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인공신장실견학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인공신장실견학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잠근 후 복막강내에서 삼투와 확산이 일어나도록 저류시킴.저 류시간은 투석액이 복강내에 머물러 있는 시간으로서 복막투석의 여러 가지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 다음은 잠금장치를 풀어 중력에 의해 투석액을 복막강으로부터 배액시 킴. 배액은 약 1015분정도 소요된다.
④ 투석주기의 횟수는 혈액화학적 검사 수준에 의해 결정됨. 복막의 청소율은 여러 가지 요인, 즉 복막의 면적, 복막으로의 혈류상태, 복막 투과성의 변화에 따라 달라진다.
⑤ 매 투석마다 투석액의 주입량과 배액량을 계산하여 확인하고 체중을 측정함. 혈관 내로부터 수분배액량을 감소시키려면 저농도 포도당 삼투액을 사용하여 투석액의 삼투 압을 감소시킨다.
5) 복막 투석의 장점
① 요독증의 조절이 쉽다.
② 혈압조절이 쉽다
③ 빈혈이 있는 환자에서 영양상태의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④ 말초신경염이 혈액투석에 비해 호전된다.
⑤ 식사제한을 하지 않으므로 영양상태가 양호하다.
⑥ 생존률 및 사회 복귀에 유리하다.
⑦ 환자가 더 쾌적함을 느낀다.
⑧ 시간과 경비가 절약된다.
6) 복막투석의 단점
① 최대의 단점은 복막이 외부로터의 세균침입에 대해 방어 기구가 거의 없어서 복막염이 호발한다는 점이다.
② 혈액투석에 비해 꽤 큰 물질도 통과시키기 때문에 혈중의 단백질, 비타민등이 소실될 수 있다.
③ 포도당이 체내에 흡수되기 때문에 비만이나 고지혈증의 위험이 크다.
7) 복막염 환자의 간호
(1) 통증의 경감
① 수술 전 통증성 호흡을 경감하기 위해 semi-Fowler's 체위를 취해 줌.
② 수술 후 중력에 의한 배액을 증가시키기 위해 Fowler's 체위를 취해 줌.
③ 수술 후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함.
(2) 수분과 전해질의 유지
① 연동운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금식을 유지함.
② 적절한 수분 섭취를 유지하고 소변 배설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정맥으로 수분을 제 공함.
③ 구토물과 비위 배액량의 측정을 포함하여 섭치량과 배설량을 정확하게 기록함.
④ 비위관을 흡입하고 진토제를 사용하여 오심, 구토오 팽만을 최소화함.
⑤ 저혈량의 징후를 관찰함; 건조된 점막, 핍뇨, 체위성 저혈압, 빈맥, 피부 긴장의 저 하
(3) 적절한 영양의 섭취
① 환자가 구강으로 섭취할 수 있을 때까지 양성 질소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총 비경 구영양을 투여
② 다음의 상태가 되면 비경구적 수분 공급을 감소시키고 음식과 수분을 섭취하도록 제공함.
ㄱ. 체온과 맥박이 정상으로 회복됨.
ㄴ. 복부가 부드러워짐.
ㄷ. 연동음이 회복됨.(복부에서 청진됨.)
ㄹ. 가스가 통과되면 장의 움직임이 있음.
<감상>
암환자보다 더 불쌍한 사람이 투석환자라고 하신 간호사 선생님의 말씀이 머리속에서 지워지지 않았다. 단순히 노폐물을 제거하면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 그들의 심리적인 억압도 해결해야 하는 것이 간호사의 임무가 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투석환자들은 하루하루를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생각으로 살아간다고 한다. 이런 환자들에게 투석으로 인해 치료를 해주는 것 이상의 삶의 의미를 발견하게 하는 무엇인가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키워드

성인,   간호학,   신장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11.04
  • 저작시기201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90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