에 잠기는 튜브의 길이는 항상2~5cm를 유지하게 해준다.
배액의 양을 측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혈액의 소실양과 그속도를 알 수 있다.
시간마다 나온 배액의 높이를 눈금을 그어 표시하고 그 시간을 옆에 쓰거나 혹은 테이프에 일정량을 미리 표시해 두고 그 표시에 도달한 시간을 옆에 기록하기도 한다.
처음 24시간 동안 500~1000ml 이 배액되기도 하는데 보통은 처음 2시간동안에 100~300ml 이 고인다.
2. 병두개로 된 밀봉배액(two-battle water-seal drainage)
2병으로 된 밀봉배액기구는 병하나는 모으는 병이고 다른 하나는 밀봉병이다.
빈 배액병에는 배액의 양과 속도를 기록하기위해 테이프를 붙이고 꼭 맞는 고무마개에 2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서 짧은 튜브가 꽂혀있다. 각 튜브는 병안으로 약 3cm 가량 길이가 된다. 한구멍은 환자로부터 나오는 배액 튜브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밀봉병의 물에 잠겨진 튜브와 연결한다.
이것은 환자로부터 나오는 배액의 양과 특성을 관찰하기가 매우 쉽고 기구안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쉬우므로 늑막강에서 공기가 체액을 제거하는 것이 쉽다.
3. 병2개의 밀봉배액에 흡인기를 연결할 때
운동과 중력을 이용한 배액이 폐의 재팽창을 충분하게 시키지 못하거나 늑막강의 내용물을
배출시키지 못할 때 흡인기가 필요하다.환자가 너무 약해서 늑막강에서 공기과 체액을 제거
하기 위한 기침이나 호흡을 충분히 하지못할 때 계속해서 흡인을 해줘야 하고 또한 농흉치
료시에도 사용하며 배액병이 미쳐 빼낼수 없을 만큼 빠르게 공기의 유출이 있을 때 사용
병하나는 밀봉배액병이며 다른 하나는 흡인 조절병이다. 밀봉배액병의 긴튜브는 환자의 흉곽튜브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물속에 잠긴다. 다른 짧은 튜브는 흡인 조절병의 한구멍에 연결되고 흡인조절병의 다른한 구멍은 흡인기에 연결시킨다. Suction 모타는 계속해서 제도내에 있는 공기를 제거하기 때문에(늑막강내에 공기도 함께) 밀봉흉곽배액기구에 음압을 조성하고 유지시킨다.
4. 병 3개로 된 밀봉배액과 흡인기 사용
공기누출이 많을 때 적용되고 늑막강내에서 공기나 수분이 제거된후 음압이 형성된다.
첫 번째병은 대상자와 연결되어 있고 두 번째 병은 배액병에 연결된 밀봉병이며 세 번째병은 흡인조절병이다. 흡인함으로써 대상자의 흉곽내 압력 과다를 조절해 준다. 세 번째병은 물의 압력으로 음압이 형성되어 늑막강내로 전달된다. 흡인시에 정상수압을 초과하면 공기가 병속에 들어가 흡인기를 통해 나오므로 음압이 유지된다. 흡인을 지속적으로 하면 흡인조절병에 기포가 생겨서 용액의 증발이 촉진되고 대상자를 성가시게 한다.
관제거
흉곽 X-선 촬영은 폐의 재팽창 정도돠 무기폐, 감염 및 종격동 변이를 확인하기 위해 매일 실시한다. 폐가 완전히 팽창되고 흉곽내 공기와 액체가 없으면 배액기를 중지한다. 자연기흉을 가진 대상자에서 병에 장액혈액상이 맑게 나타나면 제거해도 된다. 분홍색 분비물은 폐의 재팽창을 의미한다.
대상자에게 호기를 하게 하여 관을 뺀다. 제거함으로써 양압이 형성되어 흉곽내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여 축적된 액체가 제거된다. 그부위에 바세린이나 윤활제 거어즈를 덮고 반창고로 안전하게 고정시킨다. 관을 제거한후 공기누출과 호흡장애의 증상을 자주 관찰해야 한다. 기침으로 인한 긴장시 배농관을 통해 액체가 나오는데 그것은 검은 장액성으로 횡경막에서 나온 것이다. 수술후 48시간이 지나면 보통 배농관이 제거된다.
배액의 측정과 관찰
배액병의 압력을 줄이기 위해서는 배액이 늘어남에 따라 긴튜브를 조금씩 빼내에 물밑에 잠기는 튜브의 길이는 항상2~5cm를 유지하게 해준다.
배액의 양을 측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혈액의 소실양과 그속도를 알 수 있다.
시간마다 나온 배액의 높이를 눈금을 그어 표시하고 그 시간을 옆에 쓰거나 혹은 테이프에 일정량을 미리 표시해 두고 그 표시에 도달한 시간을 옆에 기록하기도 한다.
처음 24시간 동안 500~1000ml 이 배액되기도 하는데 보통은 처음 2시간동안에 100~300ml 이 고인다.
2. 병두개로 된 밀봉배액(two-battle water-seal drainage)
2병으로 된 밀봉배액기구는 병하나는 모으는 병이고 다른 하나는 밀봉병이다.
빈 배액병에는 배액의 양과 속도를 기록하기위해 테이프를 붙이고 꼭 맞는 고무마개에 2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서 짧은 튜브가 꽂혀있다. 각 튜브는 병안으로 약 3cm 가량 길이가 된다. 한구멍은 환자로부터 나오는 배액 튜브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밀봉병의 물에 잠겨진 튜브와 연결한다.
이것은 환자로부터 나오는 배액의 양과 특성을 관찰하기가 매우 쉽고 기구안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이 쉬우므로 늑막강에서 공기가 체액을 제거하는 것이 쉽다.
3. 병2개의 밀봉배액에 흡인기를 연결할 때
운동과 중력을 이용한 배액이 폐의 재팽창을 충분하게 시키지 못하거나 늑막강의 내용물을
배출시키지 못할 때 흡인기가 필요하다.환자가 너무 약해서 늑막강에서 공기과 체액을 제거
하기 위한 기침이나 호흡을 충분히 하지못할 때 계속해서 흡인을 해줘야 하고 또한 농흉치
료시에도 사용하며 배액병이 미쳐 빼낼수 없을 만큼 빠르게 공기의 유출이 있을 때 사용
병하나는 밀봉배액병이며 다른 하나는 흡인 조절병이다. 밀봉배액병의 긴튜브는 환자의 흉곽튜브와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끝은 물속에 잠긴다. 다른 짧은 튜브는 흡인 조절병의 한구멍에 연결되고 흡인조절병의 다른한 구멍은 흡인기에 연결시킨다. Suction 모타는 계속해서 제도내에 있는 공기를 제거하기 때문에(늑막강내에 공기도 함께) 밀봉흉곽배액기구에 음압을 조성하고 유지시킨다.
4. 병 3개로 된 밀봉배액과 흡인기 사용
공기누출이 많을 때 적용되고 늑막강내에서 공기나 수분이 제거된후 음압이 형성된다.
첫 번째병은 대상자와 연결되어 있고 두 번째 병은 배액병에 연결된 밀봉병이며 세 번째병은 흡인조절병이다. 흡인함으로써 대상자의 흉곽내 압력 과다를 조절해 준다. 세 번째병은 물의 압력으로 음압이 형성되어 늑막강내로 전달된다. 흡인시에 정상수압을 초과하면 공기가 병속에 들어가 흡인기를 통해 나오므로 음압이 유지된다. 흡인을 지속적으로 하면 흡인조절병에 기포가 생겨서 용액의 증발이 촉진되고 대상자를 성가시게 한다.
관제거
흉곽 X-선 촬영은 폐의 재팽창 정도돠 무기폐, 감염 및 종격동 변이를 확인하기 위해 매일 실시한다. 폐가 완전히 팽창되고 흉곽내 공기와 액체가 없으면 배액기를 중지한다. 자연기흉을 가진 대상자에서 병에 장액혈액상이 맑게 나타나면 제거해도 된다. 분홍색 분비물은 폐의 재팽창을 의미한다.
대상자에게 호기를 하게 하여 관을 뺀다. 제거함으로써 양압이 형성되어 흉곽내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여 축적된 액체가 제거된다. 그부위에 바세린이나 윤활제 거어즈를 덮고 반창고로 안전하게 고정시킨다. 관을 제거한후 공기누출과 호흡장애의 증상을 자주 관찰해야 한다. 기침으로 인한 긴장시 배농관을 통해 액체가 나오는데 그것은 검은 장액성으로 횡경막에서 나온 것이다. 수술후 48시간이 지나면 보통 배농관이 제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