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te Myeocytic Leukemia(AML) 와 Chronic Myelocytic Leukemia(CML)조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Leukemia>
Acute Myeocytic Leukemia
1. 정의
2. 증상
3. 진단
4. 병기(stage)
5. 치료
6. 치료의 합병증, 부작용과 대책
7. 예후

Chronic Myelocytic Leukemia
1. 병의 경과와 증상
2. 진단
3. 치료

* AML과 CML감별을 위한 special stain *

본문내용

)당일 제조한 염색액을 filter하여 10분간 염색하고 물로 세척하여 공기 중에 말린다
4)Wright - Giemas로 대조염색을 한다(alcohol고정은 생략)
3.결과보고
1)보고 방법
-호중구 ,아우어 소체, 호산구: 정상적으로 양성 반응을 보인다.
-림프구 , 호염구는 음성이다
-골수적아구:5% 정도만이 양성
-단구는 약양성이다
2)참고치
양성
Myeloblast:Negative or occasionally weakly positive
Neutrophils, eosinophils and their precursors back to promyelocyte stage
:positive,
mature cells showing the most intense staining
Auer rods ; positive, 단구는 일반적으로 음성이나 약양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다
음성
lymphoid cell, 성숙한 basophil,erythroid 계열세포
-Granulocyte의 염색상태로 염색 정도 판정
3)결과해석의 임상적 의의
-AML과 ALL의 감별
AML (M1-M6) 양성(3% 이상의 blast가 양성),ALL음성
-Auer rod 양성
-Mo(AML, minimally differentiated)음성
-M7(Acute megakaryocytic leukemia)음성
< SBB stain >
1.검사원리
sudan Black B(SBB) 염색법은 세포내 지질이 있는 곳에 지질 색소가 녹아 들어가서
지질의 존재를 증명한다. 백혈구의 중성 지방, phospholipid, sterol 등의 lipid 성분인
SBBdhk 결합하여 이들 물질이 있는 부위에 colored precipitate를 만들며 주로 과립
구계 세포의 동정에 이용되고 있는 검사로, 흑색 또는 흑갈색의 과립을 보이면 양성
이다.
2.검사방법
1)고정액으로 10분간 고정한다.
2)Formalin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물로 5분간 세척한다.
3)염색액을 30-60분간 염색한다.(단, 시약을 갈았을 경우에는 30분 염색한다)
* 참고 : SBB염색액을 최소한 3일에 1반씩은 갈아주어야 하며 coplin jar에서 반을 버
리고 나머지 반을 새로 채워주는 방법으로 한다.
4)70% 알코올로 washing 하고 공기중에 말린다.
5)Wright- Giemas로 대조 염색을 한다.(이때 alcohol 과정은 생략한다)
6)말린 후 봉입한다.
3.결과보고
1)보고방법: SBB염색 양성과립은 흑색 또는 흑갈색으로 보인다. 이것을 Sudanophilia라
고하며 지질이 존재함을 의미한다.
2)참고치
1.양성세포
-과립구계 세포 (성숙되면서 양성과립수 증가): 미성숙 골수아구에는 양성과립은 거의 보이지 않고 mitochondria가 엷게 염색되는 경우가 있다.
-Eosinophil:검은 환형의 염색 패턴을 보인다.
-Basophil: 다양한 반응을 보이지만 음성으로 나타난다.
-Monocyte: 미세과립이 세포전체 또는 세포질내에 산재되어 있다.
-Tissue mast cell
2. 음성세포:lymphocyte, plasma cell, erythroblast
3)결과해석의 임상적 의의
:백혈병일 때 blast 가 양성으로 염색되면 골수계 또는 단구게 세포로 생각하고 음성이면
림프계 EH는 일부 과립구계, 단구계의 미성숙세포로 간주하고 다른 세포화학 염색을
실시한다
*고용량 Ara-C 공고요법
급성 백혈병에서 Ara-C의 용량-반응 상관관계는 실험실은24) 물론임상에서도 확인되었다. 고용량 Ara-C요법이란 Ara-C 1-3 g/m2을 12시간마다 6-10회 투여하는 것을 말하는데 초기에는 불응성 AML에서 구제요법으로 사용되었고25) 이후 첫 치료로 관해유도 및 공고요법으로 연구되었다. 여러 그룹에 의해 고용량 Ara-C 단독 혹은 병용으로 공고요법을 시행한 결과 33-62%의 무병생존율이 보고되었다.26,27,28) (Table 4) 이 연구들은 주로 젊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고 독성이 높으며 추적기간이 짧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최근 Wolff 등의 연구에 대한 장기추적결과 49%의 환자가 10년 이상의 무병생존을 보이고 있다.29) 이 후 2개의 전향적 무작위연구에 의해 고용량 Ara-C요법의 우수성이 확인되었다. ECOG 연구22)에서 1 cycle 의 고용량 Ara-C와 mAMSA에 의한 공고요법은 2년간의 저용량 유지요법보다 4년 무병생존율 28%, 15%로 60세 이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41세 이하에서는 43%로 동종 조혈모세포이식의 42%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LGB 연구30)에서는 Ara-C 100 mg/m2, 400 mg/m2, 3 g/m2을 비교하여 4년 무병생존율 24%, 29%, 44% (p=0.002) 생존율 35%, 40%, 52% (p=0.002)로 Ara-C용량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고용량 Ara-C군의 경우 심한 독성으로 인해 56%만 예정된 4회의 치료를 완료할 수 있었으며 특히 60세 이상에서는 3군 모두 16%이하의 무병생존율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반면 SWOG8600 연구18)에서는 표준요법에 의한 관해유도 후 고용량공고요법과 표준공고요법의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되는 등 고용량 공고요법에 대한 부정적 견해도 있으며 특히 유럽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고용량 Ara-C요법은 중추신경계 독성 특히 ataxia가 흔하며 위험인자로는 35세 이상, creatinine, alkaline phosphatase 등이 제시되어 2개이상의 위험인자가 있는 경우 37% 위험성이 있다고 보고되었다.31) 고용량 Ara-C요법으로 인한 사망률은 10-20%이며 60세 이상에서는 매우 높다. Ara-C의 이상적인 횟수, 용량 및 투여방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으나 젊은 환자군에서는 약 40-50%에서 장기무병생존이 보고되어 동종 조혈모세포이식과 버금가는 성적을 보이므로 전향적 비교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최근 김 등32)이 단기추적에서 무병생존기간이 표준 공고요법보다 약간 증가된 결과를 보고했으나 장기추적결과는 아직 없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9.04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3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