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본론
1) 굶어죽고 있는 사람들
2) 만들어지는 빈곤
3) 다른 문제들
3. 결론 -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4. 참고서적
2.본론
1) 굶어죽고 있는 사람들
2) 만들어지는 빈곤
3) 다른 문제들
3. 결론 -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4. 참고서적
본문내용
스스로 해결하기 어려운, 밖에서 도와줘야만 하는 문제임을 기억하는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모든 혁명에는 그보다 앞서 계몽이 이루어졌다. 지식인들이 들고 일어나 무엇이 어떻게 잘못되었는지를 폭로함에서 혁명은 시작되는 법이다.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의 저자 장 지글러와 같이,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되도록 많은 사람들이 알고, 마음으로 공감하며, 직접 이러한 일을 하던지, 아니면 재정이나 다른 것들로 지원을 하던지 할 수 있어야 하겠다. 사람들이 마음을 모아서 이러한 부조리한 사실들을 알리고, 이러한 문제가 대중매체에도 심각한 이슈로 떠오르도록 해서, 강대국들이라도 그저 무시하고 넘어갈 수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물론 우리가 한 마디 한다고 나라 정책이 바뀌고 권력자들의 마음이 돌아서지는 않는다. 하지만 계급사회가 민주주의 사회로 바뀌고, 부정부패가 만연하던 정권이 더 나은 정권으로 교체되듯이, 계속해서 우리가 알고자 하고, 행하고자 한다면, 그것은 결국에 우리 앞에 열매 맺게 될 것이다. 또한 기아, 빈곤 문제는 그저 먹을 것만 잘 돌아간다고 해결되는 일이 아니다. 가장 먼저 부패한 정권 문제가 해결되어야 하겠지만, 이 문제 외에도 땅 개간, 환경에 적합한 농경 기술, 사막화를 막기 위한 삼림 조성, 제방과 댐, 관개수로, 도로, 땅에 맞는 종자, 이것들에 기반이 되는 자본 등이 필요하다. 같은 책, p.288 참고
4. 참고서적
장 지글러,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유영미 역, 서울: 갈라파고스, 2007.
박노해, 꽃피는 걸음, 2014.
4. 참고서적
장 지글러,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유영미 역, 서울: 갈라파고스, 2007.
박노해, 꽃피는 걸음, 2014.
키워드
추천자료
스포츠 사회학의 개념과 이론적모형 (구조기능주의, 갈등이론, 비판이론)
체육과 체육사회학
사회학적 상상력 후기
사회학 조사 연구
교육 사회학
스포츠사회학이란 어떤 학문인가
교육 사회학의 패러다임
교육 사회학적 기초
교육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보는 한국 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교육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보는 한국 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스포츠사회학 정의 개념, 학자의 정의, 인성교육, 교육적 향상, 교육사회성 발달, 느낀점
스포츠의 사회학적 이해
[사회학의 역사] 스펜서 Herbert Spencer (1820~1903) {사회진화론과 사회유기체론. 자유주의...
[교육사회학]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각 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