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치적 개혁 : 황제권, 자위 군대의 강화 - 개혁의 초점
중추원 구성 - 민의 반영에 노력
③ 경제적 개혁 : 지계의 발급(근대적 토지 소유권), 양전사업의 실시
④ 사회적 개혁 : 통신 개혁, 교통, 통신 시설 개선
⑤ 교육적 개혁 : 신교육령 +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설치, 실업 교육 강화
+ 외국에 유학생 파견
⑥ 외교적 개혁 + 간도에 관리 파견 : 이범윤
+ 플라디보스톡에 통상 사무관 파견
83. 의병
① 을미의병 + 계기 : 을미사변(1895), 단발령
+ 의병장 : 유인석, 이소응 등 (대부분 유생 출신 의병장)
* 고종의 해산 권고로 해산함
② 을사의병 + 계기 : 을사조약(1905), 최익현 : 왜양일체론
+ 신돌석 : 평민 출신의 의병장, 유격전술
③ 정미의병 + 계기 : 고종의 강제 퇴위, 군대해산
+ 해산 군인의 가세로 화력과 규모 강화 → 의병 전쟁
+ 13도 창의군의 서울 진공 작전, 간도.연해주 의병의 국내 진공 작전
④ 소멸 : 일본의 남한 대토벌 작전(1914)
84. 을사조약과 항일 운동
① 고종의 결재 없이 5명의 대신이 서명함 (원칙적으로 무효)
② 민영환의 자결, 이상설, 안병찬등의 조약 파기 상소
③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是日也放聲大哭'의 논설 개재
④ 5적 암살단 조직 : 나철, 오기호 등
⑤ 고종의 외교활동 + 미국에 헐버트 파견, 지원호소(조미수호통상조약에 근거)
| -- 미.일의 가쓰라 태프트 밀약으로 실패
+ 헤이그 특사 파견 : 이상설, 이휘종, 이준
* 고종의 강제퇴위 → 한일 신협약 → 군대해산
85. 보안회 (1904)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철폐
86. 신민회(1907~1911)
① 성격 : 비밀단체, 안창호 주도
② 해체 : 105인 사건(안명근 사건)으로 해체
③ 업적 + 교육 : 대성, 오산학교 건립
+ 경제 : 태극서관(대구), 평양의 도자기 회사 건립 운영
+ 해외 독립 운동 기지 건설
- 밀산부 한흥동(이상설, 이승희)
- 서간도 삼원보의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 : 이희영, 이상룡, 이시영
87. 국채 보상 운동(1907)
- 대한매일신보 주도, 제국신문, 황성신문, 만세보 협조
88. 민족주의 사학
① 신채호+ 낭가사상
+ 조선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독사신론(민족주의 사학 기틀 확립), 의열단 선언
② 박은식 : 혼 사상,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89. 국권의 피탈
① 한일의정서 : 군사기지 이용권
② 제1차 한일 협약 : 고문정치
③ 을사조약 : 외교권 강탈, 보호정치, 통감부 설치
* 카쓰라 태프트 밀약(미.일), 제2차 영일동맹, 러일전쟁의 승리, 포츠머스 조약 등을 통해
일본의 조선 독점을 인정받음.
④ 한일 신협약(정미7조약) : 자관정치, 행정권 강탈
⑤ 군대해산
⑥ 기유각서 : 사법권 박탈 (→ 경찰권 박탈)
90. 신간회1927
① 주체 :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합작
② 성격 : 공인된 허가 단체 (反 신민회는 비밀결사)
③ 활동상황 + 교육 - 한국인 본위의 교육, 한국어 교육 실시, 학문의 자유(과학사상)
+ 기타 - 착취 기관 철폐, 이민 정책 반대
+ 강령 + 민족의 단력을 공고히 한다.
+ 정치적, 경제적, 각성을 촉구한다.
+ 기회주의를 일체 배격한다.
④ 영향 : 광주학생운동(1929)에 영향
⑤ 자매단체 : 근우회(김활란, 유영준)
91. 친일단체
- 조선사 편수회, 조선문인 협회, 고적 조사 위원회, 법전 조사국, 취조국, 청구학회
(反 : 진단학회 - 실증적 객관적 서술, 역사학을 독립학문으로 정립)
92. 3.1 운동의 성격
- 반제국적, 민족독립, 민족자결, 범국민적, 비폭력, 비조직적 항일운동
- 영향 : 상해 임시 정부 태동의 계기, 중국의 5.4 운동, 인도의 무저항 운동,
서아시아의 민족운동에 영향
93. 상해 임시 정부
① 정치 형태 + 임시 의정원(국회 : 입법부)
+ 국무원 (행정부)
+ 법원 (사법부)
② 활동사항
1) 연통제 : 국내 비밀 행정 조직
교통국 : 연락 기구
2) 외교 + 김규식 - 프랑스 파리강화회의 파견 : 한국의 독립 주장
+ 이승만 : 구미 위원회
3) 군자금 조달 : 만주 - 이륭양행, 부산 - 백산상회, 애국공채 발생
4) 광복군 창설, 독립 신문 발행, 사료 편찬소(한일관계 사료집 편찬),
육군 주만 참의부, 애국단
94.독립 의군부
: 고종의 밀서에 의해 조직된 전직 관리, 유학자 등의 전국 규모의 항일단체 (임병찬)
95. + 대한 광복군 정부 : 이상설, 이동휘, 정부통령, 연해주에 위치
+ 선명회 : 유인석, 이상설 - 피의 투쟁 결의
96. 현대사
① 카이로 회담1943 - 한국 독립 최초 보장
② 얄타회담 - 38선 경계 합의
③ 포츠담 회담1945- 한국 독립 재확인
④ 모스크바 3상 회의 - 한국의 5년간 신탁 통치 결의
⑤ 미소공동위원회 : 모스크바 3상 회의 결정 사항 수행 목적 (정부구성) - 결렬
⑥ 4개국의 외상 회담(미,영,중,소) : 소련측 거부
⑦ U.N 총회 상정 -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결성, 자유 총선거 실시
- 정부구성, 북한측의 유엔한국임시위원단 입북 거절
⑧ U.N 임시 소총회 - 선거 가능 지역서 총선거 실시 결정
- 김구, 김규식 반대 : 남북협상 시도 실패, 이승만 찬성
⑨ 4.3 제주도 폭동 사건
⑩ 5.10 총선거 - 대한민국 정부탄생
97. 제1공화국
① 지방자치 실시(제1,2 공화국)
② 농지개혁 실시 + 목적 : 소작농 철폐, 지주제 철폐
+ 내용 : 유상매수, 유상분배(3정보 이내로 한정) - 농토에 한정(임야제외),
부재지주 불인정
+ 결과 : 실패
cf : 북한 - 무상몰수, 무상분배
98.
발췌 개헌안1952.5 : 대통령 직선제, 중임 제한 조항 삽입
사사오입 개헌1954 : 중임 제한 조항 철폐
99. 제2공화국
- 제3차 개헌, 의원 내각제, 양원제, 지방 자치제
100. 제3공화국(1963~1971):1964년 한일국교 정상화
1964년 베트남 국교 파병
1966년 한미 행정 협정
1968년 예비고사 실시
1968년 국민 교육 헌장 선포
1970년 새마을 운동
1972년 남북 공동 성명(자주통일,평화,민족대단결)
중추원 구성 - 민의 반영에 노력
③ 경제적 개혁 : 지계의 발급(근대적 토지 소유권), 양전사업의 실시
④ 사회적 개혁 : 통신 개혁, 교통, 통신 시설 개선
⑤ 교육적 개혁 : 신교육령 +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설치, 실업 교육 강화
+ 외국에 유학생 파견
⑥ 외교적 개혁 + 간도에 관리 파견 : 이범윤
+ 플라디보스톡에 통상 사무관 파견
83. 의병
① 을미의병 + 계기 : 을미사변(1895), 단발령
+ 의병장 : 유인석, 이소응 등 (대부분 유생 출신 의병장)
* 고종의 해산 권고로 해산함
② 을사의병 + 계기 : 을사조약(1905), 최익현 : 왜양일체론
+ 신돌석 : 평민 출신의 의병장, 유격전술
③ 정미의병 + 계기 : 고종의 강제 퇴위, 군대해산
+ 해산 군인의 가세로 화력과 규모 강화 → 의병 전쟁
+ 13도 창의군의 서울 진공 작전, 간도.연해주 의병의 국내 진공 작전
④ 소멸 : 일본의 남한 대토벌 작전(1914)
84. 을사조약과 항일 운동
① 고종의 결재 없이 5명의 대신이 서명함 (원칙적으로 무효)
② 민영환의 자결, 이상설, 안병찬등의 조약 파기 상소
③ 장지연이 황성신문에 '是日也放聲大哭'의 논설 개재
④ 5적 암살단 조직 : 나철, 오기호 등
⑤ 고종의 외교활동 + 미국에 헐버트 파견, 지원호소(조미수호통상조약에 근거)
| -- 미.일의 가쓰라 태프트 밀약으로 실패
+ 헤이그 특사 파견 : 이상설, 이휘종, 이준
* 고종의 강제퇴위 → 한일 신협약 → 군대해산
85. 보안회 (1904)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철폐
86. 신민회(1907~1911)
① 성격 : 비밀단체, 안창호 주도
② 해체 : 105인 사건(안명근 사건)으로 해체
③ 업적 + 교육 : 대성, 오산학교 건립
+ 경제 : 태극서관(대구), 평양의 도자기 회사 건립 운영
+ 해외 독립 운동 기지 건설
- 밀산부 한흥동(이상설, 이승희)
- 서간도 삼원보의 신흥강습소(신흥무관학교) : 이희영, 이상룡, 이시영
87. 국채 보상 운동(1907)
- 대한매일신보 주도, 제국신문, 황성신문, 만세보 협조
88. 민족주의 사학
① 신채호+ 낭가사상
+ 조선상고사, 조선사 연구초, 독사신론(민족주의 사학 기틀 확립), 의열단 선언
② 박은식 : 혼 사상,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89. 국권의 피탈
① 한일의정서 : 군사기지 이용권
② 제1차 한일 협약 : 고문정치
③ 을사조약 : 외교권 강탈, 보호정치, 통감부 설치
* 카쓰라 태프트 밀약(미.일), 제2차 영일동맹, 러일전쟁의 승리, 포츠머스 조약 등을 통해
일본의 조선 독점을 인정받음.
④ 한일 신협약(정미7조약) : 자관정치, 행정권 강탈
⑤ 군대해산
⑥ 기유각서 : 사법권 박탈 (→ 경찰권 박탈)
90. 신간회1927
① 주체 :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합작
② 성격 : 공인된 허가 단체 (反 신민회는 비밀결사)
③ 활동상황 + 교육 - 한국인 본위의 교육, 한국어 교육 실시, 학문의 자유(과학사상)
+ 기타 - 착취 기관 철폐, 이민 정책 반대
+ 강령 + 민족의 단력을 공고히 한다.
+ 정치적, 경제적, 각성을 촉구한다.
+ 기회주의를 일체 배격한다.
④ 영향 : 광주학생운동(1929)에 영향
⑤ 자매단체 : 근우회(김활란, 유영준)
91. 친일단체
- 조선사 편수회, 조선문인 협회, 고적 조사 위원회, 법전 조사국, 취조국, 청구학회
(反 : 진단학회 - 실증적 객관적 서술, 역사학을 독립학문으로 정립)
92. 3.1 운동의 성격
- 반제국적, 민족독립, 민족자결, 범국민적, 비폭력, 비조직적 항일운동
- 영향 : 상해 임시 정부 태동의 계기, 중국의 5.4 운동, 인도의 무저항 운동,
서아시아의 민족운동에 영향
93. 상해 임시 정부
① 정치 형태 + 임시 의정원(국회 : 입법부)
+ 국무원 (행정부)
+ 법원 (사법부)
② 활동사항
1) 연통제 : 국내 비밀 행정 조직
교통국 : 연락 기구
2) 외교 + 김규식 - 프랑스 파리강화회의 파견 : 한국의 독립 주장
+ 이승만 : 구미 위원회
3) 군자금 조달 : 만주 - 이륭양행, 부산 - 백산상회, 애국공채 발생
4) 광복군 창설, 독립 신문 발행, 사료 편찬소(한일관계 사료집 편찬),
육군 주만 참의부, 애국단
94.독립 의군부
: 고종의 밀서에 의해 조직된 전직 관리, 유학자 등의 전국 규모의 항일단체 (임병찬)
95. + 대한 광복군 정부 : 이상설, 이동휘, 정부통령, 연해주에 위치
+ 선명회 : 유인석, 이상설 - 피의 투쟁 결의
96. 현대사
① 카이로 회담1943 - 한국 독립 최초 보장
② 얄타회담 - 38선 경계 합의
③ 포츠담 회담1945- 한국 독립 재확인
④ 모스크바 3상 회의 - 한국의 5년간 신탁 통치 결의
⑤ 미소공동위원회 : 모스크바 3상 회의 결정 사항 수행 목적 (정부구성) - 결렬
⑥ 4개국의 외상 회담(미,영,중,소) : 소련측 거부
⑦ U.N 총회 상정 - 유엔 한국 임시위원단 결성, 자유 총선거 실시
- 정부구성, 북한측의 유엔한국임시위원단 입북 거절
⑧ U.N 임시 소총회 - 선거 가능 지역서 총선거 실시 결정
- 김구, 김규식 반대 : 남북협상 시도 실패, 이승만 찬성
⑨ 4.3 제주도 폭동 사건
⑩ 5.10 총선거 - 대한민국 정부탄생
97. 제1공화국
① 지방자치 실시(제1,2 공화국)
② 농지개혁 실시 + 목적 : 소작농 철폐, 지주제 철폐
+ 내용 : 유상매수, 유상분배(3정보 이내로 한정) - 농토에 한정(임야제외),
부재지주 불인정
+ 결과 : 실패
cf : 북한 - 무상몰수, 무상분배
98.
발췌 개헌안1952.5 : 대통령 직선제, 중임 제한 조항 삽입
사사오입 개헌1954 : 중임 제한 조항 철폐
99. 제2공화국
- 제3차 개헌, 의원 내각제, 양원제, 지방 자치제
100. 제3공화국(1963~1971):1964년 한일국교 정상화
1964년 베트남 국교 파병
1966년 한미 행정 협정
1968년 예비고사 실시
1968년 국민 교육 헌장 선포
1970년 새마을 운동
1972년 남북 공동 성명(자주통일,평화,민족대단결)
추천자료
한국사회문제 A형]공무원 채용시 군필자 가산점 논란의 비판적 검토와 적절한 보상 방안
공직구조와 임용) 공무원의 분류와 직위분류 방법 및 임용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활동과 특징 및 문제점 개선방안 (2012년 추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공무원, 금감원을 비롯한 금융권 부정부패를 사회학적 측면에서 비...
5급, 7급 공무원 임용
[사회복지] 최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수행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제시
우정사업본부(우체국)공무원면접대비
9급 지방 행정직 공무원의 선발과정 분석
2017년도 강원도 소방공무원 면접 (개별면접 + 집단 토론면접+무료동영상강의)(2017.5월제작)
2017년 대비 경상북도 소방공무원 면접(개별면접&집단토론)(2017.5월제작)
최신 강원도 교육행정직 공무원 면접 [강원도교육청면접]
[소방학] 소방공무원의 채용제도에 대하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