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것을 권유하였다.
- 때때로 병원에서는 보호자나 방문객, 퇴원 후에는 가족이나 친구 분들을 활동 및 운동에 함께 참여시키는 것도 활동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권유하였다. (5/28)
신체활동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것은 호흡기와 심장기능을 증진하여 활동지속성을 높여준다. (서울대학병원 간호본부, 2011, p122)
환자의 활동요구 충족을 위해 가족과 친구를 참여시켜 지지하게 한다.(서울대학병원 간호본부, 2011, p108)
평가기준 - 대상자는 5/30까지 병실에서 외래까지 15분 이상 활동 할 수 있다.
평가 - 대상자가 30일 오전 10시 30분경 퇴원하여 병동산책을 시행하지 못하였다. 29일 병동산책 시 이전보다 활동 시 호흡곤란 증상이 입원 시보다 호전되었으나 10분 이상 활동을 지속하지는 못하였다.(5/30)
#4. 만성질환을 통제할 수 없다는 생각과 관련된 무기력 (5/28)
목적 - 대상자의 무기력함이 점차 회복된다.
평가기준 - 대상자가 5/29까지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하게 한다.
계획
중재
이론적 근거
①대상자가 느끼는 무기력함의 원인을 파악한다.(5/28)
- 대상자에게 무기력함의 이유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5/28)
→나이를 먹는 것도 서러운데 병(당뇨, 고혈압)이 나아지지 않고 따라다니니 지겹고, 힘이 없다고 하였다.
문제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대상자의 문제나 요구를 의미하는 증상과 징후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변영순외, 2002, p77)
②대상자의 만성질환에 대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한다.(5/28)
- 대상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질환들에 대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한다. (5/29) →고혈압과 당뇨는 만성질환이지만 약을 잘 먹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식단 조절을 하는 등 노력한다면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병이므로 걱정을 줄이고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격려하였다.
대상자가 건강상태, 치료, 예후 등에 관해 가능한 많이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김강미자외, 2006, p138)
③대상자에게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격려한다.(5/28)
- 당뇨와 고혈압이 있는 옆 침상의 환자와 이야기하도록 권하였다. (5/29)
→ 옆 침상의 환자와 대화를 나눈 결과
공감대 형성이 잘되었고, 정보공유도 원활하게 일어나서 개별적으로 교육하는 것보다 효과적 이였다.
-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무력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5/29)
- 퇴원 후에 집에만 있지 말고 노인정에 가서 노인 분들과 고혈압, 당뇨 등에 대한 정보를 나누며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서로 공유할 것을 권유했다. (5/30)
대안적 지지자원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예:교회, 지역사회 단체, 취업 상담소 등등 (김강미자외,2006,p137)
느낌이나 염려를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중략) 불안, 분노, 무력감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한다. (김강미자외, 2006, p137)
- 대상자는 5/29까지 대상자는 질병 걱정 때문에 더 이상 무기력하지 않다고 말한다.
평가- 대상자는 가끔 옆 침상의 환자와 이야기를 하였고 병실 내 사람들과 음식을 나누어 먹었 다.(5/29)
- 아직도 멍하니 걱정을 할 때가 있지만 그래도 만성질환의 관리에 대한 의지가 생겼다고 말하 였다.(5/29)
10. 참고문헌
- 단국대학병원 약제팀(2011), 2011 Drug Formulary 의약품집 10th edition, 단국대학교병원, 69,138,179,223,263,312,391,400,413.
- 조경숙외(2013), 제 6판 성인간호학, 현문사, 151,177,488-489,494,495-496,500,504,505,512,
550-553,593-594,671.
- 변영순외(2002), 제 5판 기본간호학, 계축문화사, 77,77-82,246.
- 서울대학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94,107,108,122,159,
164,165.
- 김강미자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137,138.
- http://www.kimsonline.co.kr/091_DrugInfo/DrugBasicInfo.aspx?KIMSCode=EWHASIJ0CMF
- http://www.kimsonline.co.kr/091_DrugInfo/DrugBasicInfo.aspx?KIMSCode=EYYPSIJ0HG6
-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diseaseSymptomTypeC
ode=AA&diseaseSymptomCode=AA000406&cpId=ja2#con (기관지확장증 그림참조) - 김양호(2012), 병리학, 현문사, 243.
11. 교육보고서
나이 59Y2M 성별 M 교육정도 초졸 진단명 hemoptysis 입원일 5/26
교육일 : 5/28
교육장소 : 21W 3호실 대상자 침상
교육 주제: 당뇨 증상과 식이요법
교육 방법: 교육보조자료, 설명, 질의응답
소요시간: 15분
교육목표: ① 대상자가 5/29까지 당뇨의 증상을 이해한다.
② 대상자가 5/29까지 당뇨식이의 중요성과 실천방법을 설명한다.
교육내용: (유인물로 대체함)
교육평가: ① 대상자가 당뇨병의 정의와 증상을 이해하고 설명하였다.(5/29)
→ 당뇨는 피 속에 당이 많아서 생기는 병이며 당뇨에 걸리면 목마르고 소변 많이 보며 많이 먹지만 체중이 빠진다고 말하였다.
② 대상자가 당뇨식이의 중요성과 실천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음식섭취 시 이를 실천하려 는 모습을 관찰하였다.(5/29)
→ 학생이 알려준 대로 식사하면 당뇨 합병증을 막을 수 있으니깐 앞으로는 꼭 이대 로 식사하겠다고 하였다.
→ 당뇨식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설탕 섭취를 줄이며 술이나 지방, 소금의 섭취를 줄 이며 채식위주의 식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 남동생이 퇴근 후 사온 치킨을 안 먹겠다며 거절하였다.
: 평소 술과 매운 곱창을 즐겨 먹는데 이제 못 먹게 되어 웃으며 아쉽다고 말함.
: 이전에는 몰랐던 것을 알게 되어 기쁘다며 교육자에게 고마움을 전함.
- 때때로 병원에서는 보호자나 방문객, 퇴원 후에는 가족이나 친구 분들을 활동 및 운동에 함께 참여시키는 것도 활동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권유하였다. (5/28)
신체활동을 점진적으로 늘리는 것은 호흡기와 심장기능을 증진하여 활동지속성을 높여준다. (서울대학병원 간호본부, 2011, p122)
환자의 활동요구 충족을 위해 가족과 친구를 참여시켜 지지하게 한다.(서울대학병원 간호본부, 2011, p108)
평가기준 - 대상자는 5/30까지 병실에서 외래까지 15분 이상 활동 할 수 있다.
평가 - 대상자가 30일 오전 10시 30분경 퇴원하여 병동산책을 시행하지 못하였다. 29일 병동산책 시 이전보다 활동 시 호흡곤란 증상이 입원 시보다 호전되었으나 10분 이상 활동을 지속하지는 못하였다.(5/30)
#4. 만성질환을 통제할 수 없다는 생각과 관련된 무기력 (5/28)
목적 - 대상자의 무기력함이 점차 회복된다.
평가기준 - 대상자가 5/29까지 다른 사람들과 대화를 하게 한다.
계획
중재
이론적 근거
①대상자가 느끼는 무기력함의 원인을 파악한다.(5/28)
- 대상자에게 무기력함의 이유에 대하여 질문하였다. (5/28)
→나이를 먹는 것도 서러운데 병(당뇨, 고혈압)이 나아지지 않고 따라다니니 지겹고, 힘이 없다고 하였다.
문제를 인식하는 단계에서 대상자의 문제나 요구를 의미하는 증상과 징후를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변영순외, 2002, p77)
②대상자의 만성질환에 대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한다.(5/28)
- 대상자가 현재 가지고 있는 질환들에 대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한다. (5/29) →고혈압과 당뇨는 만성질환이지만 약을 잘 먹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식단 조절을 하는 등 노력한다면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병이므로 걱정을 줄이고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을 격려하였다.
대상자가 건강상태, 치료, 예후 등에 관해 가능한 많이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김강미자외, 2006, p138)
③대상자에게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을 격려한다.(5/28)
- 당뇨와 고혈압이 있는 옆 침상의 환자와 이야기하도록 권하였다. (5/29)
→ 옆 침상의 환자와 대화를 나눈 결과
공감대 형성이 잘되었고, 정보공유도 원활하게 일어나서 개별적으로 교육하는 것보다 효과적 이였다.
-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무력한 감정을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5/29)
- 퇴원 후에 집에만 있지 말고 노인정에 가서 노인 분들과 고혈압, 당뇨 등에 대한 정보를 나누며 관리 방법에 대하여 서로 공유할 것을 권유했다. (5/30)
대안적 지지자원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 예:교회, 지역사회 단체, 취업 상담소 등등 (김강미자외,2006,p137)
느낌이나 염려를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중략) 불안, 분노, 무력감을 일으킬 수 있는 상황에 대해 이야기한다. (김강미자외, 2006, p137)
- 대상자는 5/29까지 대상자는 질병 걱정 때문에 더 이상 무기력하지 않다고 말한다.
평가- 대상자는 가끔 옆 침상의 환자와 이야기를 하였고 병실 내 사람들과 음식을 나누어 먹었 다.(5/29)
- 아직도 멍하니 걱정을 할 때가 있지만 그래도 만성질환의 관리에 대한 의지가 생겼다고 말하 였다.(5/29)
10. 참고문헌
- 단국대학병원 약제팀(2011), 2011 Drug Formulary 의약품집 10th edition, 단국대학교병원, 69,138,179,223,263,312,391,400,413.
- 조경숙외(2013), 제 6판 성인간호학, 현문사, 151,177,488-489,494,495-496,500,504,505,512,
550-553,593-594,671.
- 변영순외(2002), 제 5판 기본간호학, 계축문화사, 77,77-82,246.
- 서울대학병원 간호본부(2011),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94,107,108,122,159,
164,165.
- 김강미자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137,138.
- http://www.kimsonline.co.kr/091_DrugInfo/DrugBasicInfo.aspx?KIMSCode=EWHASIJ0CMF
- http://www.kimsonline.co.kr/091_DrugInfo/DrugBasicInfo.aspx?KIMSCode=EYYPSIJ0HG6
- http://health.naver.com/medical/disease/detail.nhn?selectedTab=detail&diseaseSymptomTypeC
ode=AA&diseaseSymptomCode=AA000406&cpId=ja2#con (기관지확장증 그림참조) - 김양호(2012), 병리학, 현문사, 243.
11. 교육보고서
나이 59Y2M 성별 M 교육정도 초졸 진단명 hemoptysis 입원일 5/26
교육일 : 5/28
교육장소 : 21W 3호실 대상자 침상
교육 주제: 당뇨 증상과 식이요법
교육 방법: 교육보조자료, 설명, 질의응답
소요시간: 15분
교육목표: ① 대상자가 5/29까지 당뇨의 증상을 이해한다.
② 대상자가 5/29까지 당뇨식이의 중요성과 실천방법을 설명한다.
교육내용: (유인물로 대체함)
교육평가: ① 대상자가 당뇨병의 정의와 증상을 이해하고 설명하였다.(5/29)
→ 당뇨는 피 속에 당이 많아서 생기는 병이며 당뇨에 걸리면 목마르고 소변 많이 보며 많이 먹지만 체중이 빠진다고 말하였다.
② 대상자가 당뇨식이의 중요성과 실천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음식섭취 시 이를 실천하려 는 모습을 관찰하였다.(5/29)
→ 학생이 알려준 대로 식사하면 당뇨 합병증을 막을 수 있으니깐 앞으로는 꼭 이대 로 식사하겠다고 하였다.
→ 당뇨식이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설탕 섭취를 줄이며 술이나 지방, 소금의 섭취를 줄 이며 채식위주의 식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 남동생이 퇴근 후 사온 치킨을 안 먹겠다며 거절하였다.
: 평소 술과 매운 곱창을 즐겨 먹는데 이제 못 먹게 되어 웃으며 아쉽다고 말함.
: 이전에는 몰랐던 것을 알게 되어 기쁘다며 교육자에게 고마움을 전함.
추천자료
호흡기계 건강문제와 간호
심부정맥 혈전증의 진단및 치료와 간호
만성 호흡기계 질환의 재활간호
만성폐쇄성폐질환 대상자에 대한 간호사례연구
비소세포성폐암, 당뇨를 가진 대상자 간호과정
폐암케이스, 폐암case, 폐암간호과정, 폐암, lung cancer case, lung cancer, lung
폐쇄성 호흡질환자의 실제 사례의 간호과정 적용
호흡기계 대상자 간호
폐렴(pneumonia) 간호사례 연구 케이스 스터디
[노인] 세균성폐렴(Bacterial pneumonia) 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신우신염(pyelonephritis)간호(급성,만성)
[2017년 3학년1학기 방송통신대학교] 기초간호과학
[case study]수술간호(Lysis of peritoneal adhesions)
소개글