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ronic pancreatitis 만성췌장염 case study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hronic pancreatitis 만성췌장염 case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간호사정 ………………………………………… 3
Ⅱ 임상 & 특수 검사 ………………………………10
Ⅲ 투 약 …………………………………………… 11
Ⅳ 진단 보고서 …………………………………… 12
Ⅴ 중재 보고서 …………………………………… 13
Ⅵ 문헌 고찰 ……………………………………… 14
< 췌장의 구조와 기능 >
< 만성 췌장염 Chronic pancreatitis >
Ⅶ 참고문헌 ……………………………………… 17

본문내용

췌장효소가 적절한 양으로 분비되도록 조절하지만 분비물 속에 전해질
성분이 적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십이지장으로 유입되는 효소의 양은 아주 적음
(2) 위상(gastric phase)
① 위에서 생성되는 많은 양의 효소의 분비를 자극함
② 분비된 효소는 수분이 거의 없기 때문에 샘내에 머물러 있게 됨
(3) 장상(intestinal phase)
① 유미즙이 장내로 들어와 췌장액의 분비를 자극함
② 췌장액에 수분의 양을 급격히 증가시킴
③ 콜레시스토키닌은 샘세포가 많은 양의 췌장효소를 분비하도록 자극함
④ 세크레틴은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의 양을 많게하여 위에서 나온 내용물을 중화시키고 모든 소화활동을 멈추게 함

- 췌장의 점진적인 변성을 초래함
1. 원인
① 만성 알코올 중독
② 단백질 영양 결핍
2. 병태생리
① 알코올 남용 시 췌장액 성분 : 중탄산염 감소, 단백질 증가, 트립신 활성 억제물질의
감소
② 통증은 지속적이고 심와부에서 느껴짐
③ 음주나 과식으로 통증이 심해지면 마약계 진통제를 자주 사용하게 되어 진통제 습관성 이 생기게 됨
④ 췌장의 외분비선 파괴 : 소화장애, 단백질과 지방의 흡수장애 -> 지방변, 메스꺼움, 구 토 발생함
⑤ 만성염증 으로 인해 단백질의 과다분비, 침전 -> 단백질마개(protein plug)를 형성함
⑥ 췌장세포의 섬유조직 대체 -> 췌관, 총담관, 십이지장 팽대부가 폐쇠 -> 통증 유발
⑦ 만성 섬유화 췌장염 : 회백색의 섬유조직 증가, 석회화된 결석 생성 가능
⑧ 만성 폐색성 췌장염 : 담도 결석증과 동반된 oddi 괄약근의 협착으로 인해 발생, 단백 질 플러그 보이지 않음
3. 증상과 징후
① 무딘 통증과 격심한 통증, 구토와 발열 및 황달이 교대로 나타남
② 통증 완화 자세 : 무릎을 꿇고 베개로 복부를 누르며 침대에 앉음
③ 통증 악화 : 똑바로 누움
④ 음식섭취 감소로 인해 체중이 감소함
⑤ 소화 효소의 분비 감소로 인해 영양실조를 유발하여 체중이 감소함
⑥ 링거한스섬 조직의 손상으로 당대사 장애가 생겨 고혈당 상태가 초래됨
⑦ 소화 효소 감소로 복부팽만, 복부경련, 냄새가 좋지않은 지방변이 나타남
4. 진단
① 혈액검사 : 약간의 백혈구 증가증을 나타냄
② X-선 검사 : 장의 운동이 감소되었음을 보여주며, 석회화와 유착상태가 나타남
③ 초음파검사
④ 혈관조영술 : 혈관의 변화를 볼 수 있음
⑤ 담관조영법, 당낭조영법 : 담도의 변화를 볼 수 있음
5. 치료
1) 통증 완화
① 알코올과 관계되는 췌장염은 금주를 함으로 통증이 감소됨
② 식이조절로 췌장염의 효소분비 자극에 의한 통증이 감소됨
③ 비마약성 진통제로 통증 조절을 시작하며 필요시 점진적으로 마약성 진통제를 투여함
2) 내분비부전의 치료 : 인슐린요법
3) 외분비부전의 치료 : 외인성 췌장효소요법
6. 간호
1) 통증완화
① 위장관을 쉬게하며 췌장 자극을 감소시키기 위해 금식 시킨다
② 얼음조각 조차도 효소의 분비를 자극하여, 통증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③ 비위관 흡인은 소화기계의 팽만을 감소시킬 수 있고 그로인해 환자의 안위를 증진시킬 수 있다.
④ 통증완화를 위한 약물을 투여한다
⑤ 항콜린성 약물은 췌장을 편하게 하고 효소의 분비를 줄이기 위해 처방되기도 한다
⑥ 체위, 등마사지, 이완요법에 대한 지도와 조용한 환경을 제공한다
2) 불안경감
① 관찰을 통하여 환자의 불안정도를 파악한다
② 불안감이 있는 환자의 집중 기간은 짧기 때문에 간단하고 직접적인 교육을 한다
3) 체액유지
① 임상병리 검사들의 결과를 확인하고 고혈당증, 저칼슘혈증, 저칼륨혈증을 나타내는 신 체 증상을 관찰한다
② 부종, 호흡음, 피부 긴장도, 점막을 사정한다
③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한다
④ 수분과 혈액제제 투여에 대한 환자의 반응을 측정한다
4) 효율적 산소공급
① 호흡기능을 위해 돌아눕기, 기침하기, 심호흡과 페활량 측정과 같은 예방적 간호가 필 요하다
② 진통제를 투여하여 환자의 안위를 유지시켜 정상적인 호흡 양상을 강화시킨다
5) 적절한 영양유지
① 금식기간이 장기화 될 때는 비경구적 고단위 영양과 지질로 영양을 공급한다
② 환자의 체중을 매일 측정하고 조직의 통합성, 몸의 체지방의 적절성과 근육의 적절성 등의 측정을 하여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③ 구강섭취가 가능할 시에는 유동식에서 정상식이로의 진행을 서서히 시행한다
④ 위분비액이나 췌장 분비액을 감소시키기 위해 항경련제나 항콜린성 제제 및 제산제 등 을 투여할 필요가 있다
⑤ 췌장의 효소 부족 시 췌장 효소들을 투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6) 합병증 사정 및 관리
① 췌장절제술 수 남은 췌장 조직의 기능을 사정하고 장기간 동안 내분비와 외분비 기능 을 측정한다
② 내분비 기능 상실 시 인슐린 투여가 필요함과 동시에 저혈당증에 대해 관찰한다
③ 외분비 기능 상실 시 약물로 췌장의 기능을 보충한다
④ 음식 섭취를 시작한 경우 설사나 지방변 유무를 관찰함으로써 췌장효소의 충분성 정도 를 사정한다
7) 환자교육
① 투약의 목적, 용량, 횟수 및 가능한 부작용 등 투약에 대해 설명해준다
② 췌장의 손상으로 인슐린 투여가 필요하면 자가 혈당 측정법, 식이 및 인슐린 투여에 대 한 교육을 해야한다
③ 식이교육
알코올, 차, 커피, 양념이 강한 음식과 과식은 췌장분비를 자극하여 췌장염이 재발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저지방 음식을 조금씩 자주 먹는 것이 좋다고 알려준다
④ 췌장염의 재발 증상을 알려주고 그러한 증상이 있을 경우 즉시 연락하도록 교육한다
- 췌장염의 재발 증상 : 지방변, 심한 요통 및 심와부 통증, 지속되는 위염, 오심,
구토, 체중 감소, 체온 상승, 혈당 상승
⑤ 고혈당인 경우 영양의 필요성, 적당한 저지방, 당뇨식이에 관한 교육지침을 제공한다
Ⅶ 참고문헌
1. 이향련,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외, (2010), 성인간호학Ⅰ, 수문사,
450~451p / 516~523p
2. 한윤복 외, (1995), 간호진단 -진단분류의 이론과 실제, 현문사
3. www. druginfo.co.kr
4. 네이버 건강 - 의약품정보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4.02
  • 저작시기201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1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