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학교조직의 유형
2. 학교조직의 목적 및 기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학교조직의 유형
2. 학교조직의 목적 및 기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교조직의 교육지도 조직과 교무분장 조직, 운영협의회 조직 등으로 구분하여 그 목적과 가능을 설명하는 것이 매우 타당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된다.
1)교육지도 조직의 목적과 기능
교육지도 조직은 교과지도를 하는 교과담임교사, 학급경영을 담당하는 학급담임 교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직은 교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한 조직으로서 교사의 자율성과 책무성이 발휘되는 조직이다. 다른 조직에 비하여 교사의 자율성이 크게 강조된다.
2) 교무분장 조직의 목적과 기능
교무분장 조직은 수업과 학급경영을 제외한 여러 가지 교육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으로서 교무운영부, 연구기획부, 학생지도부 등 주로 교육 행정적 수업 외적 성격이 강한 업무담당 조직으로 이들 조직은 업무의 성격에 따라 교사 상호간의 협업이 필요하며, 학교장을 정점으로 하는 계선조직의 성격이 강하다. 계열성에 따라 여러 명의 교사들이 각각의 부서에 소속되어 담당 업무를 처리한다. 교무분장 조직은 교장과 교감의 관여정도가 교육지도 조직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난다.
3) 운영협의회 조직
운영협의회 조직은 교육관련 업무를 협의를 통하여 결정하기 위한 조직으로서 학교운영위원회, 교육과정위원회,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등 여러 위원회를 의미한다. 이 조직들은 협의회의 특성에 따라 참가하는 위원들이 각기 다르며, 학부모나 지역사회 인사 등이 참여하기도 한다. 이들 협의회는 학교경영에 있어서의 민주적 합의성 구현과 관련이 깊고, 교장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
Ⅲ. 결론
학교는 학교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목적에 의해 결합된 하나의 조직이다. 학교는 전문가적 집단에 의해 운영되는 조직으로서 일반적인 사회체제나 관료제와 흡사한 면도 있지만 자율성이 강조되는 이완적 조직의 특성도 있다. 학교조직은 전문성과 관료성 이 두 가지 중 어느 쪽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조직의 유형이 달라진다. 학교조직의 목적과 기능은 교육지도 조직과 교무분장 조직, 운영협의회 조직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조직에 따라 그 목적이 기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진동섭 저, 한국 학교조직 탐구, 2005
김희규 저, 학교조직과 학습조직, 한국학술정보, 2007
오영재 저, 한국 학교조직 질적 연구, 학지사, 2006
박호선 저,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행정직원 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3
김은수 저, 학교사회사업론, 홍익재, 2005
1)교육지도 조직의 목적과 기능
교육지도 조직은 교과지도를 하는 교과담임교사, 학급경영을 담당하는 학급담임 교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조직은 교사의 전문성을 바탕으로 교사 본연의 업무에 충실한 조직으로서 교사의 자율성과 책무성이 발휘되는 조직이다. 다른 조직에 비하여 교사의 자율성이 크게 강조된다.
2) 교무분장 조직의 목적과 기능
교무분장 조직은 수업과 학급경영을 제외한 여러 가지 교육관련 업무를 담당하는 조직으로서 교무운영부, 연구기획부, 학생지도부 등 주로 교육 행정적 수업 외적 성격이 강한 업무담당 조직으로 이들 조직은 업무의 성격에 따라 교사 상호간의 협업이 필요하며, 학교장을 정점으로 하는 계선조직의 성격이 강하다. 계열성에 따라 여러 명의 교사들이 각각의 부서에 소속되어 담당 업무를 처리한다. 교무분장 조직은 교장과 교감의 관여정도가 교육지도 조직에 비하여 강하게 나타난다.
3) 운영협의회 조직
운영협의회 조직은 교육관련 업무를 협의를 통하여 결정하기 위한 조직으로서 학교운영위원회, 교육과정위원회,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 등 여러 위원회를 의미한다. 이 조직들은 협의회의 특성에 따라 참가하는 위원들이 각기 다르며, 학부모나 지역사회 인사 등이 참여하기도 한다. 이들 협의회는 학교경영에 있어서의 민주적 합의성 구현과 관련이 깊고, 교장의 의사결정에 중요한 영향력을 미친다.
Ⅲ. 결론
학교는 학교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목적에 의해 결합된 하나의 조직이다. 학교는 전문가적 집단에 의해 운영되는 조직으로서 일반적인 사회체제나 관료제와 흡사한 면도 있지만 자율성이 강조되는 이완적 조직의 특성도 있다. 학교조직은 전문성과 관료성 이 두 가지 중 어느 쪽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 조직의 유형이 달라진다. 학교조직의 목적과 기능은 교육지도 조직과 교무분장 조직, 운영협의회 조직으로 분류하여 분류된 조직에 따라 그 목적이 기능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Ⅳ. 참고문헌
진동섭 저, 한국 학교조직 탐구, 2005
김희규 저, 학교조직과 학습조직, 한국학술정보, 2007
오영재 저, 한국 학교조직 질적 연구, 학지사, 2006
박호선 저,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행정직원 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13
김은수 저, 학교사회사업론, 홍익재, 2005
추천자료
학교의 사회적 성격과 사회적 기능
교육행정의 개념, 학교제도, 교육조직과 장학행정
[교육행정] 직무재설계, 조직 유형
[학교경영]중등학교 사회의 조직건강 실태에 관한 조사분석
조직문화의 정의와 기능 및 중요성(즐거운 조직만들기 방안)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정의,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자율성, 학교단위책임경영제의 목적, 학교...
조직의 개념과 종류 및 유형
학교 · 학급의 조직과 구조(교육 행정)
[갈등][갈등 정의][갈등 수준][갈등 기능][갈등 관리유형][갈등 프레임][갈등 원인][갈등 결...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이란 무엇이며 목적과 기능 및 올바른 과정에 대하여 논술
[조직갈등관리] 조직갈등 영향, 유형, 조직갈등관리전략 분석 - 조직갈등 영향, 조직갈등관리...
[조직의 정의] 조직의 개념 및 특성 조직의 목표와 유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