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부정맥이란
2. 부정맥 환자의 간호
2. 부정맥 환자의 간호
본문내용
액와선상의 4번째 늑간)에 댐
쇼크를 줄 때는 심전도 모니터링하에서 실시하며 이때는 환자 침상에서 모두 뒤로 물러서서 환자나 침대를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해야함
쇼크 실시 직후에는 심전도상에서 동성리듬으로 회복되었는지 확인하고 계속 모니 터링함
(2) 심장리듬 전환(cardioversion)
- counter shock이라고도 함
- 약물요법으로도 잘 치료되지 않는 만성 부정맥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 충격요법
- 특히 발작성 심실 상부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치료에 유효함
① 환자준비
환자 옆에는 항상 응급기구가 준비되어 있어야 함
환자에게 치료의 목적, 절차, 방법, 주의사항 등을 미리 설명하여 헙조를 얻도록 함
당일 아침에는 칼륨치가 정상보다 낮게 되면 심한 부정맥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혈청 칼륨치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함
심장리듬 전환 치료 전 먼저 17~48시간 동안 quinidine을 0.3mg씩 6시간 투여함
심장리듬 전환 시행 몇 시간 전부터 금식시킴
② 쇼크의 시행
전기충격기의 synchronizing swich를 “on”으로 돌린 후에 전기충격을 줌으로써 T 파가 역전되지 않도록 함
보통 50~200J만의 전기가 사용됨
순간적으로 정상 리듬으로 회복되며 시행 전, 후 지속적으로 심전도를 모니터함
7) 심폐소생술(CPR, CPCR :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된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응급으로 가해지는 간호술
- 심정지 후 적어도 3~4분 이내에 실시해야 하며 6분이 경과하면 사망 단계에 이르므로 효과가 없게됨
(1) 기도확보 단계 ① 가능한 한 빨리 심정지 후 3~4초 내에 환자의 기도 및 호흡을 사정함
② 환자의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고 머리는 옆으로 돌려서 구강과 기도에 있는 점액물 질이나 이물질을 제거시킴
③ 환자의 턱을 들어올리면서 이마를 눌러지면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기도가 열림
(2) 인공호흡 단계
① 환자의 호흡운동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즉시 인공호흡을 실시함
② 시술자가 충분히 숨을 들이마신 후에 환자의 코를 잡고 입안으로 1초 이상 숨을 불 어넣어야 함
③ 첫 번째 호흡은 2회 강하게 불어넣음
④ 호흡상승이 관찰되지 않으면 두 번째 구조호흡 전에 두부후굴 하악거상법을 다시 시 행하여 기도를 유지해야 함
(3) 심장압박 단계
① 기도가 유지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면 10초 동안 경동맥의 맥박을 사정하고 경동맥의 맥박이 촉지되지 않을 때 심장 마사지를 실시함
② 효율적인 흉부압박을 위해 구조자는 강하고 빠른 압박을 가해야 함
③ 모든 환자에게 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흉부압박을 시행함
④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의 비율은 30회 압박 후 2회 인공호흡을 실시함
(4) 합병증
① 늑골 골절로 인해 기흉이 올 수 있음
② 검상돌기에 압박을 가하면 골절되면서 장기가 손상되어 출혈을 일으키기도 함
③ 대뇌 저산소증으로 뇌손상이 오고 대사성산증이나 뇌손상으로 전신경련이 일어날 수 도 있음
쇼크를 줄 때는 심전도 모니터링하에서 실시하며 이때는 환자 침상에서 모두 뒤로 물러서서 환자나 침대를 건드리지 않도록 주의해야함
쇼크 실시 직후에는 심전도상에서 동성리듬으로 회복되었는지 확인하고 계속 모니 터링함
(2) 심장리듬 전환(cardioversion)
- counter shock이라고도 함
- 약물요법으로도 잘 치료되지 않는 만성 부정맥을 제거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전기 충격요법
- 특히 발작성 심실 상부빈맥, 심방조동, 심방세동 치료에 유효함
① 환자준비
환자 옆에는 항상 응급기구가 준비되어 있어야 함
환자에게 치료의 목적, 절차, 방법, 주의사항 등을 미리 설명하여 헙조를 얻도록 함
당일 아침에는 칼륨치가 정상보다 낮게 되면 심한 부정맥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혈청 칼륨치를 측정하는 것이 중요함
심장리듬 전환 치료 전 먼저 17~48시간 동안 quinidine을 0.3mg씩 6시간 투여함
심장리듬 전환 시행 몇 시간 전부터 금식시킴
② 쇼크의 시행
전기충격기의 synchronizing swich를 “on”으로 돌린 후에 전기충격을 줌으로써 T 파가 역전되지 않도록 함
보통 50~200J만의 전기가 사용됨
순간적으로 정상 리듬으로 회복되며 시행 전, 후 지속적으로 심전도를 모니터함
7) 심폐소생술(CPR, CPCR : Cardio-Pulmonary cerebral resuscitation)
- 심장의 활동이나 호흡이 갑자기 정지된 동안에 환자의 생명을 구하기 위하여 응급으로 가해지는 간호술
- 심정지 후 적어도 3~4분 이내에 실시해야 하며 6분이 경과하면 사망 단계에 이르므로 효과가 없게됨
(1) 기도확보 단계 ① 가능한 한 빨리 심정지 후 3~4초 내에 환자의 기도 및 호흡을 사정함
② 환자의 얼굴을 위로 향하게 하고 머리는 옆으로 돌려서 구강과 기도에 있는 점액물 질이나 이물질을 제거시킴
③ 환자의 턱을 들어올리면서 이마를 눌러지면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기도가 열림
(2) 인공호흡 단계
① 환자의 호흡운동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즉시 인공호흡을 실시함
② 시술자가 충분히 숨을 들이마신 후에 환자의 코를 잡고 입안으로 1초 이상 숨을 불 어넣어야 함
③ 첫 번째 호흡은 2회 강하게 불어넣음
④ 호흡상승이 관찰되지 않으면 두 번째 구조호흡 전에 두부후굴 하악거상법을 다시 시 행하여 기도를 유지해야 함
(3) 심장압박 단계
① 기도가 유지되고 환기가 이루어지면 10초 동안 경동맥의 맥박을 사정하고 경동맥의 맥박이 촉지되지 않을 때 심장 마사지를 실시함
② 효율적인 흉부압박을 위해 구조자는 강하고 빠른 압박을 가해야 함
③ 모든 환자에게 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흉부압박을 시행함
④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의 비율은 30회 압박 후 2회 인공호흡을 실시함
(4) 합병증
① 늑골 골절로 인해 기흉이 올 수 있음
② 검상돌기에 압박을 가하면 골절되면서 장기가 손상되어 출혈을 일으키기도 함
③ 대뇌 저산소증으로 뇌손상이 오고 대사성산증이나 뇌손상으로 전신경련이 일어날 수 도 있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