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약물요법
1) 비마약성 진통제(Non-opioid analgesics)
2) 마약성 진통제(Opioid analgesics)
3) 보조 진통제(Adjuvant analgesics)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약물요법
1) 비마약성 진통제(Non-opioid analgesics)
2) 마약성 진통제(Opioid analgesics)
3) 보조 진통제(Adjuvant analgesics)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작용이 적어 매일 3,600mg까지 증량 가능함.
(2) 삼환계 항우울제
Serotonin의 수준을 높여 내인성아편제 내인성 아편제: 뇌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며, 아편처럼 무통각증을 야기함.
의 활동을 자극함.
가장 큰 장점 : 진정효과
Amitriptyline(Elavil), nortriptyline(Pamelor), imipramine(Tofranil)
: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조절에 도움이 됨.
Trazodone(Dysyrel), paroxetine(Paxil), sertraline(Zoloft)
: 만성 통증에 동반될 수 있는 우울증에 도움을 줌.
금기: 경련이나 심장질환 대상자
(3) 항불안제
경우에 따라 대상자 이완,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줌.
but 혼돈, 졸음, 저혈압 초래
종류: alprazolam(Xanax), clorazepate(Tranxene), lorazepam(Ativan), oxazepam(Serax) 등
- clonazepam(Klonopin) : 불안 감소와 신경손상으로 인한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됨.
(4) 국소마취제
계속되는 통증에 유용함.
but 금기: 심장전도장애, 부정맥, 항부정맥제 복용 대상자
Mexiletine(Mexitil): 말초신경과 중추신경계 뉴런의 전기적인 활동 억제, 통증 완화
(5) 도포
국소화 된 신경병증성 통증에 유용
lidoderm 패치: 헤르페스 감염 후 신경통 조절
- 전신적으로 흡수되지 않으며, 3개까지 한 번에 붙일 수 있고 통증 부위 차단함.
- 12시간 동안 붙이고 있다가 12시간 동안 떼어 놓음.
EMLA, ELA-Max 크림: 도포형 lidocaine과 prilocaine이 혼합된 크림
- 손상되지 않은 피부에서 45분간 유지되며 피부 반응 부작용은 드묾.
국소적, 속효성인 젤과 크림: 근육통과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요법을 할 때 사용됨.
Bio-Freeze(젤) : 물리치료 후에 그 부위를 식히기 위해 사용함.
Ⅲ. 결론
우리는 HIVD 진단을 받고 수술을 위해 입원한 배영호님(M/56)이 pain을 호소함에 따라 통증 관리를 위하여 그 중 통증의 약물적 관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증조절을 위한 약물은 비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보조 진통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약물들은 통증조절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약에 따라 정확한 투여방법과 정확한 용량을 지켜서 복용해야만 부작용을 줄이고 통증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통증완화를 위한 1차적인 치료제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acetylsalicylic acid(Aspirin), acetaminophen(Tylenol)이 가장 흔하다. acetaminophen은 위장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궤양이 있는 대상자들이 선호하지만 장기간 사용 시 간 독성과 신장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는 최고의 비마약성 진통제이면서 강력한 항염증제제로, 여러 가지 통증완화에 효과적이나 항염증 작용이 강력한 만큼 그로 인해 감염의 징후가 가려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환자의 상태 관찰 필요하다.
마약성 진통제는 가장 강력한 진통제로서 천장효과가 없기 때문에 용량이 증가할수록 진통효과가 증가한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변비, 오심, 구토, 요 정체, 가려움증, 진정, 호흡억제 등이 유발될 수 있고, 경구투여가 가장 선호되지만 만성통증완화를 위해 영구적인 경막 외 카테터를 삽입하고 약물을 간헐적 또는 계속적으로 주입하기도 하는데 이때 약물을 주입하거나 튜브를 교환하는 등의 처치 시에 감염의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보조 진통제는 만성통증이나 복합적인 통증 증후군 시 단독으로 복용하거나 진통제와 혼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통증 완화뿐만 아니라 불안, 우울, 오심, 불면증을 조절하는 효과도 있어 만성 통증에 동반될 수 있는 우울증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보조 진통제 중 계속되는 통증에 유용하여 사용되는 국소마취제제는 말초신경과 중추신경계 뉴런의 전기적인 활동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심장전도장애, 부정맥, 항부정맥제 복용 대상자는 복용을 금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김수경 외(2012).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서울, pp. 598~599
2.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 1, 정담미디어: 서울, pp.404~417
3. 유해영 외(2011).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서울, pp 127~137
(2) 삼환계 항우울제
Serotonin의 수준을 높여 내인성아편제 내인성 아편제: 뇌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며, 아편처럼 무통각증을 야기함.
의 활동을 자극함.
가장 큰 장점 : 진정효과
Amitriptyline(Elavil), nortriptyline(Pamelor), imipramine(Tofranil)
: 만성 신경병증성 통증조절에 도움이 됨.
Trazodone(Dysyrel), paroxetine(Paxil), sertraline(Zoloft)
: 만성 통증에 동반될 수 있는 우울증에 도움을 줌.
금기: 경련이나 심장질환 대상자
(3) 항불안제
경우에 따라 대상자 이완, 통증 완화에 도움을 줌.
but 혼돈, 졸음, 저혈압 초래
종류: alprazolam(Xanax), clorazepate(Tranxene), lorazepam(Ativan), oxazepam(Serax) 등
- clonazepam(Klonopin) : 불안 감소와 신경손상으로 인한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됨.
(4) 국소마취제
계속되는 통증에 유용함.
but 금기: 심장전도장애, 부정맥, 항부정맥제 복용 대상자
Mexiletine(Mexitil): 말초신경과 중추신경계 뉴런의 전기적인 활동 억제, 통증 완화
(5) 도포
국소화 된 신경병증성 통증에 유용
lidoderm 패치: 헤르페스 감염 후 신경통 조절
- 전신적으로 흡수되지 않으며, 3개까지 한 번에 붙일 수 있고 통증 부위 차단함.
- 12시간 동안 붙이고 있다가 12시간 동안 떼어 놓음.
EMLA, ELA-Max 크림: 도포형 lidocaine과 prilocaine이 혼합된 크림
- 손상되지 않은 피부에서 45분간 유지되며 피부 반응 부작용은 드묾.
국소적, 속효성인 젤과 크림: 근육통과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해 냉요법을 할 때 사용됨.
Bio-Freeze(젤) : 물리치료 후에 그 부위를 식히기 위해 사용함.
Ⅲ. 결론
우리는 HIVD 진단을 받고 수술을 위해 입원한 배영호님(M/56)이 pain을 호소함에 따라 통증 관리를 위하여 그 중 통증의 약물적 관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증조절을 위한 약물은 비마약성 진통제, 마약성 진통제, 보조 진통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 약물들은 통증조절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약에 따라 정확한 투여방법과 정확한 용량을 지켜서 복용해야만 부작용을 줄이고 통증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통증완화를 위한 1차적인 치료제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acetylsalicylic acid(Aspirin), acetaminophen(Tylenol)이 가장 흔하다. acetaminophen은 위장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궤양이 있는 대상자들이 선호하지만 장기간 사용 시 간 독성과 신장 독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제(NSAIDs)는 최고의 비마약성 진통제이면서 강력한 항염증제제로, 여러 가지 통증완화에 효과적이나 항염증 작용이 강력한 만큼 그로 인해 감염의 징후가 가려질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환자의 상태 관찰 필요하다.
마약성 진통제는 가장 강력한 진통제로서 천장효과가 없기 때문에 용량이 증가할수록 진통효과가 증가한다. 그러나 부작용으로 변비, 오심, 구토, 요 정체, 가려움증, 진정, 호흡억제 등이 유발될 수 있고, 경구투여가 가장 선호되지만 만성통증완화를 위해 영구적인 경막 외 카테터를 삽입하고 약물을 간헐적 또는 계속적으로 주입하기도 하는데 이때 약물을 주입하거나 튜브를 교환하는 등의 처치 시에 감염의 위험이 있어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보조 진통제는 만성통증이나 복합적인 통증 증후군 시 단독으로 복용하거나 진통제와 혼용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고, 통증 완화뿐만 아니라 불안, 우울, 오심, 불면증을 조절하는 효과도 있어 만성 통증에 동반될 수 있는 우울증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보조 진통제 중 계속되는 통증에 유용하여 사용되는 국소마취제제는 말초신경과 중추신경계 뉴런의 전기적인 활동을 억제하여 통증을 완화시키기 때문에 심장전도장애, 부정맥, 항부정맥제 복용 대상자는 복용을 금해야 한다.
Ⅳ. 참고문헌
1. 김수경 외(2012). 알기 쉬운 임상약리학, 정담미디어: 서울, pp. 598~599
2. 이영휘 외(2011). 성인간호학 1, 정담미디어: 서울, pp.404~417
3. 유해영 외(2011). 성인간호학(상), 현문사: 서울, pp 127~137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간호학 휴식과 수면장애에 대한 번역
노인간호학 19장 rest, 20장 comfort 번역 요약정리
아동의 통증사정과 중재방법
통증 문헌고찰
아동의 통증
[간호][통증간호][C-sec간호][피부계장애간호][회음부간호][뇌수술간호][자궁절제술 간호][환...
[성인간호학]수술실 갑상선 절제술(외과적무균술,소독관리,멸균 및 소독물품 다루는 법,마취...
[간호학]투약 안전관리
[간호학]전염병 관리
{2017년 성인간호학 암환자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해 관찰과 신체계측법을 활용하고자한다.관...
[간호학] 자간증 (eclampsia)
고위험모아간호학] 아동간호시 고려해야할 윤리적인 문제들과 해결방안 통제감상실 아동의 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