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지적기능
인지전략
운동기능
태도
주의 획득하기
자극 변화를 도입한다.
학습자들에게 수업 목표 제시하기
대답해야 할 언어적 질문의 종류를 알려준다.
기대하는 수행의 기술과 예를 제공한다.
예상되는 해결책의 일반적 특성을 명료화 한다.
기대하는 수행의 시범을 제공한다.
목표로 삼고 있는 선택된 행동의 예들을 제공한다.
선수학습의 회상 자극하기
조직된 정보의 맥락에 대한 회상을 자극한다.
하위개념과 규칙의 회상을 자극한다.
과제방략 그리고 연합된 지적 기능의 회상을 자극한다.
실행적 하위기능과 부분기능 회상을 자극한다.
관련된 정보, 기능, 인간모델 확인의 회상을 자극한다.
자극 자료 제시하기
명제의 형태로 정보를 제시한다.
개념이나 규칙의 예들을 제시한다.
새로운 문제를 제시한다.
도구와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수행을 위한 외재적 자극을 제공한다.
개인적 행위의 선택을 보여주는 인간모델을 제시한다.
학습안내 제공하기
보다 의미 있는 맥락에서 언어적 결함을 제공한다.
적절하게 조합된 계열에 따라 언어적 단서를 제공한다.
새로운 해결책에 대한 암시와 단서를 제공한다.
수행행동에 대한 피드백과 함께 연습기회를 제공한다.
모델의 행위의 선택을 관찰하고, 모델이 수용한 강화를 관찰하도록 한다.
수행 유도하기
말을 바꾸거나 혹은 학습자 자신의 말로 된 정보를 요구한다.
학습자에게 규칙이나 개념을 새로운 예에 적용해 보도록 요구한다.
문제해결을 요구한다.
수행을 직접 수행해 보도록 요구한다.
학습자에게 실제 혹은 모의상황에서 행동의 선택을 지적할 것을 요구한다.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정보 진술의 정확성을 획인한다.
규칙이나 개념의 작용에 대한 정확성을 확인한다.
문제해결의 독창성을 확인한다.
수행의 정확성 수준과 적시적 수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행위선택에 대한 직접적 혼은 간접적 강화를 제공한다.
수행 평가하기
학습자가 말을 바꾼 형태로 정보를 재진술한다.
학습자가 규칙이나 개념의 적용을 시범해 보인다.
학습자가 문제 해결책을 창안해낸다.
학습자가 전체 기능을 직접 실행한다.
학습자가 실제 혹은 모든 상황에서 바람직한 개인적 행위를 선택한다.
파지와 전이를 촉진하기
정보에 첨가된 복잡성에 대하여 언어적 연결 고리를 제공한다.
다양한 예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복습 내용을 제공한다.
다양한 새로운 문제해결의 사례를 제공한다.
학습자가 기능연습을 계속 한다.
엄선된 행위의 선택에 다양한 부가적 상황을 제공한다.
인지전략
운동기능
태도
주의 획득하기
자극 변화를 도입한다.
학습자들에게 수업 목표 제시하기
대답해야 할 언어적 질문의 종류를 알려준다.
기대하는 수행의 기술과 예를 제공한다.
예상되는 해결책의 일반적 특성을 명료화 한다.
기대하는 수행의 시범을 제공한다.
목표로 삼고 있는 선택된 행동의 예들을 제공한다.
선수학습의 회상 자극하기
조직된 정보의 맥락에 대한 회상을 자극한다.
하위개념과 규칙의 회상을 자극한다.
과제방략 그리고 연합된 지적 기능의 회상을 자극한다.
실행적 하위기능과 부분기능 회상을 자극한다.
관련된 정보, 기능, 인간모델 확인의 회상을 자극한다.
자극 자료 제시하기
명제의 형태로 정보를 제시한다.
개념이나 규칙의 예들을 제시한다.
새로운 문제를 제시한다.
도구와 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수행을 위한 외재적 자극을 제공한다.
개인적 행위의 선택을 보여주는 인간모델을 제시한다.
학습안내 제공하기
보다 의미 있는 맥락에서 언어적 결함을 제공한다.
적절하게 조합된 계열에 따라 언어적 단서를 제공한다.
새로운 해결책에 대한 암시와 단서를 제공한다.
수행행동에 대한 피드백과 함께 연습기회를 제공한다.
모델의 행위의 선택을 관찰하고, 모델이 수용한 강화를 관찰하도록 한다.
수행 유도하기
말을 바꾸거나 혹은 학습자 자신의 말로 된 정보를 요구한다.
학습자에게 규칙이나 개념을 새로운 예에 적용해 보도록 요구한다.
문제해결을 요구한다.
수행을 직접 수행해 보도록 요구한다.
학습자에게 실제 혹은 모의상황에서 행동의 선택을 지적할 것을 요구한다.
수행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정보 진술의 정확성을 획인한다.
규칙이나 개념의 작용에 대한 정확성을 확인한다.
문제해결의 독창성을 확인한다.
수행의 정확성 수준과 적시적 수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한다.
행위선택에 대한 직접적 혼은 간접적 강화를 제공한다.
수행 평가하기
학습자가 말을 바꾼 형태로 정보를 재진술한다.
학습자가 규칙이나 개념의 적용을 시범해 보인다.
학습자가 문제 해결책을 창안해낸다.
학습자가 전체 기능을 직접 실행한다.
학습자가 실제 혹은 모든 상황에서 바람직한 개인적 행위를 선택한다.
파지와 전이를 촉진하기
정보에 첨가된 복잡성에 대하여 언어적 연결 고리를 제공한다.
다양한 예를 포함하여 주기적으로 복습 내용을 제공한다.
다양한 새로운 문제해결의 사례를 제공한다.
학습자가 기능연습을 계속 한다.
엄선된 행위의 선택에 다양한 부가적 상황을 제공한다.
추천자료
탐구학습(탐구수업)의 개념과 목적, 탐구학습(탐구수업)의 이론, 탐구학습(탐구수업)의 과정,...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의 이론적 배경, STS수업모형(학습,과학기술사회)의 현황과 ...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 정의와 특성, STS학습모형(수업,과학기술사회) 이론적배경, ...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습)의 정의, 이론적 배경, 특징과 STS수업모형(과학기술사회,학...
사회과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 의미와 이론적 배경, 사회과 수준별수업(학습, 교육과정)...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성격과 목적, 과학과수업(교육, 학습) 탐구이론과 학습교재, 과학과...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개별화교육)의 의미와 특성, 개별화수업(개별화학습, 개별화교육)의 ...
구성주의(구성주의학습이론)의 개념과 배경, 구성주의(구성주의학습이론)의 특성과 학습목표,...
수준별학습(수준별교육과정, 수업)의 개념과 유형, 수준별학습(수준별교육과정, 수업)의 목적...
모둠수업(소집단수업, 모둠학습)의 기본과 조직, 모둠수업(소집단수업, 모둠학습)의 이론적 ...
사회과학습(수업, 교육)의 이론,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장학, 사회과학습(수업, 교육) 관찰...
수준별학습(수업, 수준별교육과정) 개념과 종류, 수준별학습(수업, 수준별교육과정) 이론적 ...
[탐구수업][탐구학습모형]탐구수업(탐구학습모형)의 정의, 탐구수업(탐구학습모형)의 이론적 ...
상황학습이론에 대한 레포트 [교육과정 및 평가] {상황학습이론, 앵커드 수업모형, 인지적 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